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칭(靑)나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내 나라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픈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참 지지리도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사이에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반민족(反民族)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自生)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고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 꽃층층이꽃, 큰뱀무, 까치수염, 박주가리, 메꽃, 솔체꽃, 둥근잎삽주에 이어 자주색으로 피어난 나비 모양의 아주 작고 귀여운 원지(遠志)를 만났다. 눈에 잘 뜨지도 않을 정도로 꽃이 작아서 '숨어사는 자(隱者)'라는 꽃말이 왜 붙었는지 그대로 이해가 되었다.
원지의 뿌리는 한의사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한약재이기도 하다. '원지(遠志)'는 뜻(志, 번뇌)을 멀리해서(遠) 마음과 정신(神)을 안정(安)시킨다는 의미이다. 원지는 말 그대로 한의학(韓醫學)의 본초학(本草學)에서 안신약(安神藥)으로 분류된다.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불안장애(不安障礙, anxiety disorder), 건망증(健忘症, forgetfulness), 기억상실(記憶喪失, amnesia), 불면증(不眠症, insomnia), 우울장애(憂鬱障礙, depressive disorder) 등 정신 증상을 치료하는 데 빠질 수 없는 약이 바로 원지다. 필자도 임상에서 원지를 자주 처방하고 있다.
한강토 중부 이북 지방에만 자라는 북방계 식물이라서 남한에서 보기 어려운 원지를 여기서 만나다니! 더구나 필자가 임상에서 자주 처방하는 원지의 꽃을 보다니 무척이나 기쁘고 반가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원지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 원지목(遠志目, Polygalales) > 원지과(遠志科, Polygalaceae) > 원지속(遠志屬, Polygala)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왕립식물원 큐(KEW) 등재(登載) 원지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폴리갈라 테누이폴리아 빌데노프(Polygala tenuifolia Willd.)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폴리갈라(Polygala)'는 그리스어 '폴리-(poly-, 영어 many, several, much, 많은, 여럿의)'와 '-galon(galakt, gála에서 파생, 영어 milk, 우유, 젖)'의 합성어 '폴리갈론(polýgalon)'에서 어형이 변화된 '밀크워트(milkwort, 원지, 등대풀 등)'의 라틴어 속명 기원의 근대 라틴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이 식물이 우유(牛乳) 생산량을 증가시킨다는 믿음을 표현한 이름이다. 원지는 실제로 한의학에서 유방종통(乳房腫痛)의 치료에 사용된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테누이폴리아(tenuifolia)'는 라틴어 형용사 '테누이폴리우스(tenuifolius)'의 주격/호격/여성/단수형이다. '테누이폴리우스(tenuifolius)'는 '테누이스(tenuis, 영어 thin, 얇은, 가는)'과 '폴리움(folium, 영어 leaf, 잎)'의 합성어 '테누이폴리움(tenuifolium)'이 어형 변화를 한 것이다. 이 식물이 얇은 잎을 가진 특징을 표현한 이름이다.
명명자(命名者) '빌데노브(Willd.)'는 독일의 약사이자 식물학자이 카를 루트비히 빌데노프(Carl Ludwig Willdenow, 1765~1812)이다. 빌데노프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하는 식물지리학(植物地理學, plant geography) 창시자 중 한 사람이다. 빌데노프는 1802년 'Species Plantarum. Editio Quarta(식물의 종)'에서 원지의 학명을 세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Polygala tenuifolia Willd.의 추천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원지(遠志,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비추천명은 실영신초(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아기원지(한국쌍자엽식물지 초본편, 박만규, 1974), 실령신초(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등이 있다.
국표 등재 원지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씬-립 밀크워트(Thin-leaf milkwort,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원지의 종명을 그대로 반영한 이름이다.
국표,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원지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이토히메하기(イトヒメハギ, 糸姫萩)이다. '잎이 실(糸)처럼 가늘고 식물체가 작으며(姫) 꽃이 싸리(萩)를 닮은 풀'이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1997) 등재 학명 Polygala tenuifolia Willd., 학명 이명(學名異名, synonymy) Polygala sibirica var. angustifolia, Polygala sibirica var. tenuifolia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위안쯔(远志, 本草经)이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훙즈시차오(红籽细草, 四川), 션샤차오(神砂草), 샤오차오건(小草根, 山东), 샤알차(线儿茶), 시차오(细草), 샤오차오(小草, 本草经), 지관(棘莞), 야오라오(要绕, 尔雅, 本草经) 등이 있다.
