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3월 중순 무렵이면 제주도와 남해안 등 남녘에서 유채(油菜)꽃 개화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한다. 국내 유채꽃 명소는 제주도를 비롯해서 부산시 낙동강 생태공원, 충북 옥천군 유채꽃 단지, 서울 구로구 안양천 유채꽃밭, 충남 아산시 곡교천 유채꽃밭, 강원도 삼척시 맹방 유채꽃 마을, 전남 나주시 영산포 영산강변, 충남 부여군 구드래 벡마강변 등 여러 곳이 있다. 유채 꽃이 일제히 피어나면 강변이나 해변을 온통 노란색으로 물들이며 장관을 연출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채꽃 명소는 우선 면적부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중국 장쑤성(江蘇省) 싱화쳰다오차이화풍경구(興化千島菜花風景區)와 쟝시성(江西省) 우위엔(婺源)의 장링(江嶺)이 유명하다. 타이완(台湾)의 화둥쫑구국가풍경구(花东纵谷國家風景區)도 유명한 유채꽃 명소다. 유채꽃이 피는 봄에는 시야가 끝나는 곳까지 노란색 바다로 변한 풍경을 보기 위해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사람들이 몰려든다.
유채(油菜)는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풍접초목(風蝶草目, Capparales) 십자화과(十字花科, 배추과, Brassicaceae) 배추속(Brassica)의 관속식물이다. 유럽 지중해 원산이며 밭에 식용, 제유용(製油用) 또는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두해살이풀이다(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생관). 다음백과 국생관의 분류는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Anthophyta) 목련강 풍접초목 십자화과 배추속의 두해살이풀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종)의 분류는 배추과(Brassicaceae), 다음백과 국생종의 분류는 양귀비목 십자화과 배추속이다.
'유채(油菜)'는 '기름(油)나물(菜)'이라는 뜻이다. 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씨에는 기름이 많이 들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국명(國名)에는 유채(추천명), 호무, 호무우, 북한명은 유채(추천명), 누른갓, 호무우 등이 있다. 국생종 등재 국명은 유채, 비추천명은 호무다. 다음백과 국생관에는 한채자(寒菜子), 채종(菜種) 등의 국명도 실려 있다.
국표, 국생종, 국생관 등재 유채의 학명은 브라시카 나푸스 린네.(Brassica napus L.)다. 속명 '브라시카(Brassica)'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양배추(cabbage)'를 뜻하는 켈트조어(Proto-Celtic) '브레식(bresic, bresych)'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웨일즈어(Welsh) 'bresych'은 '양배추'라는 뜻이다. 종소명 '나푸스(napus)'는 '겨자, 겨자색, 갈색이 도는 황색(mustard)'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나푸(nâpu)'에서 유래한 라틴어 명사다. '순무(turnip), 들갓(field mustard)' 또는 '유채(rapeseed)'를 뜻한다. '린네(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국표, 국생종, 국생관,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유채의 영어명은 레이프(rape)다. FOM에는 레이프시드(rapeseed)라는 영문명도 실려 있다.
다음백과 국생종, FOM 등재 유채의 일본명은 세이요우아부라나(セイヨウアブラナ, 西洋油菜)이다. 원산지 유럽에서 들어온 유채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FOM에는 아부라나(アブラナ, 油菜), 나노하나(ナノハナ, 菜の花), 나타네(ナタネ, 菜種) 등의 별명도 실려 있다.
FOM,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유채의 중문명은 어우저우여우차이(欧洲油菜)다. 일본명과 같은 뜻이다. 維基百科에는 여우차이즈(油菜籽), 깐란싱여우차이(甘蓝型油菜), 여우마차이즈(油麻菜籽), 마여우차이즈(麻油菜籽), 따여우차이(大油菜) 등의 별명이 실려 있다.
유채는 한강토(조선반도) 제주와 남부 지방,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국생종). 유럽 지중해 원산이며 밭에 식용, 제유용 또는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강토 남부 지방에서 심어 기른다. 중국, 캐나다, 인도 등지에서 대량으로 재배한다.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식재한다(국생관).
세이요우아부라나(西洋油菜)는 일본 메이지(明治, 1868~1912) 시대 초기 기름을 채취하기 위해 유럽에서 수입되었다. 1965년경까지는 재배 면적도 많아 밭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별로 재배되고 있지 않으나, 밭을 벗어난 것들이 길가, 밭둑, 강변 등에서 야생화되고 있다. 채소용 품종도 만들어져 있어 밭에서 재배하는 것을 꽃으로 분간하기는 어렵다(FOM).
어우저우여우차이(欧洲油菜)는 유럽이 원산지이지만 야생에서 유전자원은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주요 번식 방법은 동체교배(同體交配) 또는 동계교배(同系交配)에 의한 유성번식(有性繁殖)이다(百度百科).
어우저우여우차이(欧洲油菜, 유럽유채)는 매우 젊은 종으로서 약 12,500~6,800년 전 배추(白菜)와 양배추(甘蓝)의 자연 교잡으로 형성된 종이다. 이 종과 다른 두 아종 루타바가(rutabaga, 스웨덴순무), 시베리아케일(西伯利亚羽衣甘蓝, Siberian kale)은 브라시카 나푸스(Brassica napus)에 속한다. 집단 유전 구조 분석에 따르면 Brassica napus에는 6가지 유형이 있으며, 모두 유럽겨울유채(欧洲冬油菜)에서 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유채(欧洲油菜)가 3개의 아종으로 진화하는 동안 그 조상인 브라시카 라파(Brassica rapa, 白菜) 사이에 유전적 이입도 있었고, 다양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유전자가 선택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성장 습관과 형태학적 유형을 지닌 유럽겨울유채 아종이 생산되었다. 2015년 중국 시난대학(西南大學校) 농학부 리쟈나(李加纳) 교수 연구팀은 중국농업과학원 야채연구소, 미국 조지아대학교와 협력해 유럽유채의 계통을 밝혀냈다. 광범위한 분석과 연구 끝에 약 7,000년 전 유럽유채가 지중해 지역의 배추 품종인 유럽순무(欧洲芜菁)와 양배추 품종인 구경(球莖) 양배추(苤蓝), 꽃양배추(花菜), 브로콜리(西兰花, broccoli), 중국동갓(中国芥蓝) 등 4종 양배추의 공통 조상이고(조상종은 이미 사라졌다.) 이들 사이에 하이브리드 합성(杂交合成)이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百度百科).
