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아닌 무궁화(無窮花)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무궁화는 현재 대한민국의 국화(國花)이며, 나라를 상징하는 국장(國章)이기도 하다. 대통령 휘장(徽章)부터 국회의원 배지, 법원 휘장, 경찰관과 교도관의 계급장 등 나라의 거의 모든 상징은 무궁화이다.
하지만 강효백은 자신의 저서 ‘두 얼굴의 무궁화’에서 이런 무궁화의 위상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배척한다. 무궁화가 우리 고서(古書)에서 거의 ‘피어본 적이 없는’ 꽃이며 오히려 ‘일본의 꽃’이라고 주장한다. 강효백의 주장은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상식을 뒤집어엎는 것이어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조현래(필명)는 강효백의 주장에 대해 친일파 또는 친일 잔재의 척결이라는 과잉 목적의식이 현실과 실제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경지에 이르렀다고 비판한다. 그는 박정희 독재정권이 무궁화를 권위주의와 국가의 상징으로 과도하게 선전한 것에 대한 비판은 정당하지만, 그것이 사실을 부정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것이어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비판한다.
강효백만 나라꽃으로서 무궁화의 부적격성을 주장한 것은 아니다. 1956년 당시 일간지에 화훼연구가 조동화와 식물학자 이민재가 나라꽃으로서 무궁화의 부적격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요즘도 사회 일각에서 애국가와 국화를 다시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애국가는 작곡자가 친일파이고, 가사도 시대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국화도 무궁화가 국민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조현래-강효백 두 사람의 논쟁이 국민들로 하여금 무궁화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林 山>
■ ['두 얼굴의 무궁화'에 대한 비판(45)] 거짓과 왜곡으로 우리의 옛 문헌을 비하하고 폄훼하다.
[두 얼굴의 무궁화] 17. 국내 무궁화 관련 텍스트가 정사(正史)에 무궁화가 단 한 자도 없는 사실은 은폐하는 대신에 주변의 유설류와 일본과 중국의 무궁화 관련 기록을 견강부회·표절·오역·변조·가필하지 않았더라면,(p.17) 이밖에도 '문화콘텐트진흥원'과 '무궁화 사랑 중앙회' 등 무궁화 관련 기존 국내 텍스트는 무궁화의 한반도 역사상 존재근거를 『삼국사기』,『삼국유사』, 『제왕운기』, 『고려사』,『고려사절요』,『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 등 한국 7대 대표 사서가 아닌 극소수 유설류나 개인문집-『지봉유설』, 『익재난고』,『아계유고』, 『한정록』,『계곡선생문집』,『학봉일고』, 『증보문헌지고』,『청장관전서』, 『고산유고』, 『재물보』,『순암선생문집』, 『어우집』 등을 열거하고 있는데…. 필자가 오랜 시간 전수분석해 본 결과 이것들은 대부분 중국 문헌을 차운, 인용한 것 또는 의도적 오역, 위변조, 상호표절, 후대에 가필되거나 견강부회식 해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미주31) (p.62) *미주31)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_id=&cp_code=cp0613; http://www.mghlove.or.kr/bbs/board.php?bo_table=history (p.391)
|
《fact check(1)》 무궁화가 정사(正史)에 단 한자도 없다고? - 전혀 사실이 아니다.
▶ 정사(正史)란 무엇인가?
- 정사(正史)라는 개념은 뜻이 그리 명확하지 않고 불확정적이다.
- 정사에 대해 흔히 사용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각 왕조가 정통으로 인정하여 편찬한 사서(史書)로 민간에서 개인이 저술한 야사(野史), 패사(稗史) 등과 구별된다."(「두산백과사전」중 '정사')라는 개념으로 보자면, 그가 말하는 "한국 7대 대표 사서" 중에 승려 일연이 지은『삼국유사』(1281)와 이승휴가 지은『제왕운기』(1287)는 정사가 아니다. 정사인『삼국사기』(1145)에는 단군신화가 나오지 않는 반면에 야사인『삼국유사』와『제왕운기』에는 단군신화가 수록되어 있으므로,『두 얼굴의 무궁화』의 논리를 빌자면 단군신화를 언급하면 정사에 반하는 것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하는 것인가?