중국 밍대(明代) 리싀전(李时珍)은 '이 약을 먹으면 지능이 향상되고 의지가 강해지므로 이름을 위안쯔(远志)라고 한다.(此药服之能益智强志,固有远志之称)'고 했다. 위안쯔는 별명(别名)도 많다. '션눙뻔차오징(神农本草经)'에는 '잎은 샤오차오(小草)라고 하고, 일명 지관(棘莞), 야오라오(葽绕), 시차오(细草)라고 한다. 또한, 쿠위안쯔(苦远志), 싱신짱(醒心杖), 샤알차(线儿茶), 샤오차오건(小草根) 등의 별명도 있다.(叶名小草, 一名棘菀, 一名葽绕, 一名细草, 还有 苦远志, 醒心杖, 线儿茶, 小草根 等别.)'라고 했다.
위안쯔라는 이름의 명명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식물의 외관과 형태에 따른 것이다. 위안쯔는 '뻔차오위안싀(本草原始)'에 이르기를 '줄기와 잎이 녹색이고, 잎이 실처럼 가늘고 작아서 새싹을 샤오차오(小草)라고 한다.(茎叶青色而极细小,故苗名小草.)'고 했다. 여기서는 위안쯔의 지상 부분을 일러 샤오차오(小草)라고 한 것이다. 고대인들은 위안쯔를 종종 마황(麻黄)과 비교했다. '뻔차오징지주(本草经集注)'는 '샤오차오(小草)는 그 모양이 마황과 비슷하나 녹색이다.(小草状似麻黄而青)'라고 했다. 따라서 지관(棘莞), 시차오(细草), 샤오차오(小草), 샤알차(线儿茶) 등은 모두 식물 형태에서 유래했다. 별명 란화띠딩(蓝花地丁)은 꽃의 색깔에서 따온 것이다.
명명 방식의 다른 하나는 위안쯔의 맛과 성질, 효능에 근거한 것이다. 위안쯔는 뿌리를 약으로 쓰는데, 그 맛이 쓰다. 그래서 쿠위안쯔(苦远志), 싱신짱(醒心杖) 등의 별명이 있다.
'싀수어신위·파이탸오(世说新语·排调)'는 위안쯔에 대한 일화(逸話)를 전하고 있다. 똥진(東晉)의 대신 셰안(謝安)은 조정에서 여러 번 귀순(归顺)하라고 권유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산속에 숨어 지냈다. 후에 그는 산에서 나와 기꺼이 환원(桓温)의 쓰마(司马)가 되었다. 그때 어떤 사람이 환원에게 많은 약초를 주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위안쯔(远志)였다. 환원이 셰안에게 "이 약은 왜 샤오차오(小草)라고도 부르나?"라고 물었다. 하오롱(郝隆)이라는 신하가 환원에게 교묘하고 정중하게 대답하기를 "안에서는 위안쯔(远志)이고, 밖에서는 샤오차오(小草)입니다.(处则为远志,出则为小草)"라고 대답했다. 하오롱의 말은 셰안을 비꼬면서 조롱하는 뜻이 담겨 있었다. 여기서 '추(处)'는 땅속에 숨은 뿌리를 말하는데, 그 뿌리의 효능이 특출하여 위안쯔(远志)라고 하며, '추(出)'는 밖으로 자라는 싹을 말하는데, 그것을 샤오차오(小草)라고 한다. 은거(隐居)할 때는 위안쯔(远志)라 하고, 산에서 나오면 샤오차오(小草)가 된다는 뜻이다. 셰안이 산속에 은거할 때는 뜻이 원대한 사람이었지만, 산에서 나와 벼슬길에 올랐을 때는 소인배가 되었다는 것을 풍자한 것이다(中医药博物馆 冯林敏).
원지는 중국,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등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 경북 안동, 영주에 난다. 자생지가 10곳 미만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한강토 기후에 알맞은 식물로서 전국 각지에 재배된다(국생정). 원지는 한반도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국 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이토히메하기(糸姫萩)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이다(FOM). 위안쯔(远志)는 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시베이(西北), 화쫑(华中), 쓰촨(四川)에 난다. (200~)460~2300m의 초원, 산비탈, 관목, 혼합림 아래에서 자란다. 조선(朝鲜), 몽골, 러시아에도 분포한다(FRPS).
원지의 뿌리는 굵고 길며 능선(稜線)이 있고 윗부분에 있는 약간의 꼬부라진 털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다. 뿌리를 원지(遠志)라고 하며 약용(藥用)한다. 뿌리 선단(先端)에서 가는 줄기가 여러 개로 나고, 가지가 많다. 키는 높이 3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1.5~3cm, 너비 0.5~1mm로서 선형(線形)이다. 엽병(葉柄)이 없으며 다소 원형(圓形)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끝은 뾰족하다.
