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방아풀 '인내(忍耐)'

林 山 2023. 5. 2. 12:49

2022년 9월 중순경 야생화 탐사를 위해 동호회원들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남한산(南漢山)을 찾았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남문(南門)인 지화문(至和門)을 지나 성곽길을 따라 오르다가 청량산(淸凉山, 497m) 기슭 풀섶에서 작은 꽃들을 매단 채 고개를 빼꼼히 내밀고 있는 방아풀을 만났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생선 매운탕이나 추어탕을 끓일 때 비린내를 잡기 위해 방아풀 이파리를 넣는다. 하지만 충주 지방에서는 방아풀을 향신료로 쓰는 집을 거의 보지 못했다. 방아풀의 향에 익숙하지 않아서 꺼리는 사람들도 많다. 

방아풀을 배초향(排草香)과 같은 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방아풀은 배초향과 과(科)는 같지만 다른 속(屬)의 식물이다. 방아풀은 꿀풀과 산박하속(Isodon), 배초향은 꿀풀과 배초향속(Agastache) 식물이다.    

방아풀(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9. 17)

방아풀은 통화식물목 꿀풀과 산박하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회채화(回菜花)가 비추천명, 연명초(延命草)가 본초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연명초(延命草)는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 등재된 방아풀의 이명은 회채화(回菜花)이다. 북한명은 방아오리방풀(추천명), 남색방아오리방풀, 연명초(延命草), 회채화 등이 있다. 꽃말은 '인내(忍耐)'이다. 

연명초(延命草)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진다. 옛날에 길을 지나던 어느 고승이 쓰러져서 신음하고 있는 환자를 발견했다. 고승은 방아풀을 뜯어 와서 환자에게 먹여 목숨을 구했는데, 그 이후로 방아풀이 연명초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것이다(야생화백과사전). 

국표와 국생정 등재 방아풀의 학명은 이소돈 자포니쿠스 (버만) 하라[Isodon japonicus (Burm.) Hara]이다. 속명 '이소돈(Isodon)'은 구세계(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열대와 아열대, 특히 중국의 토착종인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분류학적 속을 뜻하는 근대 라틴어 고유명사다. 어원 유래는 불분명하다. 종소명 '자포니쿠스(japonicus)'는 '일본의(Japanese)'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다. '버만(Burm.)'은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이자 의사 요하네스 버만(Johannes Burman, 1707~1780)이다. 버만은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암보이나(Amboina), 남아프리카 케이프 식민지(Cape Colony)의 식물을 전문으로 연구했다. 펠라르고늄(Pelargonium)이라는 이름은 버만에 의해 소개되었다. '하라(Hara)'는 이끼를 전문으로 연구한 일본의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寛, 1911~1986)이다.   

국표에 등재된 방아풀의 영어명은 방아풀(Bangahpul) 또는 이스트 에이션 수프-민트(East Asian soup-mint)이다. '동아시아산 국(을 끓일 때 넣는)-박하' 정도의 뜻으로 보인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히키오코시(ヒキオコシ, 引き起こし), 이명은 엔메이소우(エンメイソウ, 延命草)이다. '히키오코수(引き起こす)'는 '(쓰러진 것을) 다시 일으켜 세우다.'의 뜻이 있다. 히키오코수(引き起こす)->히키오코시(ヒキオコシ, 引き起こし)->여기서 이명 엔메이소우(延命草)가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FOM과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등재 중국명은 마오예샹차차이(毛叶香茶菜)이다. 직역하면 '털잎향차채소' 정도의 뜻이다. 이명에는 멍이사(猛一撒), 샨쑤즈(山苏子), 시렁간(四棱杆), 란어샹차차이(蓝萼香茶菜) 등이 있다(维基百科).   

