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렸을 때는 집에서 소와 돼지, 토끼, 닭 등을 길렀다. 토끼와 닭은 집에서 가족들이 먹을 고기를 위해 길렀지만 소와 돼지는 당시 현금화할 수 있는 귀중한 재산 목록이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부모님의 일손을 덜어드리기 위해 낫을 들고 소 꼴을 베러 앞개울로 나가곤 했다.
때로는 질척한 돼지우리 바닥에 깔아줄 풀을 베러 갈 때도 있었다. 그럴 때는 앞개울에 무성하게 자라던 고마리가 제격이었다. 고마리는 소도 돼지도 토끼도 잘 먹지 않았다. 그래서 고마리는 사람들이 잘 베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어디서나 흔했다.
고마리는 아주 작은 꽃들이 송이를 이루어 핀다. 그 작은 꽃 하나하나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고마리 꽃이 얼마나 예쁘고 앙증맞은지 놀라게 된다.
고마리는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국생정)에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라고 나와 있다. 그런데, 실제로 관찰해보면 고마리가 과연 덩굴성 식물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고마리는 줄기가 가녀리기는 하지만 직립으로 자란다. 다만 줄기가 약하기 때문에 무더기로 다닥다닥 붙어서 밀생한다. 고마리가 쓰러지지 않기 위해 밀생하는 전략을 택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국생정과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고마리의 학명은 페르시카리아 툰베리 (지볼트 & 추카리니) H. 그로스[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이다. 속명 '페르시카리아(persicaria)'는 '복숭아(peach)'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명사 '페르시쿰(persicum)'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이다. '페르시쿰(persicum)'은 '페르시아인(Persians)'이라는 뜻의 '페르사에(Persae)'에서 유래한 '페르시쿰 포뭄(persicum pōmum)'의 라틴어 생략형(Ellipsis)이다. '페르시쿰 포뭄(persicum pōmum)'은 '페르시아 과일(Persian fruit)'이란 뜻이다. '페르시카리아(Persicaria)'는 '복숭아(persica)'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잎이 복사나무와 비슷해서 붙은 이름인 듯하다.
종소명 '툰베리(thunbergii)'는 스웨덴의 의사이자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를 기념하기 위해 붙인 것이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에도시대(江戸時代, 1603~1868) 규슈(九州) 나가사키(長崎)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2년 동안 식물을 수집했다. 툰베리는 에도시대 나가사키 데지마(出島)에 상륙하여 박물학 연구를 한 독일인 두 명과 함께 '데지마의 3학자(出島の三学者)'로 불린다.
'지볼트(Siebold)'는 독일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Philipp Franz von Siebold, 1796~1866)이다. 지볼트는 일본에서 서양의학을 처음 가르친 유럽인으로 유명하며, 일본의 식물과 동물 고유종을 연구했다. '추카리니(Zucc)'는 독일의 식물학자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Joseph Gerhard Zuccarini, 1797~1848)이다. 뮌헨 대학교 식물학과 교수였던 추카리니는 지볼트가 일본에서 수집한 식물을 분류하는 것을 도왔으며, 멕시코 등지의 식물도 함께 기술했다. 'H. 그로스(H.Gross)'는 독일의 교사이자 식물학자 후고 오토 그로스(Hugo Otto Gross, 1888~1968)이다.
국생정 등재 고마리의 영어명은 디취 퍼시캐리어(Ditch persicaria)이다. '네덜란드 여뀌속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 등재 영어명은 툰베리스 스마트위드(Thunberg’s smartweed)이다. '툰베리 버들여뀌'라는 뜻이다.