유채는 가늘고 긴 원뿌리가 있다. 줄기는 원줄기에서 15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키는 80∼130cm 정도이다. 잎은 피침형(披針形)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잎에는 끝이 둔한 치아 모양 톱니(齒牙狀鋸齒)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매끄럽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엽병(葉柄)에 자줏빛이 도는 것도 있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줄기 잎은 피침형으로 잎자루가 없고, 끝은 가늘며 갈라지지 않는다. 서양종(西洋種)의 잎은 두껍고 가죽질이다. 일반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가죽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3∼4월에 원뿔 모양 꽃차례(圓錐花序)를 이루며 가지 끝에 달린다. 약 10cm 길이의 꽃대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은 끝이 거꿀달걀 모양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의 배 같고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각과(殼果)로서 한 이삭에 30∼40개가 달린다. 각과는 길이 8cm 가량의 원통 모양(圓筒形)이다. 중앙에는 봉선(縫線)이 있으며, 익으면 봉선이 갈라져서 종자(種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隔膜)으로 갈라진다. 보통 20개 가량의 흑갈색(黑褐色) 종자가 들어 있다.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원주형(圓柱形)이며, 익으면 흑갈색 종자가 나온다. 종자에는 38∼45%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유채의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연한 잎과 줄기는 김치로 만들거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 어린순은 쌈이나 겉절이로 먹기도 한다. 데쳐서 무쳐 먹기도 한다.
유채는 중요한 밀원식물 중 하나다. 꽃을 보기 위해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제주도 등 남부 지방에서는 가을에 씨앗을 뿌리고,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봄에 씨를 뿌린다.
유채의 잎은 지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자는 생약명 운대자(蕓薹子)라 하여 민간에서 종기, 치루 등에 사용한다.
유채는 씨에서 나오는 기름을 추출할 목적으로 대량 재배한다. 캐나다, 중국, 인도, 독일 등지에서는 유채를 대량 재배한다. 캐나다와 중국은 전 세계 유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강토의 주산지는 전라남도와 제주도이다. 재배품종에는 미유기, 유달, 아사히, 전남재래, 용당, 영산유채, 내한유채, 목포29호 등이 있다.
유채씨에서 짜낸 기름을 커놀라유(Canola Oil)라 한다. 시중에서는 카놀라유로 불린다. 커놀라(Canola)란 캐나다(Canada), 기름(Oil), 산성(Acid)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으로 캐나다 유채협회에서 사용하던 상표명이다. 1970년대 캐나다에서 품종 개량한 유채씨 기름을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캐놀라란 상표명을 붙였다. 이후 커놀라는 유채 기름을 뜻하는 일반명사로 쓰이고 있다.
커놀라유는 바이오디젤 등 친환경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화석 연료(化石燃料, fossil fuel)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에서는 유채씨 기름으로 대체경유(代替輕油)를 개발하고 있다. 커놀라유는 산업용 윤활유나 양초, 화장품, 잉크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기름을 짜고 남은 깻묵은 사료로 쓰인다.
국표 등재 유채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없다. 국표 등재 유채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갓(Chinese mustard , カラシナ, 辛子菜, 芥菜), 교나, 꽃양배추, 방울다다기, 배추(napa cabbage, nappa cabbage, ハクサイ, 白菜, 大白菜), 브로콜리(Broccoli, sprouting broccoli, ブロッコリー, ミドリハナヤサイ, 緑花野菜, 緑花椰菜, メハナヤサイ, 芽花野菜, 芽花椰菜, イタリアンブロッコリー, 西兰花, 青花菜), 순무(turnip, Italian kale, rapini, seven-top turnip, カブ, 蕪, カブラ, カブナ, カブラナ, スズナ, 鈴菜, 菘, ホウサイ, 豊菜, ダイトウナ, 大頭菜, 蔓菁), 순무유채, 양배추(cabbage, white cabbage, head cabbage, キャベツ, カンラン, 甘藍, タマナ, 玉菜, 结球甘蓝, 卷心菜), 왜무(ヒノナ, 日野菜), 카이란(芥藍, 芥蘭), 케일(Kale, ケール, リョクヨウカンラン, 緑葉甘藍, 羽衣甘蓝), 콜라비(Kohlrabi, コールラビ, カブキャベツ, 球茎甘藍, 苤蓝), 콜리플라워(cauliflower, カリフラワー, 花椰菜, 白花菜), 흑겨자(クロガラシ, 黒辛子, 黑芥) 등이 있다.
국표 등재 유채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사막갓(Sahara mustard, African mustard, ハリゲ ナタネ, 針毛菜種, 非洲芥菜) 1종이 있다.
2021. 7. 21. 林 山. 2024.1.18. 최종 수정.
#유채 #커놀라 #카놀라 #油菜 #西洋油菜 #欧洲油菜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철쭉 (0) | 2021.07.22 |
---|---|
흰산철쭉 (0) | 2021.07.21 |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0) | 2021.07.20 |
미나리냉이 '당신에게 모든 것을 맡깁니다' (0) | 2021.07.19 |
조팝나무 (0) | 202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