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8일 조선민족(朝鮮民族)의 영산(靈山) 백두산(白頭山) 천문봉(天文峰, 2,670m)에 올랐다. 천지(天池) 수면에서 높이 476m인 천문봉은 동쪽에 백암봉(白岩峰, 2,681m), 서쪽에 철벽봉(鐵壁峰, 2,316m)이 솟아 있었다. 하늘에 뜬 구름은 신령스런 기운이 감도는 분화구의 천지에 감히 범접하지 못하는 듯했다.
천문봉 기슭에는 때마침 두메양귀비들이 개화기를 맞아 노란색 꽃을 일제히 피워올려 장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분화구 바위절벽에도 두메양귀비 꽃들이 앙증맞게 피어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푸르디 푸른 천지를 배경으로 바위절벽에 매달린 듯 피어난 두메양귀비는 자연이 그려낸 한 폭의 천하 명화(天下名畵)였다.
두메양귀비는 백두산이나 러시아, 중국 동북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식물이기에 남한에서는 만날 수가 없다. 강원도 양구에 있는 국립 DMZ자생식물원에나 가야 두메양귀비를 볼 수 있다. DMZ자생식물원의 두메양귀비는 매년 5월에 꽃이 핀다고 한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두메양귀비를 식물계(植物界, Plantae)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목련아강(木蓮亞綱, Magnoliidae) 양귀비목(楊貴妃目, Papaverales) 양귀비과(楊貴妃과科, Papaveraceae) 양귀비속(楊貴妃屬, Papaver)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 두메양귀비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파파베르 코레아눔 나카이(Papaver coreanum Nakai)다. 국표 등재 이명(異名, synonymy)은 Papaver pseudo-radicatum Kitag./Papaver radicatum Rottb.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 등이 있다. 국생관,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학명은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이다. 국생관 등재 학명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Papaver coreanum Nakai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파파베르(Papaver)'의 어원(Etymology)은 알려지지 않았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코리아눔(coreanum)'은 '한강토의(Korean, 조선반도의, 한반도의)'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로 자생지 또는 최초 발견지가 한강토임을 나타낸다.
명명자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나카이는 1928년 'Scientific Knowledge. [Kagaku Chishiki]. Tokyo'에서 최초로 두메양귀비의 학명을 출판했다.
국표 등재 Papaver coreanum Nakai의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두메양귀비(추천명), 갈래두메양귀비, 두메아편꽃, 산양귀비(山楊貴妃), 흰두메양귀비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추천 국명은 두메양귀비, 비추천명은 갈래두메양귀비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추천 국명은 두메양귀비, 비추천명은 조선앵속(朝鮮罌粟), 산양귀비 등이 있다.
두메양귀비는 높고 깊은 산(두메)에 자생하는 양귀비(楊貴妃)라는 뜻이다. 양귀비(楊貴妃)라는 이름은 탕(唐) 쉬안종(玄宗)의 후궁으로 중국 4대 미녀로 일컬어졌던 양구이페이(楊貴妃)에서 유래했다.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도 불렸던 양구이페이의 빼어난 미모만큼이나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양귀비를 잉수(罌粟)라고 부른다. 잉수는 배가 부르고 아가리가 작은 병(罌)에 들어 있는 좁쌀(粟)이라는 뜻으로 열매와 씨앗의 모양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북한에서는 양귀비를 아편꽃이라 부른다. '아피엔(阿片) 또는 야피엔(鸦片)'은 '즙(juice), 수지(樹脂, resin)'를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소코스(*sokʷos)' 기원의 '오포스(opós, juice of a plant, 식물의 즙)'에서 유래한 고대 그리스어 '오피온(ópion, 양귀비 수지, poppy juice, opium)'으로부터 차용한 라틴어 '오피움(opium)'을 음역(音譯)한 중국어다. 덜 익은 양귀비 열매에 상처를 냈을 때 나오는 유액을 모아 말린 가루가 바로 최고의 천연 진통제 아편(opium)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두메양귀비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만테인 파피(Montane poppy)다. '산간 지대((Montane) 양귀비(poppy)'라는 뜻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Papaver alpinum L./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Papaver pseudoradicatum Kitag.의 영문명은 알파인 파피(alpine poppy), 오스트리안 파피(Austrian poppy), 리션 파피(Rhaetian poppy), 드워프 파피(dwarf poppy) 등이 있다.
FOM 등재 Papaver alpinum L./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Papaver pseudoradicatum Kitag.의 일문명(日文名, Japanese name)은 타카네히나게시(タカネヒナゲシ, 高嶺雛罌粟, 高嶺雛芥子)다. '높은 산(高嶺) 개양귀비(雛罌粟, 雛芥子)'라는 뜻이다.