국표와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에 등재된 고마리의 중국명은 일본명은 미조소바(みぞそば, 溝蕎麦)이다. '도랑(溝)에서 자라는 메밀(蕎麦)'이라는 뜻이다. 도랑 등 습지에 무리지어 자라고, 꽃과 잎이 메밀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Flora of Mikawa'에는 우시노히타이(ウシノヒタイ, 牛の額)라는 이명도 등재되어 있다. 고마리의 잎 모양이 소의 이마와 똑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Flora of Mikawa'와 중문판 위키백과(維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고마리의 중국명은 지예랴오(戟叶蓼)이다. 중국인들은 고마리의 잎이 창날을 닮았다고 생각한 듯하다. 중문판 위키백과에는 슈이마(水麻), 바이두백과에는 슈이마샤오(水麻芍), 쿠캬오마이(苦荞麦), 창싀랴오(藏氏蓼)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에 등재된 고마리의 한글명 이명에는 조선극엽료(朝鮮戟叶蓼), 극엽료(戟叶蓼), 고만이, 고맹이풀, 돼지풀, 고만잇대, 조선고마리, 줄고마리 등이 있다. 극엽료(戟叶蓼)는 중국명이 그대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국표에는 꼬마리, 조선꼬마리, 줄고만이, 큰꼬마리라는 이명도 등재되어 있다. 국표 등재 북한명은 고마리이고, 이명에는 고만잇대, 조선고마리, 줄고마리, 큰고마리 등이 있다. '고만이'는 ‘고마운 이’가 줄어서 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 꽃의 크기가 작아 '고만고만하다'는 뜻의 '고만이'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꽃말은 ‘꿀의 원천'이다
고마리의 원산지는 아시아이다.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타이완, 러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의 강변이나 물가, 산지의 습지에 무리지어 자란다. 하수구 근처 같은 더러운 물이 있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등 본토 각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샨시(陕西), 깐수(甘肃), 화둥(华东), 화중(华中), 화난(华南), 스촨(四川), 구이저우(贵州), 윈난(云南), 시짱(西藏) 등지에 자란다.
고마리의 키는 1m까지 자란다. 줄기는 모가 지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난다. 줄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는데, 아랫부분은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같다. 표면은 누은 털이 성글게 있으며, 변두리에 짧은 연모(緣毛)가 밀생한다. 중앙열편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에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엽병은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아래로 향한 가는 가시가 있다. 엽초는 가장자리에 짧은 털과 더불어 흔히 소엽같은 것이 달리기도 하고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며,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샘털이 있다. 꽃자루는 매우 짧고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백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있다.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다. 씨방은 달걀모양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다. 수과는 세모진 달걀모양에 황갈색이고, 윤채가 없으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씨앗은 8~9월에 익는다.
'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에는 '봄에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된장이나 간장, 초고추장에 무쳐 먹기도 한다.사료로 이용하기도 한다.'고 나와 있다. 충주 지방에서는 사료로 이용하기는 하지만 나물로 먹는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이 책에는 또 고마리가 '견비통, 류머티즘, 명목, 오십견, 요통, 음종, 이뇨, 이질, 지혈, 치핵, 타박상, 통리수도, 해독, 활혈' 등의 효능이 있다고 나와 있다. '익생양술대전'에는 고마리에 대해 '주로 어혈을 풀어주며, 해독에도 효험이 있다.'면서 '견비통, 소종양, 수혈대용, 습진, 어혈, 요통, 월경불통, 음종, 이뇨, 중독, 출혈, 치질, 타박상' 등에 쓴다고 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고마리의 풋줄기와 잎을 짓찧어 얻은 유액을 사병(邪病, 콜레라)에 썼다.'고 했다. '다음백과'에 따르면 '민간에서는 8~9월에 고마리의 줄기와 잎을 말렸다가 약으로 쓰기도 한다. 칼에 베인 상처 부위에는 잎을 찧어서 바르기도 한다.'고 나와 있다. 다음백과에는 또 '고마리는 수질이 나쁜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물의 오염도를 파악하는 식물로도 이용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바이두백과에는 고마리의 본초명이 슈이마댜오(水麻刁)로 등재되어 있다. 바이두백과에는 슈이마댜오에 대해 '꽃에는 케르세틴, 풀 전체에는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清热解毒), 설사를 멈추게 하는(止泻) 효능이 있어 독사에 물린 상처(毒蛇咬伤), 설사와 이질(泻痢)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한의사들은 고마리를 임상에서 거의 쓰지 않는다.
