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중엽~20세기 초 국민주의 음악(하)

林 山 2016. 10. 12. 17:14

10. 얀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

얀 시벨리우스는 1865년 12월 8일 핀란드의 헤미린나에서 태어났다. 9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15세 때부터 군악대장에게 바이올린 주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독학으로 작곡법을 연구하면서 헬싱키 대학에 들어가 법률을 배우는 동시에 헬싱키 음악원에도 입학했다. 2년 후 장학금을 얻어 베를린에 가서 베커에게 사사하여 대위법을 전공했다. 또 훅스에게 작곡법과 기악법을 배웠다. 다시 빈으로 옮겨 골드마르크의 문하생이 되었다. 


1892년에 학업을 마치고 고향에 돌아온 시벨리우스는 그의 모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애국심으로 충만한 '핀란디아'(1899)는 핀란드 국민 찬가로 선정되었으며, 핀란드 정부는 그 공을 기려서 그의 평생 연금을 주었다. 그는 7개의 교향곡과 몇 개의 교향시, 기악곡, 가곡 등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어느 것이나 핀란드의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갖고 있다. 1957년 9월 20일 시벨리우스가 92세의 고령으로 세상을 떠나자 핀란드 정부는 국장(國葬)의 예로 이 위대한 대음악가를 장송했다.


1). Symphony No.1 in e minor, Op.39(교향곡 제1번 e단조 Op.39)

'교향곡 제1번 e단조 Op.39'는 시벨리우스가 34세 때인 1899년에 쓴 국민음악적 색채가 짙은 작품이다. 이 교향곡에는 시벨리우스가 존경하던 차이콥스키의 영향이 반영되어 있다. 


제1악장 Andante ma non troppo-Allegro energico-팀파니의 낮은 연타(連打) 위를 클라리넷의 조용하고 느린 악음이 명상적으로 연주된다.

제2악장 Andante ma non troppo=호른과 베이스와 하프가 조용한 기분을 나타내면, 바이올린과 첼로가 감미롭고 열정이 담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제3악장 Scherzo-드보르자크의 교향곡 '신세계로부터'를 상기시킨다.

제4악장 Quasi una fantasia-악곡의 정취는 깊어지고, 장엄하고 웅장한 느낌이 흘러 넘친다.


2). Symphony No.2 in D major, Op.43(교향곡 제2번 D장조 Op.43)

'교향곡 제2번 D장조 Op.43'은 시벨리우스가 1901년에 쓴 작품이다. 1902년 3월 8일 시벨리우스 지휘로 헬싱키에서 초연되었다. 제3교향곡과 함께 그의 개성을 가장 잘 나타낸 곡으로 유명하다. 핀란드 민요와 무곡을 많이 도입했기 때문에 전원적인 느낌이 풍부하다. '시벨리우스의 전원 교향곡’이라고도 부른다.


제1악장 Allegretto-핀란드 국토를 흐르는 부드러운 빛을 연상케 하는 악장이다.

제2악장 Andante-백야(白夜)는 겨우 밝아 태양은 떠올랐다. 산악국가인 핀란드에 폭풍의 전조가 다가온다.

제3악장 Vivacissimo-Lento e suave-국민적 자랑과 애국심이 이 악장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제4악장 Allegro moderato-조국애가 강하게 발로(發露)되어 약동한다.


3). Symphony No.4 in a minor, Op.63(교향곡 제4번 a단조 Op.63)

'교향곡 제4번 a단조 Op.63'은 시벨리우스가 1911년에 만들어 그해에 헬싱키에서 초연되었다. 시벨리우스는 이 교향곡을 헬싱키에서 30㎞ 정도 떨어진 조용한 숲속에 오두막을 짓고, 거기서 완성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제1악장 Tempo molto moderato quasi Adagio-방황자처럼 곡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어두운 가락은 절망을 나타낸다.

제2악장 Allegro molto vivace-경쾌한 리듬이 즐거운 마음을 나타내지만, 곧 불길한 악구에 의해 사라지고 만다.