방아풀은 한강토(조선반도)의 전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토질은 비옥한 진참흙에 잘 되나 적당한 습기만 있으면 모든 곳이 좋다(국생정). 방아풀의 분포지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서남부,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한강토(조선반도), 중국이다(FOM). 일본에서는 1960년부터 야마가타(山形), 가가와(香川)에서 재배했으며, 주산지는 나가노(长野), 이시카와(石川), 도야마(富山) 현이다(百度百科). 중국, 조선, 일본(홋카이도 남부에서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중국에서는 장쑤(江苏), 허난(河南), 샨시(山西) 남부, 샨시(陕西) 남부, 간쑤(甘肃) 남부 및 쓰촨(四川) 북부에 분포한다. 산비탈, 계곡, 길가, 관목숲 덤불에 난다. 해발 2,100m까지 자란다(百度百科).  

방아풀의 키는 50~100cm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네모진 능선이 있으며,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圓底)로서 엽병(葉柄)의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된다. 잎 길이는 6~15cm, 너비 3.5~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색이고,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뿔 모양 꽃차례로 된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裂片)은 삼각형이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筒狀脣形)이고, 길이 5~7mm이며, 털이 빽빽하게 난다. 2강수술이 있다. 열매는 분과(分果)이다.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윗부분에 점같은 선이 있다.

 

방아풀(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9. 17)

방아풀은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성숙한 것은 약재로 쓴다(국생정). 독특한 향이 있는 잎은 찌개, 국, 탕에 넣어 향신료로 사용한다. 전으로 부치거나 튀겨 먹으며, 차로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향신료백과). 

일본은 전통적으로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건위약(健胃薬)으로 이용되어 온 방아풀에서 쓴맛 성분인 연명소(延命素, Enmein C10H26O6)를 분리하였다. 연명소는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균 효과가 있다. 소화불량, 식욕부진, 복통 등을 치료한다(百度百科).   

방아풀이나 오리방풀의 지상부 전초(全草)를 연명초(延命草)라 하며 약용한다. 연명초에 들어 있는 엔마인(Enmein), 오리도닌(oridonin)에는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 그램양성균(陽性菌)에 대한 항균작용(抗菌作用)이 있다. 이 고미질(苦味質)은 알칼리성으로 쉽게 분해되므로 제산제(制酸劑)로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한 위장약(胃腸藥) 등에는 배합할 수 없다. 건위(健胃), 지통(止痛), 양혈(凉血), 해독,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식욕부진, 복통(腹痛), 질타박상(跌打撲傷), 옹종(癰腫), 암종(癌腫), 사교상(蛇咬傷)을 치료한다. 고미건위약(苦味健胃藥)이다. 달여서 복용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국생정).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본초명 연명초가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연명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방아풀(응봉산 용소골, 2022. 9. 24)

국표에 등재된 방아풀의 유사종 자생식물은 자주방아풀(Purple-leaf bangahpul, オオヒキオコシ, 溪黄草), 산박하(Mountain isodon, ヤマハッカ, 山薄荷, 内折香茶菜), 털산박하(Hairy-leaf mountain isodon, ケヤマハッカ, シラゲヤマハッカ), 긴잎산박하(Long-leaf mountain isodon, ナガバヤマハッカ, 長葉山薄荷), 영도산박하(Small-leaf mountain isodon, コバノヤマハッカ), 오리방풀(Tailed-leaf isodon, カメバヒキオコシ, 亀葉引起, 亀葉引き起こし, マンシュウカメバヒキオコシ, 満州亀葉引き起こし, 尾叶香茶菜) 등이 있다.    

자주방아풀[Isodon serra (Maxim.) Kudô]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1~1.5(2)m 내외로 산에서 자란다. 줄기 전체에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선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는 한강토,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키는 40~100cm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이룬다. 상순은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 고무신 같은 모양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털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canescens (Nakai)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털이 있다. 잎 뒷면에 털이 많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긴잎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transticus Matsum. &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이 길고 밑부분이 긴 예저(銳底)이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영도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ô var. microphyllus (Nakai) Kudô]는 키가 40~100cm 정도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이 작고 달걀 모양이며 복모가 있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윗부분에 마주나기하여 큰 꽃차례를 형성한다. 오리방풀[Isodon excisus (Maxim.) Kudô]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50~100cm이다. 네모진 줄기는 곧게 서며,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 끝이 거북이 꼬리처럼 길게 자란다. 꽃은 6~8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하는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2023. 5. 2. 林 山. 2023.6.22. 최종 수정

#방아풀 #연명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