한강토에 자생하는 국표 등재 고마리의 유사종에는 여뀌(Water pepper, marsh-pepper smartweed, redleaf, ヤナギタデ, 柳蓼, 辣蓼), 개여뀌(Oriental smartweed, イヌタデ, 犬蓼, 长鬃蓼), 가는개여뀌(East Asian slender smartweed, ホソバイヌタデ, 細葉犬蓼), 가는여뀌(Fastigiate wetland smartweed, サツマタデ, 薩摩蓼), 가시여뀌(Hastate-leaf smartweed, コゴメタデ, 小米蓼, 稀花蓼), 겨이삭여뀌(Taquet's smartweed, ヌカボタデ, 糠穂蓼, 细叶蓼), 고마리(Thunberg's smartweed, ミゾソバ, 溝蕎麦, 戟叶蓼), 기생여뀌(Reddish marsh smartweed, ニオイタデ, 匂い蓼, 香蓼), 긴미꾸리낚시(Long arrow-head smartweed, ナガバウナギツカミ, 長葉の鰻攫, 长箭叶蓼), 긴화살여뀌(Narrow arrow-head smartweed, ナガバノヤノネグサ, 長葉矢の根草), 꽃여뀌(Conspicuous smartweed, サクラタデ, 桜蓼), 끈끈이여뀌(Sticky smartweed, ネバリタデ, 粘蓼), 나도미꾸리낚시(Short-stalk oriental smartweed, ナデクサ, 叉手草, 长戟叶蓼), 넓은잎미꾸리낚시(Broad arrow-head smartweed, ヤノネグサ, 矢の根草, 小蓼花), 대동여뀌(Dwarf smartweed, ヒメタデ, ホソバヌマタデ), 덩굴모밀(Creeping smartweed, Chinese knotweed, ツルソバ, 蔓蕎麦, 火炭母), 만주겨이삭여뀌(Manchurian smartweed, マンシウヌカボタデ, 多叶蓼), 며느리밑씻개(Prickled-vine smartweed, ママコノシリヌグイ, 継子の尻拭, 刺蓼), 며느리배꼽(Asian tearthumb, Asiatic tearthumb, mile-a-minute weed, Chinese tearthumb, devil's-tail, イシミカワ, 石見川, 石膠, 杠板归), 물여뀌(Water smartweed, amphibious bistort, water persicaria, willow-grass, エゾノミズタデ, 蝦夷の水蓼, 两栖蓼), 미꾸리낚시(Arrow-leaf smartweed, Arrow-leaf tearthumb, arrow-vine, renouee sagittee, ウナギツカミ, 鰻掴, 箭头蓼), 바늘여뀌(Prickly smartweed, ハリタデ, 針蓼, 柳叶刺蓼), 바보여뀌(Nonspicy smartweed, ボンドクタデ, 凡篤蓼, 伏毛蓼), 버들겨이삭여뀌(East Asian willow smartweed, ヤナギヌカボ, 柳糠穂, 宽基多叶蓼), 봄여뀌(Spring smartweed, Jesusplant, lady's-thumb, redshank, spotted lady's-thumb, ハルタデ, 春蓼, 蓼), 산여뀌(Nepalese smartweed, Nepal knotweed, Nepal persicaria, タニソバ, 谷蕎麦, 尼泊尔蓼), 새이삭여뀌(New spike smartweed, シンミズヒキ, 新水引, 短毛金线草), 세뿔여뀌(Weak smartweed, ミヤマタニソバ, 深山谷蕎麦), 솜흰여뀌(Willow-leaf white-flower smartweed, ウラジロサナエタデ, 裏白早苗蓼), 이삭여뀌(Loose-spike smartweed, ミズヒキ, 水引, 金线草), 작은버들여뀌(Small water-pepper), 장대여뀌(Tall smartweed, Asiatic smartweed, Oriental lady's thumb, ハナタデ, 花蓼, 丛枝蓼), 좀여뀌(Small erect smartweed, ヒメタデ, 姫蓼), 좁은잎미꾸리낚시(Linear arrow-head smartweed, spotted knotweed, ホソバノウナギツカミ, 細葉の鰻攫, 疏蓼), 큰끈끈이여뀌(Big sticky smartweed, オオネバリタデ, 大粘り蓼), 털미꾸리낚시(Hairy Siebold's smartweed, Arrow-leaf tearthumb, arrow-vine, renouee sagittee, ウナギツカミ, 鰻掴, 箭头蓼), 흰꽃여뀌(White-flower smartweed, Japanese Knotweed, シロバナサクラタデ, 白花桜蓼, 蚕茧蓼), 흰여뀌(Pale smartweed, curlytop knotweed, pale knotweed, pale persicaria, pink knotweed, サナエタデ, 早苗蓼, オオイヌタデ, 大犬蓼, 马蓼) 등이 있다.