제3악장 Il tempo largo-거친 아름다움과 전원의 꾸밈 없는 정경이 표현된다.

제4악장 Allegro-풍부한 색채와 깊고도 그윽한 맛을 자아내는 환상적인 악장이다.


4). Symphony No.5 in E♭ major, Op.82(교향곡 제5번 E♭장조 Op.82)

'교향곡 제5번 E♭장조 Op.82'는 1916년 12월 14일 시벨리우스의 지휘로 헬싱키에서 초연되었다. 그는 1919년 최종적으로 수정했고, 수정본을 같은 해 11월 24일 공연했다. 이때도 시벨리우스 자신이 지휘봉을 들고 헬싱키에서 화려하게 행해졌다.


제1악장 Tempo molto moderato, 제2악장 Andante mosso quasi allegretto, 제3악장 Allegro molto로 구성되어 있다.


5). Symphony No.6 in d minor, Op.104(교향곡 제6번 d단조 Op.104)

'교향곡 제6번 d단조 Op.104'는 시벨리우스가 1910년에 착수하여 1922년 2월에 완성한 작품이다. 전곡이 장중한 색조로 일관되어 있고, 시벨리우스의 특징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제1악장 Allegro molto moderato-도리아풍의 장중한 주제가 나오며, 이것이 전곡을 관류하고 있다.

제2악장 Allegretto moderato.

제3악장 Poco vivace.

제4악장 Allegro molto.


6). Symphony No.7 in C major, Op.105(교향곡 제7번 C장조 Op.105)

'교향곡 제7번 C장조 Op.105'는 시벨리우스가 1924년에 완성해서 이듬해 헬싱키에서 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이 교향곡은 일반적인 교향곡의 형식을 깨고 네 개의 악장이 없다. 그러나 한 개의 악장과 같은 형식 속에 4악장의 교향곡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북구의 전원적인 가락과 높이 울려 퍼지는 팡파르 풍의 트럼본 취주가 인상적이다. 시벨리우스의 마지막 정점이라고도 할 만한 명곡이다.


7). En Saga-Symphonic Poem Op.9(교향시 '전설' Op.9)

교향시 '전설' Op.9는 시벨리우스가 1892년에 쓴 그의 출세작이다. 북구의 매서운 자연에 싸인 나라 핀란드는 전설과 고담(古譚)과 옛 시 등이 풍부하게 남아 있는 나라이다. 바그너의 악극이 북구의 전설이나 고담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져 신비하고 괴기한 환상을 느끼게 하는 것처럼 시벨리우스의 음악도 눈과 얼음과 깊은 숲 등을 배경으로 북구 특유의 정서를 자아내고 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유학을 마치고 조국으로 돌아간 시벨리우스의 첫 작품인 이 곡에는 핀란드의 전설에 나타나는 영웅의 비극이 그려져 있다.


8). The Swan of Tuonela Op.22, No.3(교향시 '투오넬라의 백조' Op.22, No.3)

교향시 '투오넬라의 백조' Op.22, No.3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곡 '칼레발라에 의한 네 개의 전설' 중 세 번째 작품이다. 시벨리우스는 핀란드의 신화 '칼레발라'에 의한 교향시곡 '칼레발라에 의한 네 개의 전설'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네 곡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모음곡이다. 


저승 투오넬라의 어두운 삼도(三途) 강에는 신성한 백조가 떠 있으면서 노래를 부른다고 한다. 서글픈 백조의 노래가 잉글리시호른의 독주로 시작되고, 약음의 현과 희미한 큰북의 연타(連打)가 소용돌이치는 흐름을 암시하면서 반주한다. 괴기하고 음울한 음악이다.


