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구절초는 고산지대의 정상 부근에서 자라는 고산 식물이다.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남한에서 바위구절초는 석병산, 설악산 등 강원도 이북에서 자생하기에 만나기가 다소 어렵다. 바위구절초는 가는잎구절초와 비슷하지만 키가 더 작다. 그리고, 바위구절초는 줄기와 잎, 총포편(總苞片)의 뒷면과 안쪽 가장자리에 흰색 털이 있으며, 머리모양꽃차례(頭狀花序) 자루(花梗)가 짧다.
바위구절초를 만나기 위해 2012년 8월 중순과 2024년 7월 중순 두 번에 걸쳐 조선민족(朝鮮民族, 韓民族)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 백두산(白頭山, 长白山)을 찾았다. 백두산 북파(北坡)에 세 번, 서파(西坡)에 두 번 올랐는데, 그때마다 활짝 핀 바위구절초들이 반갑게 맞아 주었다. 특히, 북파에 우뚝 솟은 천문봉(天文峰 2,670m)의 깎아지른 듯한 바위절벽에 매달려 피어난 바위구절초를 바라보면서 그 끈질긴 생명력과 청초한 아름다움에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바위구절초를 식물계(植物界, Plantae)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국화목(菊花目, Asterales)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산국속(山菊屬, Dendranthema)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은 바위구절초를 초롱꽃목(Campanulales)으로 분류했다. 초롱꽃목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쌍떡잎식물강 국화아강에 속했던 목 분류군이다.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목으로 인정하지 않고, 가지목(Solanales)으로 분류하는 스페노클레아과(Sphenocleaceae)를 제외하고 모든 과를 국화목으로 분류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생정, 국생관 등재(登載) 바위구절초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덴드란테마 오레아스트룸 (한스) Y.린[Dendranthema oreastrum (Hance) Y.Ling]이다. 국표에는 크리산테뭄 오레아스트룸 한스(Chrysanthemum oreastrum Hance) 등 6개의 이명, 국생관에는 덴드란테마 시코텐세 추벨레프(Dendranthema sichotense Tzvelev)가 학명 이명(異名, synonymy)으로 등재되어 있다.
속명 '덴드란테마(Dendranthema)'과 종명 '오레아스트룸(oreastrum)'의 유래에 대해서는 구글링을 통해서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덴드란테마(Dendranthema)'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에서 천편일률적으로 '국화속(Chrysanthemum)에 종종 포함된 식물들로 구성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영문판 위키피디아는 국화속(Chrysanthemum)에 대해 '국화속 식물은 1753년 카롤루스 린나이우스(Carolus Linnaeus, Carl von Linné)에 의해 14종으로 처음 공식적으로 기술되었다. 국화속은 한때 많은 종을 포함했지만 수십 년 전에 몇 개의 속으로 분리되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플로리스트(florist, 화초 재배자)의 국화(chrysanthemums)를 덴드란테마(Dendranthema)에 포함시켰다. 속명 덴드란테마(Dendranthema)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99년 국제 식물회의(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의 판결은 속의 정의종(定義種)을 감국(甘菊, Chrysanthemum indicum)으로 변경하여 플로리스트의 국화를 국화속으로 복원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덴드란테마(Dendranthema)'는 그리스어 '덴드론(dendron, tree, 나무)'과 '안테몬(anthemon, flower, 꽃)'의 합성어가 아닌가 생각된다. 산국속 식물들의 줄기 아랫부분이 목질화 되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오레아스트룸(oreastrum)'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오레아스(oreas, ὀρεάς)'는 '산의 요정(mountain nymph)'이나 '산과 관련된 무언가(something associated with mountains)'를 의미하고, '아스트룸(astrum)'은 '별(star)'을 뜻한다. 합쳐서 '산의 별(mountain star)'이나 '산악적 맥락에서 별과 관련된 무언가(something related to stars in a mountainous context)'를 의미할 수 있다. 자생지가 고산지대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한스(Hance)'는 헨리 플레처 한스(Henry Fletcher Hance, 1827~1886)이다. 런던에서 태어난 한스는 1844년 영국 외교관으로 홍콩에 처음 부임해서 중국 식물 연구에 전념한 인물이다. ' Y.린(Y.Ling)'은 중국 과학원 식물연구소 연구원을 지낸 식물분류학자 린룽(林镕, 1903–1981)이다. 린룽은 1980년 중국 동북지방 임업연구소 식물학실험실 회보(Bulletin of Botanical Laboratory of North-Eastern Forestry Institute)에 학명 Dendranthema oreastrum (Hance) Y.Ling(바위구절초)을 최초로 출판했다.
덴드란테마 오레아스트룸 (한스) Y.린[Dendranthema oreastrum (Hance) Y.Ling]의 국표, 국생정 추천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바위구절초, 비추천명은 산구절초(山九節草)다.
