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구름범의귀

林 山 2024. 11. 6. 12:32

2024년 7월 19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 백두산(白頭山, 2,744m)에서 자라는 야생화를 드디어 만나는 날이 왔다. 백두산 북파(北坡) 산문(山門)인 중국 국가대표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나 어둠을 뚫고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파 천문봉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강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먼동이 터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은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눈앞에 펼쳐진 야생화의 천국은 입을 다물지도 못할 만큼 장관이었다.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8)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8)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8)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8)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등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었다. 구름범의귀도 이들 사이에서 작은 흰색 꽃을 앙증맞게 피워올리고 있었다.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구름범의귀를 바로 눈앞에서 실물로 접하니 감개무량(感慨無量)했다.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9)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구름범의귀를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Angiospermae)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장미목(薔薇目, Rosales) 범의귀과(Saxifragaceae) 범의귀속(Saxifraga)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국생관이 '범의귀속'을 '삭시프라가(Saxifraga)'로 표기한 것은 오류로 보인다. 왜냐하면 '삭시프라가(Saxifraga)'는 '바위떡풀속'이기 때문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 등재된 구름범의귀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미크란테스 라키니아타 (나카이 & 다케다) S.아키야마 & H.오바[Micranthes laciniata (Nakai & Takeda) S.Akiyama & H.Ohba]다. 국생관 등재 학명은 삭시프라가 라키니아타 나카이 & 다케다(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이다. 국생관은 구름범의귀의 변경 전 학명을 아직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미크란테스(Micranthes)'는 '작은(small), 사소한(insignificant)'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미크로스(micros)'와 '꽃(flower)'이라는 뜻을 가진 '안토스(anthos)'의 합성어다. 작은 꽃(small flower)이라는 뜻이다. 꽃이 작음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라키니아타(laciniata)'는 '톱니처럼 째진(fringed), 톱니 모양의, 들쭉날쭉한(laciniate)'이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 '라키니아투스(laciniātus)'의 탈격(奪格)/여성/단수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있는 결각상의 뾰족한 톱니를 표현한 이름이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 분류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나카이는 제국주의(帝國主義) 일본의 식민지(植民地) 시대에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日帝) 강제점령기(強制占領期)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했다.  

'다케다(Takeda)'는 일본 식물학자 다케다 히사요시(武田久吉, 1883~1972)다. 다케다는 UK 외교관 어니스트 사토 경(Sir Ernest Satow)의 아들이다. 그는 일본 자연사학회의 창립자이며, 오제(尾瀬) 환경보존운동으로 유명하다. 다케다의 노력으로 오제(尾瀬)는 일본에서 가장 광활한 습지가 있고, 화려한 가을 단풍, 여름 야생화로 유명한 국립공원이 되었다.     

나카이와 다케다는 1914년 'First published in Bot. Mag. (Tokyo) 28: 305'에서 구름범의귀의 학명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를 최초로 출판했다. 이들은 학명 출판 당시 구름범의귀를 바위떡풀속(Saxifraga)으로 분류했다.  

'S.아키야마(S.Akiyama)'는 일본 국립과학박물관(国立科学博物館) 식물연구부(植物研究部) 연구주간(研究主幹)을 지낸 식물분류학자 아키야마 시노부(秋山忍, 1957~ )다. 그는 또 쓰쿠바 식물원(筑波実験植物園)에서 종자식물 분류학, 특히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의 종자식물 분류학을 연구하는 일본 식물학자이다. 

'H.오바(H.Ohba)'는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学) 교수와 도쿄대학종합연구박물관(東京大学総合研究博物館) 특별초대연구원(特招研究員)을 지낸 식물분류학자 오오바 히데아키(大場秀章, 1943~ )다.   

최근 DNA 연구 결과 현재 범의귀속(Micranthes) 구성원은 바위떡풀속(Saxifraga)의 다른 구성원보다 보이키니아(Boykinia), 헤우케라(Heuchera) 속 식물과 더 가까운 관계임이 증명되었다. 아키야마와 오오바는 이를 근거로 2012년 'Journal of Japanese Botany. [Shokubutsu Kenkyu Zasshi]. Tokyo'에서 구름범의귀를 바위떡풀속에서 범위귀속으로 변경하는 학명 Micranthes laciniata (Nakai & Takeda) S.Akiyama & H.Ohba를 최초로 출판했다.  