9). Valse Triste Op.44('발스 트리스테', 가극 '쿠올레마' 중에서, Op.44)

'발스 트리스테' Op.44는 예르네펠트의 가극 '쿠올레마' 중의 한 곡이다. '시벨리우스!' 하면 이 곡을 연상시킬 만큼 널리 알려진 유명곡이다. 이 곡에는 '밤에 어머니의 병상에 있는 아들이 간호하느라 지쳐서 꾸벅꾸벅 존다. 붉으스레해진 빛이 방에 비치고, 멀리서 음악이 어렴풋이 들려 온다. 병든 어머니는 그 음악에 눈을 뜨자, 하얀 가운을 입은 채 비틀거리며 일어나 춤을 추기 시작한다. 두 손을 음악 소리에 맞추어 흔들면서. 이상한 손님이 어디선가 나타나 왈츠의 리듬에 맞춘다. 병든 어머니는 두 눈을 크게 뜨고 그 손님을 보려고 하나, 환상의 손님은 그녀를 피해 달아난다. 어머니는 바닥에 쓰러진다. 음악이 끊긴다. 그러나 그녀는 혼신의 힘을 다해 또다시 격렬하게 춤춘다. 격렬한 리듬. 음산한 무곡이 절정에 달했을 때,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나고, 병든 그녀는 소리를 지른다. 문득 이상한 손님은 사라지고, 음악도 그쳤다. 죽음이 어둠 속에 서 있었던 것이다.’라는 표제가 달려 있다.


10). Finlandia Op.26(교향시 '핀란디아' Op.26)

교향시 '핀란디아' Op.26은 핀란드 국민음악의 전형으로 인정되어 핀란드 정부는 이 곡을 국민 찬가로 지정했다. 이 곡은 그의 조국 핀란드를 찬양한 것으로, 웅대하고 열정에 넘쳐 있어서 핀란드 국민에게 열광적으로 사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전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종교적인 제1주제와 핀란드 민요풍의 제2주제가 전개되면서 금관악기와 큰북의 울림이 약동한다. 그리고 종교적인 가락이 또다시 돌아온다. 제2주제는 현에서 목관악기로 옮겨가며, 그리고 전현에서 첼로로, 다시 바이올린으로 변화한다. 핀란드에 대한 시벨리우스의 애국심이 유감없이 나타나 있다.


11). Symphonie Poem 'Tapiola' Op.112(교향시 '타피올라' Op.112)

교향시 '타피올라' Op.112는 시벨리우스가 60세 때인 1925년에 쓴 곡으로 만년을 장식하는 걸작이다. '칼레왈라'를 제재로 했는데, 그 한 귀절에는 ‘멀리 저쪽에 북국의 깊은 숲이 이어져 있다. 태고의 신비한 원시의 꿈을 그리면서. 거기에는 숲의 신이 살고, 숲의 요정이 어둠 속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씌어져 있다. 시벨리우스의 깊은 악상과 장중한 구성이 소박한 필치로 긴장 속에 그려지고, 영감을 지닌 핀란드 민족의 서사시가 높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12). Karelia Suite Op.11(카렐리아 모음곡 Op.11)

'카렐리아 모음곡 Op.11'은 시벨리우스가 28세 때인 1893년에 완성한 작품이다. 이 곡은 시벨리우스가 핀란드의 동남부 카렐리아 지방에 있는 항구 도시 비볼크에서 열린 야외극의 부수음악으로 작곡한 것이다. 그는 후에 전곡에서 세 곡을 택하여 거기에 서곡(작품 10번)을 합쳐 이 모음곡을 완성했다. 이 모음곡은 '간주곡', '발라드', '행진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렐리아 지방은 핀란드 영토였으나, 러시아에게 빼앗겼다. 그러나 이 곡이 만들어진 무렵까지만 해도 카렐리아 지방은 핀란드의 영토였고, 애국심도 왕성했다. 야외극은 애국적인 모임으로 역사적인 사건들에서 취재한 것이었다. 전곡은 애국심의 앙양을 담은 곡조이다.