바위구절초는 바위 지대에서 잘 자라는 구절초(九節草)라는 뜻이다. 구절초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에 꺾어서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고 한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端午)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九)'와 중양절의 '절(節)', 혹은 마디라는 뜻의 '절(節)'자를 써서 구절초라고 한다. '꺽는다'는 뜻의 '절(折)'자와 '절(節)'자는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homonym)이다. 그래서 九折草(구절초)라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구절초에게는 '구절(九折)'이라는 꽃 이름이 수난의 날이기도 하다. 구절초의 꽃말은 '어머니의 사랑'이다. '가을 여인, 순수(純粹)'를 뜻하기도 한다. 바위구절초의 꽃말도 같다.
국표, 국생정 등재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로키 덴드란테마(Rocky dendranthema)이다. '바위(Rocky)에 자라는 산국속(dendranthema) 식물'이라는 뜻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단나이와기쿠(タンナイワギク, 耽羅岩菊), 학명 Chrysanthemum oreastrum Hance(이명 Dendranthema oreastrum (Hance) Y.Ling)의 영문명은 코리언 크리산테문(Korean chrysanthemun)이다. '한강토에서 자라는(Korean) 국화속(chrysanthemun)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바위구절초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죠센이와기쿠(チョウセンイワギク, 朝鮮岩菊)다. '한강토(チョウセン, 朝鮮)에서 자라는 바위국화(イワギク, 岩菊, 구절초)'라는 뜻이다. FOM 등재 일본명은 단나이와기쿠(タンナイワギク, 耽羅岩菊)다. '제주도에서 자라는(タンナ, 耽羅) 바위국화(イワギク, 岩菊, 구절초)'라는 뜻이다. FOM에서는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subsp. coreanum (H.Lev. et Vaniot) Y.N.Lee를 죠센이와기쿠(チョウセンイワギク)로 분류하고 있다.
FOM, 중국어판 즈우퉁(植物通),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Dendranthema oreastrum (Hance) Y.Ling,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Chrysanthemum oreastrum Hance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샤오샨쥐(小山菊)다. '작은(小) 산국(山菊)'이라는 뜻이다. 즈우퉁, 위키백과 등재 이명에는 마오샨쥐(毛山菊, 东北植物检索表)가 있다. '털(毛) 산국(山菊)'이라는 뜻이다.
바위구절초는 한강토 강원도 석병산, 설악산 등의 이북에 나며, 중국 만주,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높은 산의 능선 바위지대에 자란다(국생관). 바위구절초는 한강토 북부, 중국 동북, 러시아 극동 지구에 분포한다. 전국의 고산지대 산정에서 자란다(국생정). 만주(满洲, 중국어 만저우)라는 지명은 중국에서도 잘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둥베이(東北)라고 한다. 둥베이 지방은 헤이룽쟝(黑龍江省),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遼寧省) 등 3개 성을 가리킨다. 우수리 지방(러시아어 Уссури́йский край)은 러시아 극동 지역 남부를 이르는 명칭이다.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대부분과 하바롭스크 변경주 일부가 포함된다. 지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나이와기쿠(耽羅岩菊)와 이명 죠센이와기쿠(朝鮮岩菊)는 한강토(韓国), 중국(中国)[허베이성(河北省), 지린성(吉林省), 윈난성(雲南省)], 러시아가 원산지이다. 표고(標高) 1800~3000m의 목초지(牧草地)에서 자란다( FOM).
샤오샨쥐(小山菊)는 중국 허베이(河北), 샨시(山西), 지린(吉林), 깐수(甘肃), 닝샤(宁夏) 등지에 분포한다.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해발 1800~3000m의 초원지대에서 자란다(百度百科).
바위구절초의 뿌리는 땅속줄기가 짧다. 줄기는 높이 20cm 정도까지 자란다. 전체에 백색(白色) 털이 덮여 있다. 잎도 백색 털로 덮여 있다. 밑부분의 잎은 엽병(葉柄)이 있으나 위로 올라가면서 엽병이 없어지고 우상(羽狀)으로 갈라진다. 열편(裂片)은 피침형(披針形)으로서 산구절초와 비슷하게 가늘어지고 첨두(尖頭)이며 넓이 1mm 가량이다. 엽병의 기부(基部)는 넓어져 줄기를 절반 감싼다.
꽃은 9~10월에 피고 머리모양꽃차례(頭狀花序)는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紅色) 또는 백색이고, 지름 2~4cm이다. 2024년 7월 19일 백두산 천문봉에 올랐을 때 바위구절초가 피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국생정의 바위구절초 개화기는 수정이 필요하다. 포편(苞片)의 뒷면과 안쪽 가장자리에는 백색 털이 있고, 화경이 짧으며 꽃이 크다. 총포(總苞)는 길이 5~7mm, 지름 10~18mm이고, 포편은 긴타원모양(長楕圓形)으로서 둔두(鈍頭)이며 가장자리는 넓은 막질(膜質)이고 갈색(褐色)이다. 머리모양꽃차례의 가장자리에는 혀꽃(舌狀花)이 있고, 설상화관(舌狀花冠)은 분홍색(粉紅色) 또는 백색이며, 길이는 10~20mm이다. 꽃차례 안쪽에 있는 관상화(管狀花)의 꽃부리는 황색(黃色)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다. 수과는 거꿀달걀모양(倒卵形)이며, 길이 1.5~2.5mm이고, 6~7개의 종륵(縱肋)이 있다. 종자는 9~10월에 익는다.
