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3일 충주시 교현동 거리를 걷다가 나팔처럼 생긴 연분홍색 큰 꽃을 발견했다. 흔히 천사의나팔(Angel's Trumphet)로 알려진 꽃이었다. 천사의나팔은 한눈에 보아도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이 아니라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歸化植物, Naturalized plant)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느껴진다. 천사의나팔 꽃말은 '덧없는 사랑'이다. 꽃말의 유래는 잘 모르겠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등재(登載) 천사의나팔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브루그만시아 수아베올렌스 (훔볼트 & 봉플랑 엑스 빌데노브) 베르히톨트 & J.프레슬[Brugmansia suaveolens (Humb. & Bonpl. ex Willd.) Bercht. & J.Presl]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브루그만시아(Brugmansia)'는 네덜란드 식물학자 세발드 유스티누스 브루그만스(Sebald Justinus Brugmans, 1763~1819)의 성(姓) '브루그만스(Brugmans)'에 국가나 질병 또는 꽃 이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라틴어 접미사 '-이아(-ia)'가 붙어서 이루어진 근대 라틴어 고유명사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수아베올렌스(Suaveolens)'는 '달콤한 향이 나는(sweet-smelling), 향기로운(fragrant)'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다. 꽃에서 향기가 나는 천사의나팔속 식물을 표현한 이름이다. '수아베올렌스(suaveolens)'는 '달콤한(sweet), 유쾌한(pleasant), 향기로운(delicious)'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수아비스(suāvis)'와 '향기가 나다(smell), 향기를 뿜다(emit an odorolens)'라는 뜻을 가진 '올레오(oleō)'의 능동형 현재 분사 '올렌스(olens)'의 합성어다. '올렌스(olens)'는 '향기가 나는(smelling), 악취가 나는(stinking), 냄새가 나는(odorous), 향긋한(fragrant)' 등의 뜻이다.
'훔볼트(Humb.)'는 독일의 지리학자이자 자연과학자, 박물학자, 탐험가 프리드리히 빌헬름 하인리히 알렉산더 폰 훔볼트(Friedrich Wilhelm Heinrich Alexander von Humboldt, 1769~1859)다. '봉플랑(Bonpl.)'은 1799년부터 1804년까지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함께 라틴 아메리카를 여행한 프랑스 탐험가이자 식물학자 에메 자크 알렉상드르 봉플랑(Aimé Jacques Alexandre Bonpland, 1773~1858)이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 출판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빌데노브(Willd.)'는 독일의 식물학자, 약사, 식물 분류학자 카를 루트비히 빌데노브(Carl Ludwig Willdenow, 1765~1812)다. 빌데노브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하는 식물지리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이다. 훔볼트와 봉플랑이 처음 발견한 천사의나팔은 1809년 빌데노브에 의해 Datura suaveolens로 공식적으로 기술되고 출판되었다.
'베르히톨트(Bercht.)'는 독일어를 구사하는 오스트리아계 보헤미안 의사이자 식물학자 프리드리히 폰 베르히톨트(Friedrich von Berchtold, 1781~1876)다. 'J.프레슬(J.Presl)'은 체코의 자연과학자 얀 스바토플루크 프레슬(Jan Svatopluk Presl, 1791~1849)이다. 베르히톨트와 프레슬은 1823년에 Datura suaveolens를 Brugmansia suaveolens로 옮겼다.
중국어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Willd. Bercht. & Presl(大花曼陀罗), 영어판 위키피디아(Wikipedia)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Humb. & Bonpl. ex Willd.) Bercht. & J.Presl(Brazil's white angel trumpet, angel's tears, snowy angel's trumpet)은 식물계(植物界, Plantae) 관다발식물(维管植物, Tracheophyta) 피자식물(被子植物,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또는 진정쌍자엽식물(真双子叶植物, Eudicots) 국화식물(菊类植物, Asterids) 가지목(茄目, Solanales) 가지과(茄科, Solanaceae) 천사의나팔속(木曼陀罗属, Brugmansia)의 상록관목(常绿灌木)이다.