- 정사에 대해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로 반대되는 개념으로 야사(野史)나 패사(稗史)가 있다."(위키피디아)라는 개념으로 보자면, 그가 말하는 "한국 7대 대표 사서" 중에 편년체(編年體)로 작성된『조선왕조실록』과『승정원일기』는 정사가 아니다. 그러면 정사가 아닌『조선왕조실록』과『승정원일기』에 나오는 내용을 말하면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하는 것인가?
-『두 얼굴의 무궁화』가 낡은 옛 틀을 굳이 언급한 이유가 국가적 과제로 역대 시문학을 모은『동문선(東文選)』(1487), 왕의 어명으로 왕실과 백성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자 저술된『동의보감(東醫寶鑑)』(1613), 조선 후기의 외교관계 문서들을 모은『동문휘고』(1788) 등에 무궁화가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숨기고 왜곡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면 억측인가?
-『두 얼굴의 무궁화』가 이런 낡은 불확정적 개념을 사용하면서도 인용하는 일본 문헌에 대해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에 또 다른 함정이 있다. 즉, 일본의 문헌에 대해서는 정사는 커녕 개인들 블로그의 지극히 주관적인 글들도 움직일 수 없는 사실로 만들어 놓고서는 무궁화에 대한 기록이 일본에서는 풍부하지만 우리 역사와 문화에서는 없거나 극히 지엽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행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이는 앞서 바로잡기에서 무수히 살펴 본 바와 같다).
▶ '한국의 7대 대표 사서'(?)에 무궁화에 대한 기록이 없다고?
- 한국의 7대 대표 사서라는 것이 어떻게 선정된 것이며, 『동국통감』,『동사강목』 그리고『해동역사』와 같은 역사서들은 왜 빠져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그가 언급한 것이 한국 7대 대표사서라고 하더라도 무궁화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 편년체의 사료로 정리된『조선왕조실록』의 연산군 11년(1505) 10월 18일의 '朝槿'(조근: 아침에 피는 무궁화)으로, 인조 1년 계해(1623) 7월 27일에 "善男顔如槿"(무궁화 꽃 같은 멋진 남자)라는 표현으로 2회 기록되었다.
- 조선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매일매일 취급한 문서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로서 국보 제303호로 지정된 『승정원일기』에서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말로서 '槿域'(근역: 무궁화의 나라)이 3회 기록되었다.
-『두 얼굴의 무궁화』가 7대 대표 사서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왕의 명으로 편찬된 역대 시문선집인 『동문선』(1478)에도 무궁화 관련 내용이 다수 기록되었고, 조선시대 지방 관아의 등록류 문서들을 해서체로 정서하여 편찬한 사료집인『각사등록』과 조선 후기 국가의 외교문서를 모아 정리한『동문휘고』에도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槿域'(근역)이 다수 언급되고 기록되었다.
《fact check(2)》 무궁화가 기록된 문헌은?
▶ 한국콘텐트진흥원에서 언급된 무궁화 기록 문헌은?
-『두 얼굴의 무궁화』는 무궁화를 기록한 우리의 옛 문헌이 극소수 유설류나 개인문집이라고 하면서 여러 문헌을 언급하고, 그 출처를 미주31)에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료를 언급하고 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무궁화를 기록한 우리의 옛 문헌으로 언급한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
- 미주31)에 링크된 곳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문화원형 라이브러리」의 '무궁화이야기'이다.[이에 대해서는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_id_&cp_code=cp0613 참조]
『향약집성방』, 『동의보감』,『정효공주묘지병서』,『정혜공주묘지병서』,『동국이상국집』 ,『지봉유설』, 『익재난고』,『동문선』, 『아계유고』, 『한정록』,『상촌선생집』,『계곡선생문집』,『학봉일고』, 『양촌선생문집』,『사가시집』,『해유록』,『성호사설』,『증보문헌지고』,『동사강목』,『해동역사』,『청장관전서』, 『고산유고』,『재물보』,『다산시문집』,『순암선생문집』, 『어우집』,『임원경제지』,『조선왕조실록』,『일사집략』,『수당집』,『오주연문장전산고』, 『매천집』, 『조선상식문답』
|
▶ 인용에서 사라진 문헌은?
