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3일이었을 거다. 충주 계명산(鷄鳴山, 774.9m)을 종주하다가 산박하(山薄荷)를 만났다. 박하(薄荷)는 시원하고 상큼한 향이 나지만, 산박하는 향기가 나지 않는다. 산박하를 처음 알게 되었을 때 향기가 있는 줄 알고 이파리를 따서 냄새를 맡았다가 실망한 적이 있다.
산박하는 박하와 꽃 모양도 다르고, 이파리도 다르다. 그런데, 어째서 산박하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일본의 산박하는 향기가 약간 더 난다고 한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산에서 나는 박하라고 해서 산박하라는 이름을 붙였던 것 같다. 국표에 따르면 한강토에서 산박하라는 국명이 최초로 등장한 때는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 시대인 1937년에 나온 '조선식물향명집(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이다. 한국의 산박하는 일본의 식물명이 그대로 들어온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
산박하는 통화식물목 꿀풀과 산박하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깨나물, 깻잎나물, 깻잎오리방풀, 애잎나울, 흰산박하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북한명에는 깨잎오리방풀(추천명), 깨나물, 깨잎나물, 산박하, 큰깨잎오리방풀, 큰산박하 등이 등재되어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깨나물이 비추천명으로 실려 있다. 꽃말은 '추억(追憶)'이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산박하의 학명은 이소돈 인플렉수스 (툰베리) 쿠도[Isodon inflexus (Thunb.) Kudo]이다. 속명 '이소돈(Isodon)'은 구세계(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열대와 아열대, 특히 중국의 토착종인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분류학적 속을 뜻하는 근대 라틴어 고유명사다. 어원 유래는 불분명하다. 종소명 '인플렉수스(inflexus)'는 '밀어닥침, 밀려듦'의 뜻을 가진 영어 '인플룩스(influx)'의 복수 명사이다. '인플룩스(influx)'는 '유입(inflow), 영향(influence)'의 뜻을 가진 라틴어 '인플룩수스(īnflūxus)'에서 유래했다.
'툰베리(Thunb)'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쿠도(Kudo)'는 일본 식물학 태두(泰斗)인 식물학자 구도 유준(工藤祐舜, 1887~1932)이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산박하의 영문명은 마운튼 이소돈(Mountain isodon)이다. '산 산박하속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와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야마핫까(ヤマハッカ, 山薄荷)이다. 즉, 산박하이다. FOM과 중문판 위키백과(维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중문명은 네이저샹차차이(内折香茶菜)이다. '네이저(内折)'는 '안으로 접히다', '샹차차이(香茶菜)'는 '산박하속'이다. 위키백과에는 샨보허샹차차이(山薄荷香茶菜), 샨보허(山薄荷)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산박하는 한강토(조선반도)의 전국 산지의 숲 속에 분포한다(국생정). 야마핫까(山薄荷)는 한강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FOM). 네이저샹차차이(内折香茶菜)는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허베이(河北), 샨둥(山东), 쩌쟝(浙江), 쟝쑤(江苏), 쟝시(江西), 후난(湖南) 등지의 해발 1,200m까지 자란다. 한강토, 일본에도 있다(百度百科).
산박하의 키는 40~10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삼각상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 같이 된다. 잎 양면 맥 위에는 드문드문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9월에 취산꽃차례로 피며,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꽃받침은 털이 있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고, 자주색이다. 상순은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 고무신 같은 모양이다.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4개인데 2개가 길다. 열매는 4분과이다.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원반 모양이다.
산박하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에는 '봄과 초여름에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고 나와 있다. 충주 지방에서는 산박하를 나물로 먹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민속특산식물사전'에는 산박하의 지상부를 담낭염 등에 사용한다고 나와 있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산박하를 거의 안 쓴다.
국표에 등재된 산박하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방아풀(Bangahpul, East Asian soup-mint, ヒキオコシ, 引き起こし, 延命草, 毛叶香茶菜), 자주방아풀(Purple-leaf bangahpul, オオヒキオコシ, 溪黄草), 산박하(Mountain isodon, ヤマハッカ, 山薄荷, 内折香茶菜), 털산박하(Hairy-leaf mountain isodon, ケヤマハッカ, シラゲヤマハッカ), 긴잎산박하(Long-leaf mountain isodon, ナガバヤマハッカ, 長葉山薄荷), 영도산박하(Small-leaf mountain isodon, コバノヤマハッカ), 오리방풀(Tailed-leaf isodon, カメバヒキオコシ, 亀葉引起, 亀葉引き起こし, マンシュウカメバヒキオコシ, 満州亀葉引き起こし, 尾叶香茶菜) 등이 있다.
방아풀[Isodon japonicus (Burm.f.) H.Hara]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50~100cm이다.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고 해서 연명초(延命草)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마주나기하는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圓底)로서 엽병의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된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뿔 모양 꽃차례로 된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며, 2강수술이 있다. 자주방아풀[Isodon serra (Maxim.) Kudô]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1~1.5(2)m 내외로 산에서 자란다. 줄기 전체에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선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털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canescens (Nakai)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털이 있다. 잎 뒷면에 털이 많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긴잎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transticus Matsum. &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이 길고 밑부분이 긴 예저(銳底)이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영도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microphyllus (Nakai)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이 작고 달걀 모양이며 복모가 있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오리방풀[Isodon excisus (Maxim.) Kudô]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50~100cm이다. 네모진 줄기는 곧게 서며,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 끝이 거북이 꼬리처럼 길게 자란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하는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2021. 1. 11. 林 山. 2023. 6. 21. 최종 수정
#산박하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꽃 (0) | 2021.01.13 |
---|---|
갈참나무 (0) | 2021.01.11 |
고마리 '꿀의 원천' (0) | 2021.01.10 |
명아자여뀌 (0) | 2021.01.10 |
생강나무 '수줍음, 사랑의 고백, 매혹'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