총상꽃차례(總狀花序)는 줄기와 가지의 끝에 발달하고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紫朱色)이며, 꽃자루는 길이 4m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뒤의 것 1개와 밑의 것 2개는 선형이고 길이 2.5mm로서 녹색이며, 양쪽 2개는 꽃잎 같고 길이 5mm, 나비 1.8mm로서 얇은 막질(膜質)이다. 꽃잎은 윗부분이 벌어지며 밑부분이 동합(同合, connate)하고 길이 6mm이며 밑의 것은 끝이 솔같이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 capsule)이다. 삭과는 편평(扁平)하고 2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고 종자(種子)에 털이 많다. 삭과는 열개과(裂開果)에 속하는 열매의 한 종류이다. 열매가 익어서 성숙하면 위에서 아래로 향해 껍질이 갈라지며(裂開) 종자(種子)가 밖으로 나온다.
원지, 두메애기풀의 뿌리(根)는 원지(遠志), 싹(苗)은 소초(小草)라 하며 약용한다. 원지는 안신익지(安神益智), 거담(祛痰), 해울(解鬱)의 효능이 있다. 경계(驚悸), 건망(健忘), 몽정(夢精), 불면(不眠), 해수담다(咳嗽痰多), 옹저창종(癰疽瘡腫) 등을 치료한다. 소초(小草)는 익정(益精), 보음기(補陰氣)의 효능이 있다. 일체 허손(虛損), 몽설(夢泄), 혈중울열(血中鬱熱), 두열불기(痘熱不起)를 치료한다(국생정).
원지(遠志)의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지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을 없애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또는 심기(心氣)를 진정시키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驚悸]을 멎게 하며 건망증[健忘]을 치료하고 정신을 안정시킬 뿐 아니라 정신을 흐리지 않게 한다. ○ 산에서 자란다. 잎은 마황과 비슷하고 푸르며 뿌리는 누렇다. 음력 4월, 9월에 뿌리를 캐고 잎을 따서 볕에 말린다[본초]. ○ 먼저 감초물(甘草水)에 잠깐 달여 심을 빼버리고 생강즙을 축여 볶아 쓴다[득효]. 원지엽(遠志葉)은 소초(小草)라고도 하는데 정(精)을 돕고 허손으로 몽설(夢泄)이 있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東醫寶鑑).
본초명(本草名) 원지(遠志, 本草经)는 안신약(安神藥)이다. 본초 이명은 극완(棘莞), 고원지(苦远志) 등이 있다. 원지는 원지과(遠志科, Polygal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草本)인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또는 난엽원지(卵葉遠志,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L.)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원지는 중국 샨시(山西), 샨시(陕西), 지린(吉林), 허난(河南) 등지에 분포한다.
원지의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독이 없으며(無毒), 맛은 쓰고 맵다(苦辛). 귀경(歸經)은 폐(肺), 심경(心經)이다. 영심안신(寧心安神), 거담이규(祛痰利竅), 소산옹종(消散癰腫)의 효능이 있다. 심신불안(心神不安), 실면다몽(失眠多夢), 건망경계(健忘驚悸), 신지황홀(神志恍惚), 해담불상(咳痰不爽), 창양종독(瘡瘍腫毒), 유방종통(乳房腫痛) 등을 치료한다.
원지는 고신성온(苦辛性溫)하여 고설신산온통(苦泄辛散溫通)으로 심양(心陽)을 보조하고, 담습(痰濕)을 거(祛)하며, 심기(心氣)를 보익(補益)하여 신기(腎氣)로 하여금 상부의 심(心)과 소통케 하여 심신(心腎)을 교통(交通)케 하는 효능이 있다. 담습을 없애므로 심신이 교통되어 안신익지(安神益智)의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담습이 내조(內阻)하여 나타나는 신혼(神昏)과 경계(驚悸), 건망(健忘), 실면(失眠) 등의 증상에 모두 적용하여 치료한다. 안신익지에는 감초수(甘草水)에 자(炙)하여 사용하고, 화담지해(化痰止咳)에는 밀자(蜜炙)하여 사용한다(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
국표 등재 원지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두메애기풀(Polygala sibirica L.), 병아리풀(Polygala tatarinowii Regel), 애기풀(Polygala japonica Houtt.) 등 3종이 있다. 국표 등재 원지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애기싸리(Polygala chamaebuxus L.) 1종이 있다.