- 링크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무궁화 이야기'에는 무궁화를 기록한 것으로 언급되었지만『두 얼굴의 무궁화』에서는 유설류나 개인문집이 아닌 상당수의 문헌들이 인용에서 사라졌는데, 위 박스에서 이 문헌들을 붉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향약집성방』(1433)과『동의보감』(1613)처럼 왕명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편찬했던 의학서에도 무궁화가 기록되었지만, 극소수 유설류와 개인문집 운운하면서 인용에서 사라졌다.
-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인『동문선』(1478)에도 다수의 무궁화 관련 시문들이 실려 있지만, 극소수 유설류와 개인문집 운운하면서 인용에서 사라졌다.
-『두 얼굴의 무궁화』의 저자 스스로가 정사 또는 '한국 7대 대표 사서' 운운했던『조선왕조실록』에도 무궁화가 기록되었지만.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 운운하면서 인용에서 사라졌다.
- 실학자들이 저술한『다산시문집』(19세기 중반), 『임원경제지』(1842년 추정) 및 『오주연문장전선고』(1850년 중반경)에도 무궁화가 여러차례 언급되고 고찰되었지만,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 운운하면서 인용에서 사라졌다.
-『동사강목』(1756)과『해동역사』(1821)과 같이 고조선에서 고려시대까지 우리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에서도 무궁화 관련 기록이 실려 있지만,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 운운하면서 인용에서 사라졌다.
- 우리의 역사와 조상들의 삶을 알 수 있는 이들 옛 문헌은 국보이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까지 된 문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일 뿐이어서 취급조차 하지 말아야 할 문헌이라는 말인가?
▶ 『동국문헌비고』: 의문의 1패를 당하다.
-『두 얼굴의 무궁화』, p.62에는 극소수의 유설류나 개인문집으로 『증보문헌지고』를 열거하고 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무궁화 이야기'에 무궁화가 수록된 문헌으로 언급된『증보문헌지고』부분에는 "1770년에 간행된 ≪증보문헌비고≫에는 ≪산해경≫ ≪고금기≫ 등의 무궁화에 관한 기술이 같은 내용으로 실려 있는데, 이는 이수광의 의견을 따른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는『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1770)을 말하는 것이다.
- 1770년에 영조의 명을 받아 서명응(徐命膺), 채제공(蔡濟恭), 서호수(徐浩修), 신경준(申景濬) 등 당대의 학자들이 다수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상고시대부터 당시 조선시대까지 역사, 문물과 각종 제도에 관한 기록을 뽑아 서술하여『동국문헌비고』를 완성하였고, 그 이후 사실이 많이 빠져 계속 보완과 증보의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1782년에 다시 이만운(李萬運) 등이 재편찬에 착수하여 1790년에『증정동국문헌비고(增訂東國文獻備考)』(1790)로 일단락되었고, 다시 1895년의 갑오경장으로 제도와 문물이 크게 바뀌자 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고종의 명으로 1903년에 홍문관 안에 찬집소(纂輯所)를 두고 박용대(朴容大) 등 33명이『증정동국문헌비고』를 개찬하여 1908년에『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를 완성하여 1908년에 간행하였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언급된『증보문헌지고』는 『동국문헌비고』(1770), 『증정동국문헌비고』(1790) 및『증보문헌비고』(1908)라는 일련의 국가적 차원에서 상고시대때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의 역사, 문물 및 제도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여 편찬하고 이를 보완하고 증보한 문헌을 말한다.
-『동국문헌비고』(증정동국문헌비고 및 증보문헌비고 포함)에 실렸다는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군자국'과 '무궁화'(槿花 및 木槿花)를 인식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얼굴의 무궁화』에 따르면 ,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일 뿐이고 중국 문헌을 차운, 인용한 것 또는 의도적 오역, 위변조, 상호표절, 후대에 가필되거나 견강부회식으로 해석한 것에 불과한 것이 된다.
《fact check(3)》 극소수의 유설류와 개인문집 그리고 우리의 옛 문헌에 대한 비하와 폄훼
▶ 유설류는 무엇인가?