바위구절초는 관상용으로 재배한다(국생정). 샤오샨쥐(小山菊)는 꽃이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지피식물(地被植物, ground cover plant)이나 과학실험 재료로도 사용한다(百度百科).
구절초, 산구절초, 바위구절초의 전초(全草)를 구절초(九折草)라 하며 약용한다. 개화 직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그대로 쓰거나 술에 볶아서 쓴다. 온중(溫中), 조경(調經), 소화(消化)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불임증, 위냉(胃冷), 소화불량을 치료한다(국생정). 샤오샤샨쥐(小山菊)의 꽃은 소풍청열(疏风清热), 명목(明目), 해독(解毒) 등의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구절초는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本草學)나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韓醫師, Korean Medicine Doctor, Doctor of Korean Medicine)들도 임상에서는 구절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국표 등재 바위구절초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에는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atiloba (Maxim.) Kitam.], 남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yezoense (Maek.) M.Kim], 산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신창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sinchangense (Uyeki) M.Kim], 울릉국화[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ucida (Nakai) Pak], 정선국화(Dendranthema jeongseonense M.Kim & H.Jo), 포천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tenuisectum (Nakai) Kitag.], 한라구절초[Dendranthema coreanum (H.Lév. & Vaniot) Vorosch.] 등 8종이 있다.
구절초(White-lobe Korean dendranthema, イワギク, 岩菊, 紫花野菊)의 원산지는 일본(本州, 四国, 九州), 조선(朝鮮,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 유럽이다(FOM). 키는 50~100cm 정도이다. 뿌리잎은 난형, 잎밑이 수평이거나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잎끝은 둔하다. 줄기잎은 매우 작고, 약간 깊게 갈라진다. 꽃은 7~11월 머리모양꽃차례에 핀다. 혀꽃은 흰색 또는 분홍빛이 도는 흰색이다. 산구절초, 가는잎구절초와 비슷하나, 이들에 비해 잎의 결각이 얕게 갈라지고, 두상꽃차례의 크기가 큰 점에서 구분된다. 남구절초(南九節草, Bluish dendranthema)는 국표에 국명과 학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에는 국명, 학명, 채집지만 실려 있다. 남쪽 지방의 섬에 자생한다. 키는 20~50㎝이다. 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더 두터우며 표면에 윤기가 난다. 잎 끝은 얕게 갈라진다(야생화백과사전).
산구절초(山九節草, Korean dendranthema, チョウセンヤマギク, イワギク, 岩菊, 紫花野菊)의 원산지는 일본(本州, 四国, 九州),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 유럽이다(FOM). 한강토, 일본, 시베리아, 중국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국생정). 키는 10~60cm이고, 줄기는 한 개가 서거나 또는 가지가 갈라지며, 복모(伏毛)가 있다. 밑부분의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우상으로 전열(全裂)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나 선형(線形)이다. 꽃은 7~9월에 엷은 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꽃의 지름은 3~6cm이다.
신창구절초(Sinchang dendranthema)는 국표에 국명, 학명, 영문명만 실려 있다. 국생정에는 국명, 학명, 영문명, 채집지만 등재되어 있다. 채집지는 평안남도 순천 신창이다. 울릉국화(鬱陵菊花, Ulleung dendranthema)는 국표에 국명, 학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에는 국명, 학명, 영문명, 분포지만 실려 있다. 분포지는 경상북도 울릉군이다. 정선국화(旌善菊花, Jeongseon dendranthema)는 국표에 국명, 학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포천구절초(抱川九節草, Pocheon dendranthema)는 경기도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경기도 및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자란다. 잎이 다른 구절초에 비해 많이 갈라진다. 꽃은 9~10월에 꽃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색은 다소 분홍색이 돈다. 한라구절초(漢拏九節草, Halla dendranthema)는 한강토 고유종으로 제주도 고산 지대에 분포하며, 개체수가 매우 적다.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이다. 꽃은 9~10월에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5~6㎝이다.
국표 등재 구절초의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에는 바람갯국[Dendranthema shiwogiku (Kitam.) Kitam.], 북극산국[Dendranthema arcticum (L.) Tzvelev] 등 2종이 있다. 바람갯국과 북극산국은 국표에 국명, 학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2024. 9. 27. 林 山
#구절초 #바위구절초 #九節草 #九折草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천지괭이눈 (2) | 2024.10.02 |
---|---|
[백두산 야생화] 좁은잎돌꽃 (2) | 2024.09.27 |
[백두산 야생화] 두메양귀비 (0) | 2024.07.29 |
백두산 야생화 금혼초 (1) | 2024.07.26 |
다릅나무 '선한, 착한'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