국표 등재 천사의나팔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스노위 에인즐스 트럼핏(snowy angel's trumpet)이다. '새하얀(snowy) 남미산(産) 독말풀속(Datura) 식물(angel's trumpet)'이라는 뜻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Humb. et Bonpl. ex Willd.) Sweet의 영문명은 에인즐스 트럼핏(angel's trumpet), 와이트 에인즐스 트럼핏(white angel's trumpet) 등이 있다. Wikipedia 등재 영문명은 브라질스 와이트 에인즐 트럼핏(Brazil's white angel trumpet), 에인즐스 티어즈(angel's tears), 스노위 에인즐스 트럼핏(snowy angel's trumpet) 등이 있다.
FOM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Humb. et Bonpl. ex Willd.) Sweet의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키다치쵸우센아사가오(キダチチョウセンアサガオ, 木立朝鮮朝顔)다. '나무처럼 생긴 또는 나무 같은(木立) 조선(朝鮮) 나팔꽃(朝顔)'이란 뜻이다. 키다치쵸우센아사가오(木立朝鮮朝顔)라는 이름은 나무처럼 생긴(木立) 나팔꽃(朝顔)과 비슷한 것이 에도시대(江戸時代, 1603~1868)에 약용(藥用)으로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朝鮮)를 경유하여 들어왔다는 데서 유래했다.
FOM 등재 키다치쵸우센아사가오(木立朝鮮朝顔)의 별명(別名, Synonym)은 엔제루스도란벳토(エンジェルストランペット, angel's trumpet, 천사의 나팔)、오오바나쵸우센아사가오(オオバナチョウセンアサガオ, 大花朝鮮朝顔), 카시와바쵸우센아사가오(カシワバチョウセンアサガオ, 柏葉朝鮮朝顔) 등이 있다.
FOM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Humb. et Bonpl. ex Willd.) Sweet의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따화만투어루어(大花曼佗罗)다. '큰 꽃(大花) 독말풀속(曼佗罗屬, Datura) 식물'이란 뜻이다. 維基百科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Willd. Bercht. & Presl의 중문명은 따화만투어루어(大花曼陀罗)다. '큰 꽃(大花) 독말풀(曼陀罗, 风茄儿, 洋金花, Datura stramonium)'이라는 뜻이다.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Brugmansia suaveolens (Humb. & Bonpl. ex Willd.) Bercht. & J. Presl의 중문명은 따화무만투어루어(大花木曼陀罗)다. '큰 꽃(大花) 나무(木) 독말풀(曼陀罗, 风茄儿, 洋金花, Datura stramonium)'이라는 뜻이다.
브라질스 와이트 에인즐 트럼핏(Brazil's white angel trumpet)의 원산지는 브라질 남동부 해안 열대우림(熱帶雨林, Tropical rainforest)이지만 야생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숲 가장자리를 따라 1,000m 이하 지대에서 자란다. 이 종은 인간과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현재 남아메리카 대부분의 주거 지역에서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캘리포니아, 그리스, 아프리카 및 플로리다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Wikipedia).
키다치쵸우센아사가오(木立朝鮮朝顔)의 원산지는 브라질, 볼리비아, 페루 등 남아메리카다. 일본에서는 귀화종(帰化種)이다(FOM).
따화만투어루어(大花曼陀罗, Brugmansia suaveolens)의 원산지는 브라질 남동부 해안이지만, 이 지역에서는 사라지고 누벨칼레도니(Nouvelle-Calédonie)에서 침입종이 되었다(維基百科). 따화무만투어루어(大花木曼陀罗)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브라질 남동부다. 중국에서는 화난(华南) 지방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재배한다(百度百科).
따화만투어루어(大花曼陀罗)의 키는 3~5m까지 자란다. 그늘에서 자라면 훨씬 더 크는 경향이 있다. 줄기에서 가지가 많이 벋는다. 잎은 가지 끝에서 뭉쳐나고 난형(卵形)이며, 길이 25cm, 너비 15cm 정도이다.
