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배초향(排草香) '향수'

林 山 2020. 12. 30. 15:32

2002년 7월 21일이었을 거다. 충주시 교현동 갱고개 도로변에는 오래된 집이 한 채 있었다. 앞마당 대신에 손바닥만한 텃밭을 가진 집이었다. 인도 옆에는 돌을 쌓아서 밭둑을 만들었는데, 밭둑 돌틈바구니에서는 어느 때부터인가 들깨 비슷하게 생긴 풀 한 포기가 자라나고 있었다. 갱고개를 오르내릴 때마다 이 풀이 들깨인 줄로만 알고 있었다.

어느 날 호기심에 이파리를 뜯어서 냄새를 맡아보니 향이 특이했다. 그때서야 이 풀이 들깨가 아니라 배초향(排草香)이라는 것을 알았다. 배초향이라는 식물을 처음 알게 된 순간이었다. 충주에서는 배초향을 방아라고도 하고, 방아풀, 방아대라고도 했다. 이후 갱고개를 지나갈 때마다 배초향 이파리를 따서 콧속에 집어넣고 상큼한 향을 맡곤 했다.

그런데, 얼마 뒤 식물 관련 글을 보다가 배초향과 방아풀이 다른 속(屬) 식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방아풀(Bangahpul (East Asian soup-mint)은 꿀풀과 산박하속(Isodon), 배초향은 꿀풀과 배초향속(Agastache) 식물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방아풀의 이명은 회채화(回菜花)이다. 북한명은 방아오리방풀(추천명), 이명에는 남색방아오리방풀, 연명초(延命草), 회채화 등이 있다. 연명초(延命草)는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배초향(백두대간 함백산, 2015. 8. 10)

배초향(排草香)은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초향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배초향은 배초향속 자생식물로서는 유일한 종이다. 배초향이라는 이름은 다른 풀(草)의 향기(香)를 밀어낼(排) 정도로 향이 강하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잎을 뜯어서 냄새를 맡아보면 배초향이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꽃말은 '향수'이다.

국표에 등재된 배초향의 이명에는 방아잎, 방아풀, 방애잎, 방앳잎, 중개풀, 흰배초향 등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방아잎(비추천명), 깨나물, 대박하, 방아, 방애, 중개풀, 참뇌기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옛날에는 배초향과 방아풀을 구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북한에서는 배초향(추천명), 깨풀, 방아풀, 털배초향, 토곽향(土藿香)이라고 한다.

국표, 국생정에 등재된 배초향의 학명은 아가스타케 루고사 (피쉬 & C.A.마이어) 쿤체[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이다. 윅셔너리(Wiktionary)를 인용하면 속명 '아가스타케(Agastache)'는 영국의 북아메리카 식민지 버지니아(Virginia)의 글로스터 카운티(Gloucester County)에서 수십 년 간 사무원으로 근무한 성공회 목사이자 식물학자 존 클레이튼(John Clayton, 1694/5~1773)이 '매우, 아주, 몹시(very much)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아간(ágan)'과 '곡식의 이삭(ear of grain)'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스타쿠스(stákhus)'를 합성해서 만든 영어 명사다. 배초향속의 자이언트 히섭(giant hyssop)을 가리킨다. 꽃이삭이 긴 모습을 표현한 속명이다. 영어 'agastache'의 발음은 '아가스타쉬', 뜻은 '방아잎'이다.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를 인용하면 속명 '아가스타케(Agastache)'는 그리스어의 강조형 접두사 '아가(aga)'가 '곡식의 이삭, 자식(ear of grain, offspring)'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스타키스(stáchys)'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 '스타케(stache)' 앞에 붙어서 이루어진 근대 라틴어의 차용어다. 발음은 '어가스터케[ə-ˈga-stə-(ˌ)kē]'이다.

