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차풀

林 山 2021. 1. 20. 12:31

2020년 9월 15일 아침 출근길이었다. 연수동 주공아파트 1단지 앞길을 지나가는데, 아주 작은 노란색 꽃이 눈에 들어왔다.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 차풀이었다. 이 길을 수없이 지나다녔는데도 차풀이 눈에 들어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처럼 모든 인연은 다 때가 있는 법이다.  

 

차풀(충주시 연수동, 2020. 9. 15)

차풀은 장미목 콩과 차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학명은 차메이크리스타 노맴 (지볼트) 혼다 오하시[Chamaecrista nomame (Siebold) Honda Ohashi]이다. 학명이 캐시어 노맴  (지볼트) 혼다[Cassia nomame (Sieb.) Honda]라고 한 곳도 있다. 영어명은 필드 센서티브 피이(Field sensitive pea), 일본명은 카우라케쯔메이(カウラケツメイ, 河原決明)이다. 중국명은 샨삐엔떠우(山扁豆) 또는 떠우차쥐에밍(豆茶决明), 본초명은 수이짜오쟈오(水皂角)이다. 옛날에는 이 풀의 줄기와 잎을 말려 차 대용으로 끓여 마셨는데, 여기에서 차풀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명에는 며느리감나물, 눈차풀 등이 있다. 꽃말은 '연인(戀人, lover )'이다. 

 

차풀은 한국을 비롯해서 일본, 중국 만저우(満州)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자란다. 산과 들의 습한 곳, 냇가 근처의 양지에 주로 분포한다. 

 

차풀의 키는 30~6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흔히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짝수깃모양겹잎으로서 엽병이 있다. 소엽은 30~70개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첫째 소엽 바로 밑에는 선(腺)이 있다. 탁엽은 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에 맥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7~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화경이 나와 1~2송이 달린다. 꽃자루 끝에는 작은 포가 있다. 꽃부리는 소형이고, 꽃받침 열편은 피침형이며, 꼬부라진 짧은 털이 있고, 거꿀달걀모양의 꽃잎과 더불어 각 5개이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짧은 털이 밀포한다. 열매는 협과로서 편평한 타원형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편평하지만 약간 네모진 모양이다. 

 

차풀의 유사종에는 눈차풀(학명 Chamaecrista mimosoides var. mimosoides for. prostrata)이 있다. 차풀은 곧게 자라는데, 눈차풀은 바닥에 누워서 자란다. 바닥에 누워​서 자란다고 해서 눈차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차풀과 잎과 꽃이 비슷한 식물에 속명이 다른 자귀풀(학명 Aeschynomene indica L.)이 있다. 차풀의 잎 끝은 뾰족한데, 자귀풀은 잎 끝이 둥글다. 또, 자귀풀은 키가 1~2m로 차풀보다 훨씬 크다. 이파리만 보면 차풀과 미모사(학명 Mimosa pudica L.)도 비슷하다. 하지만 미모사의 꽃은 연한 붉은 색으로 피고, 꽃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며 모여 달린다. 

 

차풀(충주시 연수동, 2020. 9. 15)

차풀은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기도 한다. 차풀의 줄기와 잎, 씨를 말리거나 볶아서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한다. '다음백과'에는 차풀에 대해 '부위에 따라 단맛과 담백한 맛, 쓴맛 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항암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변비에도 도움이 된다. 이뇨작용을 촉진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피로회복에도 좋고, 여름에 식중독에 걸렸을 때에도 효과가 있다."고 나와 있다.    

 

산풀의 전초(全草)를 본초명 산편두(山扁豆), 종자를 산편두자(山扁豆子)라고 하며, 민간에서 한약재로 쓴다. 산편두는 8-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청간(淸肝), 이습(利濕), 산어(散瘀), 화적(化積)의 효능이 있어 습열(濕熱)에 의한 황달, 서열토사(暑熱吐瀉), 수종(水腫), 부종(浮腫)), 노상적어(勞傷積瘀), 소아감적(小兒疳積, 아이의 얼굴이 누렇고 배가 부르고 몸이 마르는 병), 정창, 옹종(癰腫) 등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짓찧어서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산편두자는 주로 이뇨제로 쓰이고 건위(健胃), 정장(整腸)의 효능이 있다. 달여서 복용한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거의 안 쓴다.

 

2021. 1. 20.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데빌라(Mandevilla)  (0) 2021.01.22
석산(石蒜, 꽃무릇)  (0) 2021.01.21
코스모스(cosmos)  (0) 2021.01.19
피마자(蓖麻子, 아주까리) '단정한 사랑'  (0) 2021.01.17
  (0) 202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