 

괄호 안의 인명(人名)은 원명자(原名者)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새 명명자(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9)

 

국표 등재 Micranthes laciniata (Nakai & Takeda) S.Akiyama & H.Ohba의 국명(國名, common name)에는 구름범의귀(추천명), 구름범의귀풀, 백두산바위취 등이 있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국명에는 구름범의귀(추천명), 호이초(虎耳草), 등이초(嶝耳草), 석하엽(石荷葉), 금사하엽(金絲荷葉) 등이 있다. 구름범의귀는 구름처럼 높은 산에 나면서 이파리가 호랑이(범)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한자명(漢字名) 호이초(虎耳草)도 호랑이의 귀(虎耳)를 닮은 풀(草)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러시니어트 롹포일(Laciniate rockfoil)이다. '(이파리가) 톱니 모양의, 들쭉날쭉한(Laciniate) 범의귀속(rockfoil) 식물'이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구모마유키노시타(クモマユキノシタ, 雲間雪の下)이다. '구름 사이(雲間)에 나는 범의귀(雪の下)'라는 뜻이다. 일본 국립 홋카이도교육대학(国立大学法人 北海道教育大学) 홈페이지 등재 별명(別名, Synonym)은 히메야마하나소우(ヒメヤマハナソウ, 姫山端草)다. 구모마유키노시타(雲間雪の下)는 고산(高山)에 나는 범의귀과(ユキノシタ科) 식물이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유키노시타(雪の下)는 바위취라는 뜻도 있다.  

유키노시타(雪の下)의 이름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먼저, 눈이 쌓여도 눈 밑(雪の下)에서 시들지 않고 녹색 잎이 남아있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흰 꽃을 눈(雪, 雪虫)으로 보고 그 아래에 녹색 잎이 있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 잎의 흰 반점을 눈(雪)으로 보았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아래 새하얀 두 장의 꽃잎이 혀처럼 보이기 때문에 '눈의 혀(雪の舌)'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 독일명 유덴바르트(ユーデンバールト)는 '유대인의 수염'이라는 뜻이다(世界の花だより). 

중국식물지(中國植物誌),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구름범의귀의 중국명은 창바이팅거차오(长白亭阁草)다. '장백산(长白山, 백두산)에 나는 범의귀속((亭阁草属) 식물'이라는 뜻이다.  

구름범의귀는 중국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평안도 및 함경도 등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고산대의 산 중복 이상에서 자란다(국생정).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러시아 우수리, 일본 북부,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구모마유키노시타(雲間雪の下)는 일본 홋카이도 다이세츠산(大雪山), 유우바리산(夕張山), 히다카산(日高山) 등지에 분포한다(山からの贈り物). 창바이팅거차오(长白亭阁草)는 중국 지린(吉林)에 분포한다. 조선(朝鲜, 한강토), 일본에도 있다. 해발 2,300~2,600m의 초원이나 바위틈에서 자란다(百度百科).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9)

 

구름범의귀의 줄기는 높이 25cm 정도까지 자란다. 전체에 샘털이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모여나기하고 엽병(葉柄)이 길며, 긴 거꿀달걀모양(長倒卵形) 또는 넓은 피침형(廣披針形)이고 길이 1~3cm, 너비 4~10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뾰족한 톱니가 5~11개 있다. 

꽃대는 잎이 없고 끝에서 산방상(繖放狀) 취산꽃차례(聚繖花序)가 발달한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cm 정도이고, 꽃자루에 샘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피침형(披針形)이고 젖혀진다. 꽃잎은 난상 타원형(卵狀楕圓形)으로서 밑부분에 황색 꿀샘(蜜腺)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2개로서 달걀모양(卵形)이다. 

열매는 삭과(蒴果, capsule)이다. 열매의 길이는 5~8mm이다. 삭과의 윗부분에는 2개의 암술대가 남아 긴 부리로 된다. 종자(種子)에는 세로 모서리와 작은 돌기가 있다. 