'피셔(Fisch.)'는 네 명이 있다.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피셔(Friedrich Ernst Ludwig von Fischer, 1782~1854)는 독일에서 태어난 러시아 식물학자이다. 에마누엘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피셔(Emanuel Friedrich Ludwig Fischer, 1828~1907)는 스위스의 식물학자이다. 그는 주로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s)과 은화식물(隱花植物, cryptogamous plants)을 연구했다. 알프레드 피셔(Alfred Fischer, 1858~1913)는 독일의 식물학자다. 그는 식물 병리학에서 박테리아의 역할에 대해 어윈 프링크 스미스(Erwin Frink Smith)와 벌인 논쟁으로 유명하다. 에두아르트 피셔(Eduard Fischer, 1861~1939)는 에마누엘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피셔의 아들로 스위스의 식물학자이자 균류학자다. 배초향의 학명에 들어간 '피셔(Fisch.)'는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피셔이다.

'C.A.마이어(C.A.Mey.)'는 독일계 러시아 식물학자이자 탐험가 칼 안톤 폰 마이어(Carl Anton von Meyer, 1795~1855)다. 마이어는 183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아카데미에서 식물학자로 일하기 시작했을 때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피셔와 함께 연구 활동을 했다. '쿤체(Kuntze)'는 독일의 식물학자 카를 에른스트 오토 쿤체(Carl Ernst Otto Kuntze, 1843~1907)이다.

종소명 '루고사(rugosa)'는 라틴어 '루고수스(rūgōsus)'의 여성형 단수 탈격 형용사이다. '루고수스(rūgōsus)'는 '주름(wrinkle)'이란 뜻의 인도유럽조어(h₁roug-h₂) 기원의 이탈리아조어 '루가(rougā)'에서 유래한 '루가(rūga)'에 라틴어 형용사형 접미사 '오수스(-osus)'가 붙은 것이다. 명사에 붙어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오수스(-osus)'는 '~로 가득찬(full of), 너무, 몹시(overly), ~을 잘 하는, ~의 경향이 있는(prone to)'의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에 등재된 배초향의 영어명은 코리언 민트(Korean mint)이다. '한강토(조선반도) 박하(薄荷)'라는 뜻이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미카와의 식물 관찰, FOM)에는 차이니즈 자이언트 히섭(Chinese giant-hyssop)이라는 영어명도 등재되어 있다. 국표와 국생정, FOM에 등재된 일본명은 가와미도리(カワミドリ, 河碧, 川緑, 藿香, 排草香)이다. FOM에는 가와미도리(カワミドリ, 河碧, 川緑), 네이버 일본어 사전에는 가와미도리(カワミドリ, 藿香, 排草香)으로 등재되어 있다. '곽향(藿香)'는 '갓코우(カッコウ)'라고도 한다.

FOM과 중문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중국명은 훠샹(藿香)이다. 바이두백과에는 허샹(合香), 창가오(苍告), 샨후이샹(山茴香)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훠샹(藿香)이라는 이름은 중국 밍(明)나라 리싀젠(李時珍)이 쓴 '뻰차오강무(本草綱目)'에 '꽃다운 향기(芳香)가 있고, 콩잎(豆叶)을 훠(藿)라고 하는데, 그 잎이 콩잎과 비슷해서 훠샹(藿香)이라고 부른다.'고 실려 있다. 훠샹(藿香)은 동한(东汉)의 양푸(杨孚)가 쓴 '이우즈(异物志)'에 실린 '훠샹쟈오즈여우즈(藿香交趾有之. 훠샹은 쟈오즈에서 난다.)'라고 한 구절에 처음 등장한다. 쟈오즈(交趾)는 한(汉) 나라 때의 군 이름인데, 지금의 베트남 북부 일대에 해당한다.

배초향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 타이완, 러시아, 베트남이다. 일본에는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에 분포한다(FOM). 훠샹(藿香)의 원산지는 동아시아다(維基百科). 중국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주요 분포지는 쓰촨(四川), 쟝쑤(江苏) 등지다. 광둥(广东)의 자오칭(肇庆), 까오야오(高要), 시쟝(西江) 주변 지역은 훠샹의 집산지이다(百度百科).

