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묵 중에서 제일 맛이 좋은 것이 까도토리묵이라고들 한다. 그렇다면 까도토리는 어떤 나무에서 열릴까? 참나무속(Quercus) 중 '참'자가 들어가는 나무에는 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등 4종이 있다. 참나무라는이름은 없다. 하지만 참나무라고 말할 때는 특별히 상수리나무를 가리킨다. 까도토리는 바로 갈참나무에 달리는 열매를 말한다.
갈참나무는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이다. 학명은 쿼커스 앨리나 블룸(Quercus aliena Blume)이다. 영어명은 오리엔틀 체스넛 오크(Oriental Chestnut Oak), 일본명은 나라가시와(ナラガシワ, 楢柏), 중국명은 후리(槲栎)이다. 갈참나무는 재잘나무, 톱날갈참나무, 큰갈참나무로도 불린다. 갈참나무를 옛날에는 가랍나모라고 했다. 단옷날에는 갈참나무 잎에 쌀떡을 싸서 쪘는데, 이 떡을 가랍떡이라고 했다.
갈참나무의 원산지는 아시아이다. 갈참나무는 한국을 비롯해서 동아시아 남부,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전국 각지의 표고 50~1,000m에서 자생한다. 산지의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이나 산기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갈참나무는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338번지에 있다. 수령 600년이 넘는 병산리 떡갈나무는 천연기념물 제 285호로 지정돼 있다.
참나무의 뿌리는 심근성이다. 줄기는 높이 25m, 지름 1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약간 거칠게 갈라진다. 동아와 일년생 가지는 담록색으로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이며, 타원상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다. 예저가 보통이지만 원저 또는 심장저도 있고, 끝이 둔하며, 4~8쌍의 이빨모양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다. 뒷면은 회백색이고, 2~17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주맥 위의 단모는 곧 떨어진다. 잎자루는 가장자리에 물결모양 또는 굵은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한꽃으로서 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암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선다. 수꽃은 6~14개의 수술과 5~9개의 화피열편이 있다.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깍정이는 삼각형의 비늘잎으로 덮이고, 긴 타원형의 견과는 10월에 익는다. 견과는 끝부분에 털이 있다. 갈참나무 열매를 까도토리라고 한다.
갈참나무 유사종에는 청갈참나무(학명 Quercus aliena var. pellucida Blume), 졸갈참나무(학명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Maxim. ex Wenz.), 청졸갈참나무(학명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f. calvescens Rehder & Wilson), 상수리나무(학명 Quercus acutissima Carruth.), 굴참나무(학명 Quercus variabilis Blume), 정릉참나무(학명 Quercus acutissima x variabilis Nakai), 졸참나무(학명 Quercus serrata Murray), 떡갈나무(학명 Quercus dentata Thunb.), 청떡갈나무(학명 Quercus dentata var. fallax Nakai), 깃떡갈나무(Quercus dentata var. pinnatifida Matsum.), 신갈나무(학명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붉가시나무(학명 Quercus acuta Thunb.) 등이 있다.
청갈참나무는 잎 뒷면에 털이 없다. 졸갈참나무는 톱니가 졸참나무와 같다. 청졸갈참나무는 톱니가 졸참나무와 같고, 잎 뒷면에 털이 없다. 상수리나무는 잎이 밤나무 잎과 비슷하다. 굴참나무는 잎뒷면이 희고, 나무껍질의 콜크층이 두껍게 발달한 특징이 있다. 굴참나무는 상수리나무와 교잡이 잘 되어 그 중간 특성을 보이는 것이 있다. 굴참나무 잎 뒤에 나는 별모양털로 모양에 따라 물굴참나무라는 변종이 있다. 정릉참나무는 잎의 뒷면에 대부분 단모가 나 있으나 때로 별모양털이 밀생한 것도 있으며, 줄기의 코르크가 별로 발달하지 않았다.
떡갈나무는 일년생 가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잎몸 밑동은 귓볼 모양이다. 청떡갈나무는 잎 뒷면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이 두껍기 때문에 산불에 강하다. 깃떡갈나무는 잎 뒷면에 별모양의 털이 빽빽이 난다. 신갈나무는 잎이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거나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신갈나무는 엽병이 거의 없거나 매우 짧고, 갈참나무는 엽병이 보다 긴 편이다. 졸참나무는 잎이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잎몸 밑동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붉가시나무는 잎이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둣빛이다.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는 주요 조림수종이다. 공원이나 길가에 가로수로 심어도 좋다.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다. 심재는 암적갈색, 변재는 회백색, 또는 황갈색이다. 재면은 참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호랑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비틀림은 크나 강도가 높다. 목재는 가구, 마루판, 건축, 토목, 선박, 차량, 기구, 포장, 단판, 장식에 이용된다. 나무결은 곧고 무거우며 단단하다. 또, 펄프 수율이 높고, 표백이 잘되어 펄프재로 적당하다. 목재는 표고 재배 원목으로도 이용되며 기구재, 땔감으로도 사용한다. 숯을 만들기도 한다. 나무껍질은 약용, 염색제, 목선의 방수 충진재로이용된다. 어린 잎은 녹비용으로 쓰인다. 까도토리는 녹말을 내서 묵을 쑤어 먹는다.
2021. 1. 11.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풍등(排風藤) (0) | 2021.01.14 |
---|---|
찔레꽃 (0) | 2021.01.13 |
산박하(山薄荷) '추억(追憶)' (0) | 2021.01.11 |
고마리 '꿀의 원천' (0) | 2021.01.10 |
명아자여뀌 (0) | 202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