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매발톱나무 '승리의 맹세'

林 山 2022. 10. 7. 18:10

매발톱나무 꽃을 처음 본 것은 2015년 6월 초 백두대간 설악산 서북능선에 올랐을 때였다. 서북능선에는 때마침 노란색의 작고 앙증맞은 매발톱나무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매발톱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를 알려면 줄기의 탁엽(托葉, stipule, 턱잎) 부위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잎자루 밑에는 턱잎이 변해서 생긴 매의 발톱을 닮은 가시가 나 있어 매발톱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매발톱나무(설악산 서북능선, 2015. 6. 6)

매발톱나무는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학명은 베르베리스 아무렌시스 루프레흐트(Berberis amurensis Rupr.)이다. 속명 베르베리스(Berberis)'는 '열매'를 뜻하는 아랍어 '베르베리스(berberys)'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 잎 모양이 조개껍질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이를 뜻하는 '베르베리(berberi)'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종소명 '아무렌시스(amurensis)'는 처음 발견된 곳이 극동 러시아의 아무르(Amur) 지방임을 나타낸다. 루프레흐트(Rupr.)는 프란츠 요셉 루프레히트(Franz Josef Ruprecht, 1814~1870)이다. 그는 오스트리아 태생으로 러시아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식물학자다. 프란츠 이바노비치 루프레흐트(Frants Ivanovič Ruprekht)로도 알려져 있다.

 

매발톱나무의 영어명은 아무어 바베리(Amur barberry)이다. '아무어(Amur)'는 '아무르 강, 헤이룽 강(黑龍江)', '바베리(barberry)'는 '매자나무(의 열매)'이다. 중국명은 황루무(黃蘆木)이다. 이명에는 샤오보(小檗, 秦岭植物志), 따예야오보(大叶小檗, 河南植物志) 등이 있다. '보(檗)'는 '황벽나무(黄檗), '샤오보(小檗)'는 '매자나무' 또는 '작은 황벽나무, '따예(大叶)'는 '큰 잎, 넓은 잎'이다. 매발톱나무를 소벽(小檗)이라고도 한다. 꽃말은 '승리의 맹세'이다. 

 

매발톱나무의 일어명은 히로하헤비노보라즈(ヒロハヘビノボラズ, 広葉蛇上らず)이다. '히로하(広葉)'는 '활엽(濶葉)' 또는 '넓은 잎', '헤비노보라즈(蛇上らず, 蛇不登)'는 가시에 찔리기 때문에 뱀조차 올라가지 못한다는 뜻이다. 헤비노보라즈(蛇不登, Berberis sieboldii)의 근연종 중에서도 잎이 넓기 때문에 '히로하(広葉)'가 붙었다. 이명에는 히로하노헤비노보라즈(ヒロハノヘビノボラズ), 오바노헤비노보라즈(オオバノヘビノボラズ), 다이리쿠헤비노보라즈(タイリクヘビノボラズ) 등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 일어명은 아무르메기(アムルメギ)이다. '아무르(アムル)는 '아무르 강, 헤이롱 강', '메기(メギ)'는 '소벽(小蘗)'이다. 

 

매발톱나무는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동북 지방, 극동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와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의 산지에 자란다. 중국에서는 랴오닝(辽宁)과 샨시(陕西), 네이멍구(内蒙古), 깐쑤(甘肃), 허베이(河北), 샨똥(山东), 샨시(山西), 허난(河南), 지린(吉林), 헤이롱쟝(黑龙江) 등지에 난다. 한강토에서는 함경남북도와 평안남북도, 강원도의 산지에 분포한다. 해발 1000m 이상 고지대에서 자란다. 한라산과 지리산에서도 자생한다.

 

매발톱나무(정선 함백산, 2022. 6. 11)

매발톱나무는 키가 2m 정도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암회색이고, 가지는 회색이며 털이 없다. 일년생 가지에는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가시 길이는 1~2cm이다.