중국어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의 중문명(中文名, Chinese name)은 창바이샨잉수(长白山罂粟)다. '백두산(长白山) 양귀비(罂粟)'라는 뜻이다. 百度百科 등재 별명(別名, Synonym)에는 바이샨잉수(白山罂粟), 샨잉수(山罂粟)등이 있다.
두메양귀비는 함경북도 백두산 고지의 중턱에 분포한다(국생정). 두메양귀비는 백두산 중턱에 자라며 러시아와 중국 동북 지방에도 분포한다(국생관).
창바이샨잉수(长白山罂粟)는 중국 지린성(吉林省) 안투현(安图县), 푸쑹현(抚松县), 창바이현(长白县) 등지에 분포한다. 조선(朝鲜, 한강토)에도 분포한다. 창바이샨(长白山) 해발 1600m 이상 자갈, 모래, 암반사면, 고산 툰드라 지대에서 자란다(百度百科).
두메양귀비의 뿌리는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뿌리는 땅속으로 30cm 정도 곧게 들어가고, 지름은 1cm 정도이다. 꽃대는 외가닥 또는 2∼3가닥으로 곧게 또는 비스듬히 난다. 꽃대 높이는 5~10cm 정도이다.
두메양귀비의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엽병(葉柄)은 다소 길다. 잎몸은 난상 타원형(卵狀楕圓形)으로 1∼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피침형(披針形)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끔 갈라지지 않은 잎이 함께 있다.
두메양귀비의 꽃은 7∼8월에 노란색 꽃이 꽃대 끝에 1송이 핀다. 꽃받침조각은 2개인데, 타원형 배 모양이고 꽃잎은 4개가 다소 둥글며 지름 1.5∼2cm이다. 수술은 많다. 씨방은 거꿀달걀모양(倒卵形)이다. 암술대는 방사형(放射形)으로서 씨방꼭지를 우산 모양으로 덮는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삭과는 달걀 모양 구형(球形)이고 퍼진 털이 있다.
창바이샨잉수(长白山罂粟)의 맛(味)은 달고(甘), 성질(性)은 평(平)하다. 대장경(大肠经)으로 들어간다. 건위개위(健脾开胃), 청열이수(清热利水)의 효능이 있어 설사(泄泻), 이질(痢疾), 반위(反胃)를 치료한다(百度百科). 두메양귀비는 유독성 식물이다(국생정).
국표 등재 두메양귀비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흰양귀비[Papaver amurense (N.Busch) N.Busch ex Tolm.] 1종이 있다.
흰양귀비(Amur poppy, シロバナヒナゲシ)는 한강토 북부 지방 회령, 선봉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높이 50cm 정도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잎자루는 20cm 정도이다. 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 길이 20~60cm인 꽃줄기 끝에 1개씩 흰색으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2장, 타원형으로 표면에 털이 많으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장,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2~4cm다. 열매는 삭과다. 삭과는 좁은 도란형으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위쪽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국표 등재 두메양귀비의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은 양귀비(Papaver somniferum L.), 개양귀비(Papaver rhoeas L.), 고산양귀비(Papaver alpinum L.), 나도양귀비[Papaver somniferum L. subsp. setigerum (DC.) Arcang.], 노랑고산양귀비(Papaver rhaeticum Leresche ex Gremli), 모로코양귀비(Papaver atlanticum Ball ex Coss.), 뿌리두메양귀비(Papaver kluanense D.Löve), 아이슬란드포피(Papaver nudicaule L.), 오리엔탈양귀비(Papaver orientale L.), 일본고산양귀비(Papaver apokrinomenon Fedde), 쥐눈양귀비(Papaver commutatum Fisch., C.A.Mey. & Trautv.) 등 30종이 있다.
국표 등재 두메양귀비의 유사종 외래식물(外來植物, alien plant)은 바늘양귀비(Papaver hybridum L.), 좀양귀비(Papaver dubium L.) 등 2종이 있다.
2024. 8. 1. 林 山
#두메양귀비 #흰양귀비 #양귀비 #タカネヒナゲシ #高嶺雛罌粟 #高嶺雛芥子 #长白山罂粟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돌꽃 (2) | 2024.09.27 |
---|---|
바위구절초 '어머니의 사랑, 가을 여인, 순수(純粹)' (6) | 2024.09.27 |
백두산 야생화 금혼초 (1) | 2024.07.26 |
다릅나무 '선한, 착한' (0) | 2024.07.12 |
국명 속단(續斷) ≠ 본초명 속단(續斷)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