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는 전체에 털이 없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작고 성기게 나며 꽃잎은 없다. 이삭꽃차례는 길이 5~10cm로서 길고 가늘다. 줄기나 가지 끝에 정생하며 밑으로 처진다. 작은포는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화피는 연한 녹색이고, 끝이 약간 적색이며, 선점(腺点)이 있다. 잎을 씹으면 매운맛이 난다. 개여뀌[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는 전체에 털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는 수염털이 있다. 가는개여뀌[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는 물속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披針形)이다. 7~8월 이삭꽃차례에 붉은색이 도는 꽃이 핀다. 가는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f. angustissima (Makino) Araki]는 잎이 가늘다. 수과의 길이는 1.5mm 정도이다. 가시여뀌[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T.Mori]는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윗부분은 화경과 더불어 적색 샘털이 밀생한다. 잎 뒷면 맥 위에 짧고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가지 끝에서 연한 홍색으로 핀다.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원형이고, 짙은 홍색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털이 없다. 겨이삭여뀌[Persicaria taquetii (H.Lév.) Koidz.]는 한라산 해발 800m 근처에서 자란다. 꽃이 작아서 겨이삭여뀌라고 한다.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는 줄기가 모가 지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난다. 꽃은 8~9월에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린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백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있다.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샘털이 있다. 기생여뀌[Persicaria viscosa (Buch.-Ham. ex D.Don) H.Gross ex T.Mori]는 전체적으로 붉은빛이 돌며 갈색의 긴 털이나 샘털 또는 선점이 있다. 향기가 있기 때문에 기생여뀌라고 한 것 같다. 긴미꾸리낚시[Persicaria hastatosagittata (Makino) Nakai ex T.Mori]는 줄기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약간 있다. 긴화살여뀌[Persicaria breviochreata (Makino) Ohki]는 좁은잎미꾸리낚시와 비슷하나 탁엽초(托葉鞘)가 짧다. 엽신은 장타원상 피침형에 끝은 예두, 기부는 얕은 화살촉 모양으로 삼각형의 귓불이 있고 연모가 있다. 꽃은 9~10월에 붉은빛이 도는 연녹색으로 핀다. 화경 끝에 1~3개의 꽃이 달린다. 꽃여뀌[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Ohki]는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은 피침형이다. 잎 양끝이 좁다. 잎 표면, 특히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굳은 털이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7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끈끈이여뀌[Persicaria viscofera (Makino) H.Gross]는 전체에 긴 털과 샘털이 퍼져나고, 향기가 있다. 화경의 일부에서 끈끈한 점액을 분비한다. 꽃은 7~8월에 녹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핀다. 나도미꾸리낚시[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T.Mori]는 줄기에 옆으로 된 가시가 많이 퍼져 나고, 잎은 양면에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넓은잎미꾸리낚시[Persicaria muricata (Meisn.) Nemoto]는 잎이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길이 5~8cm, 너비 2.5~4.5cm이다. 꽃은 9~10월에 피고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끝에 두상으로 달린다. 대동여뀌[Persicaria koreensis (Nakai) Nakai]는 중국 북동부, 백두산, 대동강에 분포한다. 기본종과 구별하기 어렵다. 좀여뀌와 비슷하다. 덩굴모밀[Persicaria chinensis (L.) H.Gross]은 제주도 서귀포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에도 분포한다. 흰색 꽃이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5장, 꽃잎은 없다. 만주겨이삭여뀌[Persicaria foliosa (H.Lindb.) Kitag.]는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화피는 붉은빛이 돈다. 꽃차례는 가늘고 길이 3~5cm이며, 꽃이 드문드문 성글게 달린다.