꽃은 줄기 끝에서 피고, 나팔 또는 트럼핏 모양이며, 대부분 아래로 처진다. 꽃 길이는 약 20~32cm이다. 꽃색은 일반적으로 흰색(白色, white)이지만 노란색(黃色, yellow) 또는 분홍색(粉紅色, pink)도 있다. 꽃에서는 매우 아름답고 달콤한 향기(香氣)가 난다. 화관(花冠, 꽃부리)의 끝 5곳은 대부분 접혀서 뒤로 젖혀지지만, 젖혀지지 않는 것도 있다.
키다치쵸우센아사가오속(木立朝鮮朝顔屬) 또는 천사의나팔속(木曼陀罗属, Brugmansia) 재배품종(栽培品種, cultivar)은 US, 독일, 덴마크에서 많이 만들어져 현재 1,000종 이상을 헤아린다. 꽃색도 백색, 황색, 주황색, 핑크색 등 다양하다. 화관은 2중 겹꽃, 3중 겹꽃 또는 그 이상도 있다.
쵸우센아사가오속(朝鮮朝顔屬属) 또는 독말풀속(曼陀罗屬, Datura) 식물은 꽃이 위쪽으로 달리고, 열매에 가시가 있다(FOM).
천사의나팔 잎과 꽃, 열매에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히요스티아민(hyoscyamine) 등 독성(毒性) 알칼로이드(alkaloid)가 들어 있다. 이들 독성 물질에 중독될 경우 평활근 마비, 착란, 망상, 빈맥, 구강 건조, 변비, 환각, 동공 산동(散瞳), 모양체근 마비(cycloplegia) 등이 발생하며,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국표 등재 천사의나팔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없다. 국표 등재 천사의나팔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은 붉은천사의나팔[Brugmansia sanguinea (Ruiz & Pav.) D.Don], 아보레아천사의나팔[Brugmansia arborea (L.) Steud.], 천사의나팔 '그랜드 마르니에'(Brugmansia × candida 'Grand Marnier'), 황금천사의나팔 '골든 퀸'(Brugmansia aurea 'Golden Queen') 등 4종이 있다.
붉은천사의나팔(Red angels' trumpet, ブルグマンシア・サングイネア) 원산지는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다. 키는 높이 10m까지 자란다. 에콰도르 고지대와 콜롬비아에서 페루 안데스 고지대에 이르는 지역에서 스코폴라민 채취를 위해 약용식물로 재배되고 있다. 꽃은 길이 20~25㎝이다. 꽃색은 주황색 또는 적색이며, 황색 맥이 뚜렷하다.
아보레아천사의나팔(Maikoa,Angel's trumpet, 木本曼陀罗) 원산지는 열대 아메리카이며, 중국 북부와 남부에 도입 및 재배되고 있다. 키는 2m 이상 자란다. 꽃은 단독으로 달리고, 아래로 처진다. 작은 꽃자루(花梗)의 길이는 3~5cm이다. 꽃받침은 관형(筒状)이고, 중앙이 약간 부어 있다. 화관은 흰색이고 녹색 맥이 있으며, 긴 깔때기 모양이다. 화관 중앙 아래로는 가늘어지고, 위로는 점차 팽창하여 나팔 모양으로 된다.
천사의나팔 '그랜드 마르니에'(angel's trumpet 'Grand Marnier')의 원산지는 페루다. Brugmansia × candida Pers.(コダチチョウセンアサガオ, angel's trumpet, 木本曼陀羅)의 한 품종이다. Brugmansia aurea와 Brugmansia versicolor의 자연교잡종(自然交雑種)이다. 황금천사의나팔 '골든 퀸'도 Brugmansia × candida Pers.의 한 품종이다.
2020. 10. 29. 林 山. 2024. 4. 9. 최종 수정
#천사의나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