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22일 주말 연꽃을 보기 위해 궁남지(宮南池)를 찾았다. 하지만 궁남지는 연꽃 철이 한참 지난 뒤여서 끝물 몇 송이만 눈에 띄었다. 궁남지에서 연꽃 대신 만난 꽃은 물옥잠이었다. 키가 큰 연꽃 꽃대와 잎줄기 아래에는 바야흐로 물옥잠이 제철을 만나기라도 한 듯 자주색 꽃들을 피워 올리고 있었다.
물옥잠 주변에는 선홍색의 큰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낯선 꽃이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도 등재되지 않은 식물이었다. 모양은 접시꽃이나 무궁화와 비슷했지만, 크기는 그들보다 훨씬 컸다.
수소문한 끝에 이 식물의 이름이 물무궁화라는 것을 알았다. 물무궁화는 아욱목(Malvales) 아욱과(Malvaceae) 무궁화속(Hibiscus)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히비스커스 콕치네우스(Hibiscus coccineus)다. 히비스커스(Hibiscus)는 무궁화속, 라틴어 콕치네우스(coccineus)는 '선홍색(coloured or dyed scarlet)'이라는 뜻이다. 무궁화속에는 약 250여 종의 식물이 있다.
물무궁화의 영어명은 스왐프 히비스커스(Swamp hibiscus, 물무궁화), 스칼럿 로즈맬로우(Scarlet rosemallow, 홍촉규), 텍서스 스타(Texas star), 브릴리언트 히비스커스(Brilliant hibiscus)이다. 흰색 꽃 물무궁화는 화이트 텍서스 스타(White Texas star), 론 스타 히비스커스(Lone star hibiscus)이다. 중국명은 홍치우쿠이(红秋葵)이다. 일본명은 모미지아오이(モミジアオイ, 紅葉葵) 또는 고우숏키(こうしょっき, 紅蜀葵)이다. 물무궁화를 단풍잎촉규화, 단풍잎부용라고도 한다. 한국 추천명은 아직 없다.
물무궁화의 원산지는 미국이다. 물무궁화는 미국 남동부 해안 평야의 늪지나 습지에서 자란다. 버지니아 남동부에서 남쪽으로 플로리다, 그리고 서쪽으로 루이지애나에 이르기까지 자생한다. 일반적인 이름 텍서스 스타(Texas star), 화이트 텍서스 스타(White Texas star)에도 불구하고 물무궁화는 텍서스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물무궁화의 키는 1.8~2m 정도 곧게 자란다. 줄기는 둥글고 가는 초본성으로 붉은빛을 띤 분백색이며, 겨울에는 지상부가 말라죽고, 봄이 되면 다시 싹이 나와 자라서 꽃이 핀다. 줄기와 잎에는 털이 없고, 분백으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고, 손바닥 또는 단풍잎 모양이며,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길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붉은 빛을 띤다. 꽃은 여름부터 이른 가을까지 핀다. 꽃의 직경은 12~20cm이다. 꽃잎은 5장으로 장타원형이며, 선홍색이다. 암술대는 길게 돌출하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4실이며, 각 실에는 검고 둥근 모양의 종자가 들어있다.
2020. 11. 29.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토리아 아마조니카 (0) | 2020.12.02 |
---|---|
물양귀비 (0) | 2020.12.01 |
물옥잠 (0) | 2020.11.27 |
쑥부쟁이 '그리움, 기다림' (0) | 2020.11.26 |
미역취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