- '유설(謬說)'은 이치에 어긋나거나 잘못된 말을 뜻하고, '유설(流說)'은 이 사람 저 사람 입에 오르내리며 근거 없이 떠도는 소문을 뜻한다. 『두 얼굴의 무궁화』는 유설류라고 언급하면서 한자 표현을 하지 않아 마치 잘못되거나 근거없는 말이나 소문의 뉘앙스를 느끼게 한다.
-『두 얼굴의 무궁화』에서 언급한 유설류는『지봉유설(芝峰類說)』이 함께 언급된 것으로 보아 유설(類說)의 뜻으로 읽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무궁화가 기록된 유설(類說) 문헌은 왜 극소수라는 수식어를 붙이는지 의문스럽기 그지 없다.
- 학문적으로 『지봉유설(芝峰類說)』과 같은 문헌은 '유서(類書)'라고 한다. 유서는 내용을 사항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책으로 동양의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전 영역 또는 일정한 영역에 걸친 많은 서적으로부터 시문, 인물, 전고(典故), 천문, 지리, 전장(典章), 제도, 비금(飛禽), 주수(走獸), 초목, 충어(蟲魚) 및 기타 많은 사물 등과 관련한 문장을 뽑아 유별(類別), 운별(韻別), 자별(字別) 등으로 편찬함으로써 검색과 다양한 정보 습득에 편리하도록 만든 서적으로 현대의 '백과사전'과 유사하다[이에 대해서는 유희 지음, 김형태 옮김,『물명고(上)』, 소명출판(2020), 머리말 참조].
- 유서는 옛 문헌의 글을 옮겨 와 정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어떤 항목에 대해 어떤 문헌을 빌어 올 것인지에 대한 저자의 판단이 필요하고 그 항목별 배치와 항목에 대한 추가내용 등에서 저자의 생각이 반영될 수 밖에 없으므로 중요한 역사적 사료이며, 동시에 각 분야를 망라하고 있어 옛 문화, 제도 및 인식을 알기 위한 더없이 중요한 자료이 다.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무궁화 이야기'에 언급된 문헌 중에는『지봉유설』,『성호사설』,『증보문헌비고』(증보문헌지고),『청정관전서』,『재물보』및『오주연문장전산고』가 유서(類書)적 성격을 갖는 문헌이며, 우리나라의 옛 유서(類書)를 대표하는 문헌이기도 하다.
木槿 무궁화 ○ 椴 櫬 蕣 日及 朝開暮落花 花奴 王蒸 洽容 愛老(本) ○ 花上花 重臺者
○ 扶桑 槿別種 葉微濇桑 花有紅黃白三色 ○ 佛桑 朱槿 赤槿 日及(本) 木芙蓉 處處有之 揷條即生 小木也 叢生如荊 葉大如桐有五尖 冬凋夏茂 秋半始華 華似牡丹芍藥 ○ 地芙蓉 木蓮 華木 拒霜(本) 木槿(목근) '무궁화'라 한다. 椴(단), 櫬(친), 蕣(순), 日及(일급), 朝開暮落花(조개모락화), 花奴(화노), 王蒸(옥증), 洽容(흡용), 愛老(애노)라고도 한다(본초강목). 花上花(화상화)는 꽃잎이 여러 겹으로 된 것이다.
扶桑(부상) 무궁화의 별종이다. 잎은 뽕나무처럼 약간 거칠다. 꽃은 홍, 황, 백의 세가지 색이 있다. 佛桑(불상), 朱槿(주근), 赤槿(적근), 日及(일급)이라고도 한다(본초강목). 木芙蓉(목부용) 곳곳에 있다. 가지를 꽂으면 즉시 산다. 작은 나무이다. 싸리나무처럼 모여 자란다. 잎은 크고 오동나무와 같은데 5개로 갈라져 뾰족하다. 겨울에는 마르고 여름에는 무성하다. 가을 중반에 꽃이 피고 꽃은 모란과 작약과 비슷하다. 地芙蓉(지부용), 木蓮(목련), 華木(화목), 拒霜(거상)이라고도 한다(본초강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