11. 레오시 야나체크(Leoš Jancček, 1854~1928)

레오시 야나체크는 폴란드 국경에서 가까운 체코의 후크발디에서 태어났다. 브르노, 라이프치히, 페테르부르크, 빈 등지에서 지휘법과 음악이론을 공부한 뒤 1876년 브르노필하모니협회의 지휘자가 되었다. 1881년에는 브르노오르간학교를 세워 교장으로 1888년까지 근무하였다. 작곡가로서는 1916년 오페라 '예누 파(Jenu fa)'가 프라하에서 공연되면서 유명해졌다. 


야나체크는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민족적 소재를 근대적 음악어법으로 표현했다. 그의 작품 가운데 특히 '타라스 불바(Taras Bulba)', '심포니에타' 등이 널리 알려졌다.


1). Jenů Fa(예누 파)

'예누 파'는 야나체크가 27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에 걸쳐 쓴 전 3막의 비극 오페라이다. 오페라의 내용이 당시의 사회적 정서와 맞지 않아 프라하 국립극장은 '예누 파'의 공연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예누 파'는 1904년 1월 21일 야나체크가 음악학교를 세워 운영했던 브르노 국립극장(Národní divadlo v Brně, 현재는 오스트리아)에서 초연되었다. 12년이 지난 1916년 비로소 프라하에서 체코어로 공연할 수 있었다. 


'예누 파'는 가브리엘라 프레이소바(Gabriela Preissová)의 희곡 '그녀의 수양딸(Její pastorkyňa)'을 바탕으로 야나체크가 체코어 대본을 썼다. '예누 파'는 젊고 순진하며 예쁜 모라비아 아가씨의 이름이다. 이 오페라는 ‘그녀의 수양딸(Její pastorkyňa; Her stepdaughter)’로도 불린다. 으스스하고 섬뜩하며 비참하지만, 해피엔드의 요소도 있다. '예누 파'의 또 다른 제목 ‘진짜 딸이 아니다(Jeji pastorkyna; Not Her Own Daughter)’는 이 오페라의 비극성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2). Taras Bulba(타라스 불바)

'라스 불바'는 야나체크가 1915년에 쓴 관현악 광시곡이다. 야나체크는 러시아 문학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그는 러시아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였고 1898년에는 브르노에서 러시아 서클을 공동 창립하였다. 러시아 문학의 영향은 '카티아 카바노바'나 '죽은 자의 집으로부터' 등 그의 실내악이나 오페라에 나타나 있다.'타라스 불바'의 작곡에도 영향을 미쳤다. 


야나체크는 1905년 영웅적이고 잔인한 내용의 고골리 단편을 접했다. '타라스 불바'에서 외적에 저항하는 러시아 국민의 내재적 힘에 감동을 받아 10여년의 세월에 걸쳐 이 곡을 썼다. '타라스 불바'의 세 악장은 선조인 코사크 지도자가 폴란드 침략자에 대항하는 카타르시스적 에피소드를 바탕을 만들어졌다.


첫 번째 악장-그리워하는 듯한 느낌의 긴 선율을 통해 첫째 아들 안드리의 죽음에 슬퍼하는 타라스를 그렸다.

두 번째 악장-둘째 아들 오스탑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그렸다. 

세 번째 악장-피날레에서는 폴란드 군의 손에 영웅적 최후를 맞이하는 타라스를 그렸다.


3). Sinfonietta(신포니에타, 소교향곡)

'신포니에타'는 야나체크가 1926년에 작곡한 소교향곡이다. 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이 붕괴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는 해방되자 야나체크는 조국과 국민을 위한 음악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그의 오페라 '부르체크 씨의 여행'의 두 번째 이야기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를 위해 힘쓴 유명 인물들인 후스파 중세 후기 종교 개혁가들에 초점을 두었다. 