며느리밑씻개[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는 한강토,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잎은 삼각형이고, 줄기에는 거슬러난 갈고리가시가 있으며 붉은 빛을 띤다. 엽병과 잎맥에 거슬러난 갈고리가시가 성글게 있다. 며느리배꼽과 비슷하나 줄기나 잎에 잔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잎 뒷면에 붙지 않고 기부에 있는 점에서 쉽게 구별된다.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은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잎은 삼각형이다. 잎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물여뀌[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는 함경북도, 평안북도, 대구시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지상에 자라는 것은 곧추서서 많은 잎이 달리지만, 물속에서 자라는 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피는 짧은 화경이 나온다. 미꾸리낚시[Persicaria sagittata (L.) H.Gross]는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바늘여뀌[Persicaria bungeana (Turcz.) Nakai]는 줄기가 곧게 서고, 짧은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난다.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는 전체에 선점이 퍼져 있다. 여뀌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있고, 잎에 흑색점이 있으며, 매운 맛이 없고, 열매가 세모진 것이 다르다.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돈다.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는 길이 5~10cm로서 가늘어 밑으로 처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버들겨이삭여뀌[Persicaria foliosa (H.Lindb.) Kitag. var. paludicola (Makino) H.Hara ex I.Ito]의 원산지는 일본 혼슈(本州), 중국, 러시아이다. 잎 뒤에 선점이 있다. 줄기는 붉은색을 띠고 털이 없다. 봄여뀌(Persicaria maculosa Gray)는 줄기에 연한 털이 난다. 잎 양면에 털이 퍼져 나고, 중앙부에는 흑색 반점이 있다. 꽃은 5~10월에 피고, 화피는 연한 홍자색이다.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의 길이는 3~5cm로서 곧게 선다. 산여뀌[Persicaria nepalensis (Meisn.) H.Gross]는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마디에 육질로 된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핀다. 백색 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꽃이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두상으로 모여 달린다. 새이삭여뀌[Persicaria neofiliformis (Nakai) Ohki]는 이삭여뀌에 비해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적색으로 핀다. 이삭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세뿔여뀌[Persicaria debilis (Meisn.) H.Gross ex W.T.Lee]는 잎이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양쪽 귀도 다소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핀다. 솜흰여뀌[Persicaria lapathifolia (L.) Delarbre var. salicifolia (Sibth.) Miyabe]는 서울 북한산, 구례, 신의주, 부전고원에서 자란다. 흰여뀌에 비해 잎 뒷면에 백색 샘털이 있다. 기본종과 분포가 같다고 추정된다. 이삭여뀌[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는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작은버들여뀌[Persicaria minor (Huds.) Opiz]의 원산지는 유럽, 중앙아시아이다. 키는 15~36cm이다. 줄기는 붉은색을 띠며 털이 없다. 줄기 끝과 상부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이삭꽃차례는 가늘고, 꽃은 드문드문 달린다. 꽃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이다. 드물게 흰색도 있다. 장대여뀌[Persicaria posumbu (Buch.-Ham. ex D.Don) H.Gross]는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개여뀌에 비해 잎이 짧고 넓다. 꽃은 드물게 들러 붙는다. 꽃은 6~9월에 피며, 화피는 연한 홍색이다. 가지 끝에 달리는 꽃차례는 선형(線形)이다.
좀여뀌[Persicaria erecto-minor (Makino) Nakai]는 일본 고유종으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줄기는 가늘고 붉은색을 띠며, 성글게 가지가 갈라진다. 꽃은 5~10월에 피며, 화피는 암홍색이고, 종종 반상(盤状)의 선점이 있다. 좁은잎미꾸리낚시[Persicaria praetermissa (Hook.f.) H.Hara]는 줄기에 능각과 갈고리 같은 가시가 난다.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4~8cm, 너비 5~15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가시같은 털이 있다. 길이 1~3cm인 이삭꽃차례에 3~5개의 연한 적색 꽃이 달린다. 큰끈끈이여뀌[Persicaria viscofera (Makino) H.Gross var. robusta (Makino) Hiyama]는 식물체가 끈끈이여뀌보다 크다. 전체에 털이 적거나, 잎 뒷면 맥 위와 표면 전체, 또는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다. 털미꾸리낚시[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var. sibirica (Meisn.) Miyabe f. sericea (Nakai) H.Hara]는 미꾸리낚시에 비해 잎과 화경에 털이 있다. 흰꽃여뀌[Persicaria japonica (Meisn.) Nakai ex Ohki]는 잎 엽초 상부에 수염털이 나 있다. 원줄기 끝에서 몇 개가 나오는 이삭꽃차례는 길이 7~12cm로서 처지며,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흰색으로 핀다. 흰여뀌[Persicaria lapathifolia (L.) Delarbre]는 잎 가장자리와 양면 주맥에 잔털이 있다. 꽃은 5~9월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핀다.