배초향은 한강토, 중국, 타이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에 분포한다. 햇볕이 잘 들고, 다소 습하며, 비옥한 땅에서 잘 자란다. 그늘진 곳에서는 향기가 떨어진다(국생정).

 

배초향(청옥산 중봉계곡, 2013. 9. 1)

배초향의 키는 40~100cm 정도이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심장형(卵狀心臟形)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圓底) 또는 아심장저(亞心臟底)이다.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순형(脣形)으로서 7~9월에 자주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윤산화서(輪繖花序)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좁은 삼각형이다. 꽃잎은 밑부분의 것이 길고, 옆의 것에 톱니가 있으며, 둘긴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분과(分果)이다. 분과는 도란상 타원형(倒卵狀橢圓形)이며, 편평한 삼릉과상(三稜跨狀)이다.

 

배초향( 청옥산 중봉계곡, 2013. 9. 1)

배초향은 정원 주변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심어도 좋고, 절화용(折花用) 소재로 이용해도 좋다. 배초향은 염료(染料)로도 이용할 수 있다. 잘게 썬 줄기와 잎을 20분간 끓여서 염액(染液)을 추출한다. 매염제(媒染劑)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짙고 깊은 색을 얻을 수 있다.

 

배초향(백두대간 함백산, 2020. 9. 6)

배초향은 전초에서 강한 향기가 나므로 말려서 차로 이용할 수 있다. 5~8월경 채취한 어린싹과 잎은 날 것으로, 또는 데쳐서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생잎을 이용하여 생선 비린내를 제거하거나 육류 요리를 할 때 냄새를 없애는 향신채(香辛菜)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경상도에서는 생선 매운탕이나 추어탕을 끓일 때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배초향 이파리를 넣는다. 부침개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충주 지방에서는 배초향을 향신료로 쓰는 집을 거의 보지 못했다. 이 향에 익숙하지 않아서 꺼리는 사람들도 많다. 배초향은 밀원식물(蜜源植物)로도 이용된다. 술을 담가서도 쓴다.

 

배초향(백두대간 함백산, 2020. 9. 6)

중국에서는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의 전초를 말린 것을 본초명 광훠샹(广藿香)이라고 해서 한약재로 쓴다. 중국에서는 밍(明)나라 때부터 훠샹(藿香)을 광허샹(广藿香) 대용으로 써 왔다(維基百科). 한국에서는 배초향의 전초를 말린 것을 본초명 곽향(藿香)이라고 하며, 광곽향 대용으로 쓰고 있다. 곽향과 광곽향의 약성은 거의 같다.

 

배초향(충주 계명 산, 2020. 9. 12)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배초향과 광곽향을 모두 본초명 광곽향이라고 한다. 광곽향은 본초학에서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으로 분류된다. 방향화습(芳香化濕), 화중지구(和中止嘔), 발표해서(發表解暑)의 효능이 있어 습탁중조(濕濁中阻), 완비구토(脘痞嘔吐), 서습권태(暑濕倦怠), 흉민불서(胸悶不舒), 한습폐서(寒濕閉署), 복통토사(腹痛吐瀉), 비연두통(鼻淵頭痛) 등을 치료한다. 광곽향이 들어가는 대표적인 처방이 여름철 냉방병이나 배탈, 복통, 구토, 설사 주치방인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이다.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는 소음인(少陰人)의 이한병(裡寒病, 내장 장기들에 생긴 한증) 중 태음복통증(太陰腹痛症)의 가벼운 증세 등에 사용하였다.

'동의보감' <탕액편 : 나무>에는 곽향에 대해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풍수와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앤다. 곽란을 멎게 하며, 비위병으로 오는 구토와 구역질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필요한 약이다[본초]. ○ 수족태음경에 들어가며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풍한을 헤치는데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 영곽(苓藿)은 퍼석퍼석하고 바짝 마르므로 옛사람들이 피우는 향 만드는 데 썼다[본초]. ○ 약으로는 물로 씻어 흙과 줄기를 버리고 잎을 쓴다[입문].'고 나와 있다.