'신포니에타'는 현대 체코슬로바키인들의 축배와도 같은 작품이다. 이 곡은 1926년 체조 축제 행사의 팡파르로 처음 쓰였고, 이후 5악장의 곡으로 발전되어 오늘날 야나체크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 남아 있다. 작품은 화려한 도입부 팡파르를 시작으로 네 악장 곳곳에 회화적 요소를 암시하고 있다. 그는 점차 발전하고 있는 모라브의 수도 브르노에서 영감을 얻었다. 제목에는 '여왕의 수도원'이나 '성으로 가는 길', '시청' 등이 언급되어 있다. 네 개의 악장은 야나체크가 사랑했던 도시를 생생한 사운드로 그려 나가다가 도입부 팡파르로 승리에 차 회귀한다. 


12. 마누엘 데 파야(Manuel de Falla, 1876~1946)

마누엘 데 파야는 1876년 에스파냐 남단의 항구도시 카디스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어머니에게 피아노 교육을 받고, 고향의 음악교사에게 음악이론을 배웠다. 그 뒤 작곡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마드리드로 나와 J. 트라고에게 피아노, F. 페드렐에게 작곡을 배웠다. 페드렐은 에스파냐 민족주의음악의 아버지로서 파야에게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1905년 퍄야는 오페라 '덧없는 인생'으로 에스파냐 가극상을 수상했고, 피아노콩쿠르에서도 1위를 하여 그때부터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1909년 파야는 1주일 간의 예정으로 파리 여행을 떠났다가 거기서 7년 동안 체류했다. 그는 파리에서 C. 드뷔시, M. 라벨, P. A. 뒤카 등 프랑스 작곡가와 에스파냐 태생의 피아니스트 R. 비네스, 유학 중이던 작곡가 I. 알베니스 등과 교류하였다. 파리 체류 중 '7개의 에스파냐 민요'(1914) '에스파냐의 정원의 밤'(1916) 등을 작곡하였다. 귀국 후에 완성된 '에스파냐의 정원의 밤'에는 인상주의음악의 영향이 엿보인다. 1914년 마드리드로 돌아와 '사랑은 마술사'(1915), '삼각모자(三角帽子)'(1919) 등 2곡의 발레음악을 비롯해서 '돈키호테'에 의한 오페라 '스승 페드로의 인형이야기'(1923) 등을 작곡하였다. 1939년 파야는 연주여행을 위해 아르헨티나로 건너갔다가 그 곳에 영주하였다. 그의 음악은 열정적이고 신비적이면서도 민족적 색채가 충만하였다. 파야는 인상주의와 신고전주의 음악의 중간에 해당하는 음악가로 평가되고 있다.


1). La Vida Breve(The Short Life, 허무한 인생, 짧은 인생)

'허무한 인생' 또는 '짧은 인생'은 1905년 스페인 예술아카데미(Academia de Bellas Artes)의 오페라 경연대회에 응모해 우승을 차지한 오페라이다. 평론가들은 이 오페라에 대해 '시적 탱고로 양념을 한' 작품이라고 평했다. 전 2막으로 대본은 페르난데스쇼(Carlos Fernández-Shaw)가 썼다. 1913년 4월 1일 니스(Nice) 카시노 시민극장(Casino Municipal)에서 초연되었다. 파야는 이 오페라에서 스페인의 플라멩코(flamenco)와 아르헨티나의 탱고(tango)를 포함시켜 아름답고 이국적인 무대를 연출했다. 


베스트 아리아

(1). 웃어라! 언젠가 너희들도 울 날이 올 것이다(Laugh! one day it will be your turn to weep)'(Ms)

(2). 웃는 사람들은 오래 살고 슬프게 우는 사람들은 죽으리라!(Long live those who laugh! Death to those who weep)(S)

(3). 외로운 새처럼, 시들어가는 꽃처럼(Like the lonely bird and the flower that fades)(S)


2). El Amor Brujo(발레곡 '사랑은 마술사')
'사랑은 마술사'는 1915년 마드리드에서 초연된 발레곡이다. 성악을 포함한 1막 2장의 무곡인 이곡은 집시 이야기에서 주요 소재를 따왔다. 안달루시아 지방의 집시 처녀가 죽은 연인의 유령에 시달리면서 다른 집시 남자를 사랑하고, 마침내 유령을 잘 속여 사랑을 맺는다는 줄거리이다. 

