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하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있는 신구대식물원을 찾았을 때 애기말발도리와 함깨 하얀 꽃이 활짝 피어난 말발도리를 만났다. 말발도리는 곧게 자란 줄기와 가지 끝에서 순백색의 작은 꽃들이 편평꽃차례를 이루며 피어나기에 상당히 귀여우면서도 아름답다. 말발도리라는 이름은 열매가 말발굽을 보호하기 위해 덧대는 U자형의 쇳조각인 편자(蹄鐵)를 닮은 데서 유래했다.
말발도리는 장미목 범의귀과 말발도리속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학명은 도이치아 파르비플로라 분게(Deutzia parviflora Bunge)이다. 속명 '도이치아(Deutzia)'는 18세기 네덜란드의 은행가이자 식물학자인 요한 반 데르 도이츠(Johann van der Deutz, 1743~1784)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도이츠는 스웨덴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의 아시아 여행에 자금을 지원했다. 툰베리는 도이츠의 후원으로 아프리카 희망봉, 인도네시아 자바, 일본을 여행했고, 그곳에서 많은 식물을 발견했다. 툰베리는 도이치아속(Deutzia)을 만들어 후원자에게 경의를 표했다. 종소명 '파르비플로라(parviflora)'는 '작은 꽃이 피는'의 뜻이다. '분게(Bunge)'는 아시아와 시베리아 과학 탐험으로 유명한 러시아 식물학자 알렉산더 폰 분게(Alexander von Bunge, 1803~1890)이다.
말발도리의 영어명은 몽골리언 도이치아(Mongolian Deutzia)이다. 일어명은 도우우츠기(トウウツギ)이다. '우츠기(ウツギ, 卯木)'는 '병꽃나무'다. 중국명은 샤오화서우슈(小花溲疏), 이명에는 나바즈(喇叭枝), 서우슈(溲疏), 뚜어화서우슈(多花溲疏), 쳰청피(千层皮) 등이 있다. '샤오(小花)'는 작은 꽃', '서우슈(溲疏)'는 '말발도리'를 말한다.
말발도리는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네이멍구(内蒙古),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陕西), 깐쑤(甘肃),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등지에서 자란다. 한강토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대부분 백두대간에 분포한다. 주로 산지의 계곡부 바위틈에서 자란다.
말발도리의 키는 2m 정도까지 자란다. 일년생 가지는 녹갈색 또는 녹색이며, 별털(星毛)이 있다.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한다. 잎 모양은 달걀꼴, 달걀상 타원형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에 예저다. 잎 길이는 3~6(10)cm, 너비는 2~4.5cm이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 5개로 갈라진 별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3~7mm이고, 별 모양의 털이 있다.
꽃은 5월 중순~6월 중순에 편평꽃차례에 달린다. 꽃 지름은 10~12mm 정도이고 흰색이며, 별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다. 수술대 양쪽으로 화살날개처럼 생긴 돌기들이 달려 있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지고, 밀선반에는 별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삭과는 종모양 구형이며, 지름 2~3mm이고 별털이 있다. 종자는 8월 말~10월 중순에 성숙하며, 끝은 세모진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진다.
말발도리는 꽃이 아름다워서 공원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생울타리나 차폐물로 심어도 좋고, 절개지(切開地) 등의 녹화용으로도 알맞다. 바이두백과에는 '말발도리의 줄기껍질은 해열(解热), 발한해표(发汗解表), 선폐지햬(宣肺止咳)의 효능이 있다. 감모해수(感冒咳嗽), 한해(寒咳), 한수(寒嗽), 기관지염(气管支炎)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다음백과에는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려서 약용한다. 아토피, 피부염, 가려움증에 효능이 있다.'고 나와 있다.
말발도리의 유사종에는 매화말발도리(deutzia, 댕강목), 털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해남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애기말발도리, 물참대, 빈도리, 만첩빈도리 등이 있다.
매화말발도리(Deutzia uniflora Shirai)는 꽃이 전년도 가지의 측면에서 1~3개씩 단일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매화와 비슷하며 흰색이다. 털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Regel)는 꽃받침이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다. 잎 뒷면에 별털과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엽병, 꽃, 밀선반, 일년생 가지에도 별탈이 있다. 열매에는 별모양털이 있다.
바위말발도리(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는 평양 근처의 대성산(大聖山)에서 자란다. 1~3개의 꽃이 새가지에 달린다. 4월에 피는 흰꽃은 마치 매화 같다. 암술대는 3개다. 지리말발도리(Deutzia uniflora Shirai var. triradiata HATUS)는 잎에 3출모가 있다. 꽃받침은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삭과 표면에는 4출모가 있으며, 암술대가 4개로 갈라진다. 지리산에서 자란다. 해남말발도리(Deutzia tozawae Nakai)는 전남 해남, 충북 괴산 등지에 분포한다. 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넓은 피침형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4출별털이 있다. 일년지에는 대가 있는 별털이 있고, 꽃자루에는 털이 많다.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는 경북 영천시, 청도군, 경남 밀양시, 양산시, 대구시 동구, 울산시 울주군 등지에 분포한다. 수술과 화피는 각 5개, 암술대는 3개다. 태백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var. barvinervis Nakai)는 잎 뒷면 맥 위에 밀모가 있다. 속리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var. obscura (Nakai) T. Lee]는 잎 뒷면에 별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애기말발도리(Deutzia gracilis)는 가냘픈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라고도 한다. 일본이 원산지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물참대(Deutzia glabrata Kom.)는 주로 백두대간에 분포한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암술대가 간혹 2개인 것도 있다. 빈도리(Deutzia crenata Siebold & Zucc.)는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4개이다. 만첩빈도리(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만첩꽃이 핀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4개이다.
중국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샤오화서우슈(小花溲疏)의 변종으로 수이화서우슈(碎花溲疏), 동베이서우슈(东北溲疏) 등 두 종이 기록되어 있다. 碎花溲疏[Deutzia parviflora Bunge var. micrantha (Engl.) Rehd.]는 중국 허베이, 샨시, 샨시(陕西) 남부, 허난 등지의 해발 1,100~1,800m의 산골짜기 관목숲에서 자란다. 꽃이 작다. 꽃의 지름은 5~7mm이다. 东北溲疏(Deutzia parviflora Bunge var. amurensis Reg)는 중국 지린, 랴오닝, 헤이롱쟝(黑龙江), 네이멍구 등지의 해발 300~800m의 잡목이나 관목숲에서 자란다. 꽃의 지름은 10~15mm이다.
2022. 8. 1. 林 山. 2022.8.24. 최종 수정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시호 '미덕' (0) | 2022.08.04 |
---|---|
누린내풀 '내 이름을 기억하세요' (0) | 2022.08.03 |
애기말발도리 '애교' (0) | 2022.07.30 |
인가목(人伽木) '당신을 노래합니다' (2) | 2022.07.29 |
갈기조팝나무 '노련' (0) | 202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