구름범의귀는 관상용으로 이용한다(다음백과 국생정, 국생관). 창바이팅거차오(长白亭阁草)는 전초(全草)를 약으로 쓴다. 옹창종독(痈疮肿毒)에 쓴다(百度百科). 창바이후얼차오(长白虎耳草)는 지린성 창바이산에 분포하며 뚜어리에후얼차오(多裂虎耳草, 中国高等植物图鉴)라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성질은 차다(寒). 심경(心经)으로 들어간다. 청열해독(清热解毒)의 효능이 있어 주로 옹창종독(痈疮肿毒)을 치료한다. 둥베이식물검색표(东北植物检索表)에 처음 등재되었다(百度百科). 

 

구름범의귀(백두산 천문봉, 2024. 7. 19)

 

국표 등재 구름범의귀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구실바위취[Micranthes octopetala (Nakai) Y.I.Kim & Y.D.Kim], 범의귀[Micranthes furumii (Nakai) M.Kim], 참바위취[Micranthes oblongifolia (Nakai) S.Akiyama & H.Ohba], 톱바위취[Micranthes nelsoniana (D.Don) Small], 흰바위취[Micranthes manchuriensis (Engl.) Gornall & H.Ohba] 등 5종이 있다.   

구실바위취(Round rockfoil, タマザキクロクモソウ)는 금강산 이북 지역에 자생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줄기에 털이 많다. 잎자루는 털이 있고 약간 자주색을 띤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뒷면 밑쪽에 털이 있다. 꽃은 7월 잎 사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 녹색을 띤 흰색의 작은 꽃이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잎이 둥글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이 없고, 꽃은 녹색을 띠는 흰색으로 수술이 꽃잎보다 길며, 약(葯)이 거의 구형인 점에서 유사종과 구별된다. 팔편바위취, 구슬범의귀, 구슬바위치라고도 한다.  

범의귀(Nampotaesan rockfoil, ヘラユキノシダ)는 함경남도 남포태산, 함경북도 관모봉, 평안북도 묘향산 등 주로 북부 지방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근생엽은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꽃자루 하부에는 별 모양의 털, 윗부분에는 퍼진 샘털이 있다. 꽃은 7~8월 취산상 총상꽃차례에 흰색으로 달린다. 잎이 있는 줄기가 없더. 잎은 도피침상 주걱형으로 잎자루가 명확하지 않고, 꽃잎이 도피침형에 꿀샘이 없는 점에서 구름범의귀를 비롯한 범의귀속 다른 종과 구별된다. 주걱잎범의귀, 범의귀풀이라고도 한다. 

참바위취(Geumgangsan rockfoil, チョウセンイワブキ)는 한강토 지리산 이북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러시아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겉에 샘털이 있다. 잎 뒷면은 보통 붉은색을 띤다. 꽃은 7~8월 꽃줄기 끝 원추꽃차례에 흰색으로 달린다. 바위떡풀에 비해 잎이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으로서 더욱 길쭉하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불규칙하므로 구분된다. 잎을 나물로 먹는다. 

톱바위취(Dotted rockfoil, チシマイワブキ, 千島岩蕗, 斑点虎耳草)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동북부, 북아메리카 등지에도 분포한다. 잎은 밑이 심장 모양으로 된 신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크고 규칙적인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 꽃줄기 끝 원추꽃차례에 흰색으로 핀다. 구실바위취에 비해 꽃줄기에 곧은 털이 많지 않고, 꽃잎은 타원형으로 더욱 크고 넓으며, 수술은 꽃잎보다 짧거나 같으므로 구분된다. 

흰바위취(Manchurian rockfoil, シロバナクロクモソウ)는 한강토 함경북도, 평안북도 등에 자라며, 러시아 우수리, 중국 동북부 등지에도 분포한다. 근생엽은 밑에서 모여나며, 잎자루에 흰색 털이 있다. 잎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꽃은 6~7월 뿌리에서 나온 꽃줄기 끝 원추꽃차례에 흰색으로 핀다. 구실바위취에 비해 뿌리줄기가 없고, 톱바위취보다 수술이 꽃잎보다 길므로 구분된다. 전초는 약용, 어린순은 식용한다. 흰꽃바위취, 흰범의귀라고도 부른다. 

2024. 11. 7. 林 山 . 2024. 11. 11. 최종 수정
#구름범의귀 #호이초 #虎耳草 #Laciniaterockfoil #クモマユキノシタ #雲間雪の下 #长白亭阁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