1. 서곡과 정경, 2. 집시 방의 밤, 3. 사랑에 번민하는 노래, 4. 유령, 5. 공포의 춤, 6. 마법의 굴레(어부의 이야기), 7. 밤중(저주), 8. 불제사의 춤, 9. 정경, 10. 도깨비불의 노래, 11. 판토마임, 12. 사랑의 희롱의 춤, 13. 끝곡(새벽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3). The Three-Cornered Hat(삼각 모자)
'삼각 모자'는 파야가 1919년에 작곡한 발레곡이다. 전작 '사랑은 마법사'처럼 '삼각 모자'도 파야가 에스파냐의 대중을 위해 초기에 쓴 음악극 '시장과 물방앗간 주인의 아내'를 참고하여 만든 것이다. '삼각 모자' 책을 토대로 만든 이 작품은 에스파냐에서의 전원 생활을 주제로 한 초서풍의 간결한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직위가 제목에 언급된 ‘삼각 모자’로 상징된다. 시장은 물레방앗간 집 아내를 탐하지만 결국 꾀에 넘어가 모든 사실이 밝혀진다.

'삼각 모자'는 원래 소규모 앙상블을 위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1917년의 마드리드 공연도 성공적이었다. 마드리드 공연을 지켜본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설득으로 파야는 이 작품을 발레 뤼스가 공연할 수 있는 발레극으로 만들었다. 이 작품은 런던에서 에르네스트 앙세르메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이 공연에서 무대와 의상은 피카소, 방앗간 주인 아내는 리디아 소콜로바, 방앗간 주인과 안무는 레오니드 마신이 맡았다.

에스파냐의 전통 춤을 탐구하였던 마신과 디아길레프는 파야가 그의 음악에 에스파냐적인 요소를 강화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는 절정에 등장하는 마지막 호타 부분에 나타난다. 이 음악은 새로이 만들어진 것으로 마을 주민들이 망신을 당한 시장을 담요에 싸서 던지는 장면에 등장한다. 이 발레극은 색채감 짙은 이야기와 관능적인 메조소프라노의 노래로 초연 당시 큰 인기를 얻었다.

4). Harpsichord Concerto(하프시코드 협주곡)

5). Nights in the Gardens of Spain(스페인 정원의 밤)
'스페인 정원의 밤'은 파야가 1915년에 작곡한 협주곡이다.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교향적 인상’이라는 부제를 가진 이 작품은 제목을 제외하면 전통적 형태의 피아노 협주곡 형식에 완벽하게 부합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파야는 본래 피아니스트 리카르도 비녜스를 위한 솔로 피아노 야상곡 모음집을 만들 생각이었다. 그러나 비녜스는 이 곡이 오케스트라와 함께 할 때 더욱 큰 효과를 볼 것이라 제안하였다. 1909년 파야는 파리에서 이 곡을 쓰기 시작했을 당시에도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의 정원인 헤네랄리페를 본 적이 없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에야 그는 에스파냐로 돌아와 헤네랄리페를 방문했다.

'스페인 정원의 밤' 도입부는 에스파냐적이지만 관현악 부분에서는 프랑스 인상주의와 스트라빈스키의 '불새' 등의 러시아 음악의 영향이 엿보인다. 오케스트라가 헤네랄리페를 떠오르게 하는 배경을 설정하고, 여기에 가장 매혹적인 피아노 도입부의 하나로 알려진 피아노 솔로가 등장한다. 좀더 빠른 템포의 두 번째 악장은 '허무한 인생'에 등장하는 에스파냐 무곡과 유사한데, 마지막 악장인 코르도바 산맥의 정원으로 음악을 이끈다. 마침내 꿈같은 덧없음 속에 조용히 막을 내리며, 이 모든 것이 현실이었던가 하는 의문을 던진다.


2016.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