한강토에서 재배하는 국표 등재 개여뀌의 유사종에는 대왕여뀌(knotweed, giant fleeceflower), 메밀여뀌(Japanese knotweed, pink-head knotweed, pink-head persicaria, ヒメツルソバ, 姫蔓蕎麦, 头花蓼), 쪽(Chinese-indigo, polygonum-indigo, アイ, 藍, 蓼蓝), 버지니아이삭여뀌 바리에게이티드 그룹, 소두여뀌 '레드 드래곤' 등이 있다.
대왕여뀌(Persicaria polymorpha)의 원산지는 중국과 일본이다. 키가 큰 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90cm~1.52m이다. 잎은 창 모양이며, 짙은 녹색을 띤다. 꽃은 7~8월 크림빛을 띤 흰색으로 핀다. 메밀여뀌[Persicaria capitata (Buch.-Ham. ex D.Don) H.Gross]의 원산지는 중국, 인도, 부탄, 네팔,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이다. 땅을 기는 줄기는 적갈색이고, 긴 털이 난다. 잎 표면에는 산 모양의 검은색 반점이 있다. 5~11월 지름 약 1㎝의 구형 꽃차례에 담홍자색의 꽃이 많이 달린다. 쪽[Persicaria tinctoria (Aiton) Spach]은 거의 털이 없다.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짙은 남색의 잎은 염색용으로 이용된다. 꽃은 8~9월에 붉은색으로 핀다.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에 꽃이 밀생한다. 버지니아이삭여뀌 바리에게이티드 그룹[Persicaria virginiana Painter's Palette(Variegated Group)]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특이하고 화려한 삼색 변화를 보이는 잎이 특징이다. 잎의 본체는 누르스름한 녹색 또는 크림색으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그 위에 암적색의 갈매기 또는 V자형 무늬가 찍힌다. 꽃은 여름철에 붉은색으로 핀다. 소두여뀌 '레드 드래곤'(Persicaria microcephala 'Red Dragon')은 샤오터우랴오[小头蓼, Persicaria microcephala (D. Don) H. Gross]의 품종이다. 원산지는 중국, 인도, 부탄, 네팔이다. 해발 500~3200m의 삼림 내 초지에서 자란다. 키는 40~60㎝이다. 잎은 갈색 또는 자주색 바탕에 밝은 연두색 V자형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꽃은 7~8월 흰색 또는 핑크빛을 띤 흰색으로 핀다.
국표 등재 개여뀌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털여뀌(Princess-feather, kiss-me-over-the-garden-gate, オオケタデ, 大毛蓼, 红蓼) 1종이 있다.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의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 러시아, 타이완 등 아시아이다. 키는 1~2m이다.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한강토에서 자라는 여뀌류 중에서 가장 크고 모양이 뚜렷하여 구별하기가 쉽다. 꽃은 7~8(10)월에 적색으로 핀다. 이삭꽃차례는 길이 5~12cm로서 많은 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꽃이 선명하여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2021. 1. 10. 林 山. 2023.4.18. 최종 수정
#고마리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참나무 (0) | 2021.01.11 |
---|---|
산박하(山薄荷) '추억(追憶)' (0) | 2021.01.11 |
명아자여뀌 (0) | 2021.01.10 |
생강나무 '수줍음, 사랑의 고백, 매혹' (0) | 2021.01.09 |
괭이밥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