 

배초향(충주시 산척면 월현, 2005. 9. 18)

국표 등재 배초향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노랑배초향(Hyssop Yellow giant, Yellow giant hyssop, catnip giant hyssop, アガスターシェ・ネペトイデス, イエロージャイアントヒソップ), 주황배초향(orange hummingbird mint, giant orange hyssop, アガスターシェ・オーランティカ, ジャイアントオレンジヒソップ), 파랑배초향(Korean mint, Hyssop Anise, Hyssop Blue giant, blue giant hyssop, Hyssop Fennel giant, Hyssop Fragrant giant, fragrant giant hyssop, lavender giant hyssop, Anise hyssop, シロバナカワミドリ, 白花川緑, アニスヒソップ, ノースアメリカンミント, フェンネルヒソップ), 쐐기풀잎배초향(Hyssop Nettle-leaf, nettle-leaf giant hyssop, horsemint, アガスターシェ・ウルティシフォリア), 꽃배초향 '블랙 애더'(Agastache 'Black Adder', ブラックアダー), 꽃배초향 '키에가비'(giant hyssop, Acapulco Bicolor Salmon Rose), 배초향 '골든 주빌리'(Hyssop Wrinkled giant) 등 7종이 있다.

노랑배초향[Agastache nepetoides (L.) Kuntze]의 원산지는 캐나다, USA 등 북아메리카이다. 키는 1~2m이고, 줄기는 4각형이다. 이삭꽃차례는 길이 20cm 이하이고, 지름은 1~1.5cm이다. 꽃은 이삭꽃차례의 꼭대기에 빽빽하게 달린다. 꽃잎은 노란색 또는 녹황색이다. 주황배초향[Agastache aurantiaca (A.Gray) Lint & Epling]의 원산지는 메히꼬(México)이다. 키는 60~100cm이다. 꽃은 7~9월에 주황색(橙色)으로 핀다. 파랑배초향[Agastache foeniculum (Pursh) Kuntze]의 원산지는 캐나다, USA 등 북아메리카이다. 키는 30~90cm이다. 꽃차례는 윤산화서가 밀집된 원통형 이삭꽃차례이고, 길이 8~20cm, 지름 2.5cm이다. 꽃은 6~10월 이삭꽃차례 기부에서부터 파랑색(青色) 또는 라벤더색으로 핀다. 흰색 꽃도 있다. 쐐기풀잎배초향[Agastache urticifolia (Benth.) Kuntze]의 원산지는 캐나다, USA 등 북아메리카이다. 키는 30~180cm이다. 포복하는 뿌리줄기가 뻗어나간다. 줄기는 4능형이고, 털은 없다. 정생(頂生)하는 이삭꽃차례는 다소 좁은 원뿔 모양의 원통형이고, 길이는 약 15cm이다. 꽃은 6~8월 장미색, 장미빛을 띤 자주색, 보라색으로 핀다. 흰색 꽃도 있다. 꽃받침은 연녹색(淡緑色) 또는 담자색(淡紫色)이다. 수술이 길게 튀어나온다. 꽃배초향 '블랙 애더'(Agastache 'Black Adder')는 꽃받침이 짙은 자색(暗紫色)이고, 꽃은 연보라색(淡藤色)이다. 꽃배초향 '키에가비'(Agastache 'Kiegabi')의 키는 약 50cm 정도이다. 꽃은 6~10월에 오린지 브라운색(orange brown) 또는 블루 핑크색(blue pink)으로 핀다. 배초향 '골든 주빌리'(Agastache rugosa 'Golden Jubilee')는 배초향의 품종이다. 키는 60~90cm 정도까지 자란다. 꽃은 7~9월에 바이올렛 핑크색(violet pink)으로 핀다.

2020. 12. 30. 林 山. 2023.5.1. 최종 수정

#배초향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범의꼬리  (0) 2021.01.02
까마중  (0) 2020.12.31
고려엉겅퀴(곤드레, Gondre) '건드리지 마세요'  (0) 2020.12.28
각시취  (0) 2020.12.26
쥐손이풀 '끝없는 사랑'  (0)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