 

잎은 새가지에서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 한 것처럼 보인다. 잎 모양은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에 예저이다. 잎 길이는 3~8cm, 너비는 1.5 ~ 2.5(3.0)cm이다. 예리하고 불규칙한 침상 톱니의 간격이 다소 짧다. 거치 수는 다소 많다.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은 5월 말~10월 초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cm 정도이다. 황색의 총상꽃차례는 길이 10cm로서 액출(腋出)하여 반쯤 처지고 10~20개의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잎은 약간 작은 오목형이며 6개이다. 꽃받침조각은 6개이다. 바깥쪽 3개는 달걀모양으로 길이 4mm정도이고, 안쪽 3개는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6mm정도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기부에는 2개의 작은 꿀샘이 있다. 열매 길이 1cm 정도의 타원상 장과이다. 9월 말~10월 중순에 붉게 익는다.

 

매발톱나무는 꽃이 특이하고 아름다워서 공원이나 정원에 관상용 조경수로 심는다. 가지와 잎이 약재나 염색재로 쓰인다. 생울타리를 만드는 데도 쓰인다. 

 

매발톱나무(정선 함백산, 2022. 6. 11)

중국 빠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황루무(黃蘆木)에 대해 '청열조습(清熱燥濕),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어 장염(腸炎), 이질(痢疾), 만성담낭염(慢性膽囊炎), 급만성간염(急慢性肝炎), 무명종독(無名腫毒), 단독습진(丹毒濕疹), 탕상(燙傷), 목적(目赤), 구창(口瘡) 등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또, 약리작용으로는 강압작용(降壓作用)이 있어서 고혈압의 치료에 쓴다고 한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매발톱나무에 대해 '뿌리 및 莖枝(경지)를 小蘗(소벽)이라 하며 약용한다. 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매발톱의 전초에는 alkaloid를 함유하며 根皮(근피)는 대량의 berberine 외에 palmatine, columbamine, jatrorrhizine 및 oxyacanthine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도 berberine이 함유되어 있다. 淸熱(청열), 燥濕(조습), 消炎(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급성장염, 이질, 황달, 熱痺(열비, 열성 전신증상)에 수반하는 痺證(비증)), 나력, 폐렴, 인후부의 염증, 骨蒸(골증, 결핵성발열), 결막염, 癰腫(옹종), 瘡癤(창절), 血崩(혈붕)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황루무나 소뱍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소벽을 거의 쓰지 않는다. 

 

매발톱나무(정선 함백산, 2022. 6. 11)

매발톱나무의 유사종에는 왕매발톱나무(Ulleungdo barberry), 섬매발톱나무(Jejudo barberry, 섬매자나무), 매자나무(Korean Barberry), 연밥매자나무(Elongate-fruit Korean barberry), 당매자나무(Chinese barberry, 唐小檗), 좁은잎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Japanese barberry, Thunberg's barberry, red barberry) 등이 있다. 

 

왕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는 울릉도와 강원도에서 자란다. 잎이 원형 또는 난상원형이다. 섬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는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이 거꿀피침모양이고 길이 1~3cm로서 모상의 톱니가 있다. 가시가 크고 3출한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서 붉은색으로 익는다.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Palib.)는 한강토 고유식물이다. 잎 가장자리의 예리한 톱니가 고르지 않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다. 매자나무는 가지가 회색이며, 가지에 달리는 가시가 매발톱나무보다 짧다. 연밥매자나무(Berberis koreana var. ellipsoides Nakai)는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잎은 가죽질이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회록색이다. 당매자나무(Berberis poiretii C.K.Schneid.)는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황색이지만 붉은 빛이 돈다. 좁은잎매자나무(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는 경기도 이북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시가 있다. 잎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일본매자나무(Berberis thunbergii DC.)는 일본과 동아시아가 원산지다. 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2022. 10. 7. 林 山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우산풀  (0) 2022.10.13
선괴불주머니 '보물주머니'  (0) 2022.10.11
은분취 '순진, 가련'  (1) 2022.10.06
싸리냉이  (1) 2022.10.04
까치고들빼기 '순박함'  (3)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