두메애기풀(영 국표 Asian milkwort, FOM Siberian polygala, 일 オオヒメハギ, 大姫萩, 중 西伯利亚远志)은 한강토 함경북도, 강원도, 전라북도의 산지에 자란다. 세계적으로 러시아, 몽골, 중국 및 유럽에 분포한다(국생관). 오오히메하기(大姫萩)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 네팔, 부탄, 파키스탄, 미얀마, 우크라이나, 루마니아이다(FOM). 시보리야위안쯔(西伯利亚远志)는 중국 전역의 해발 1,100~3,300(~4,300)m 지대에서 자란다. 동유럽, 시베리아, 러시아, 네팔, 카슈미르, 인도 북동부, 몽골, 조선(朝鲜) 북부에도 분포한다(FRPS).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뿌리에서 모여나며, 곧게 자라고, 높이 30cm,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줄기 아래쪽 잎은 타원형(椭圆形),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줄기 위쪽의 잎은 피침형(披針形)이다. 꽃은 5~7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 바깥쪽 꽃받침잎은 3장, 안쪽 꽃받침잎은 2장이다. 꽃잎 안쪽에 짧고 연한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병아리풀(영 Oriental milkwort, 일 ヒナノキンチャク, 雛巾着, 중 小扁豆)은 한반도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 동아시아, 러시아 동시베리아, 인도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히나노킨챠쿠(雛巾着)의 원산지는 일본, 중국, 인도, 부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이다(FOM). 샤오볜떠우(小扁豆)는 중국 똥베이(東北), 화베이(華北), 시베이(西北), 화쫑(華中), 시난(西南)의 해발고도 (540~)1,300~3,000(~3,900)m 지대에 분포한다. 일본과 열대 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의 루손, 민다나오, 필리핀)에도 분포한다(FRPS).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갈라지며, 높이 5~15cm 정도로 자란다. 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난형(圓卵形) 또는 넓은 타원형(廣椭圆形)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 드문드문 달리며, 연한 자줏빛, 분홍색 또는 붉은 보라색이다. 꽃받침조각은 5장, 꽃이 핀 후에 일찍 떨어진다. 열매는 삭과로 편평한 원형(扁圆形)이며, 종자는 검은색인데 겉에 털이 있다.
애기풀(영 Dwarf milkwort, 일 ヒメハギ, 姫萩, 중 瓜子金)은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히메하기(姫萩)의 원산지는 일본, 조선(朝鮮), 중국, 타이완, 러시아, 인도이다(FOM). 꽈즈진(瓜子金)은 중국 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시베이(西北), 화똥(华东), 화쫑(华中), 시난(西南)의 해발고도 800~2,100m 지대에 난다. 조선(朝鲜), 일본, 러시아 극동, 베트남, 필리핀, 파푸아뉴기니에도 분포한다(FRPS).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모여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서고, 높이 10~2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1~3cm, 폭 0.2~1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양쪽 2장이 보다 크다. 꽃잎은 3장이며, 밑에서 서로 붙는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 둥글고 납작하며, 9월에 결실한다. 병아리풀에 비해서 여러해살이풀이며, 줄기에 털이 있고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보다 작고, 꽃은 봄에 피므로 다르다.
애기싸리(영 shrubby milkwort, 일 ポリガラ・カマエブクス)는 국표에 학명, 국명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유럽이다. 줄기는 낮게 포복하고, 앞은 비스듬하다. 줄기는 높이 5~25㎝ 정도이다. 줄기는 목질(木質)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타원형, 상록(常绿), 가죽질, 길이 1~1.5㎝이다. 꽃은 (1~)3~6월 노란색과 흰색에 갈적색(褐赤色) 또는 보라색(紫色)으로 핀다. 드물게 처음부터 분홍색인 것도 있다. 꽃은 잎 겨드랑이에 1~3개 붙는다. 날개(翼, 큰 꽃잎 모양의 萼, 꽃받침)는 길이 10~15㎜. 열메는 폭 약 1mm이다(FOM).
2025. 3. 16. 林 山
#원지 #遠志 #Thinleafmilkwort #イトヒメハギ #糸姫萩 #远志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벼룩이울타리 (0) | 2025.02.27 |
---|---|
[백두산 야생화] 무릇 '인내(忍耐)' (0) | 2025.02.27 |
[백두산 야생화] 둥근잎삽주 (0) | 2025.02.14 |
[백두산 야생화] 솔체꽃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0) | 2025.02.14 |
[백두산 야생화] 메꽃 '수줍음'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