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 흰머리뫼(白頭山, 長白山, 2,744m)에 오기까지 남의 나라 땅 중국(中國)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왔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참으로 못난 나라, 못난 민족이다. 푸른 별 지구에서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이 시대의 선(善)이요 화두(話頭)다.
2024년 7월 19일 한겨레의 영산(靈山) 백두산에서 자라는 야생화를 만나기 위해 북파(北坡) 산문(山門) 중국 국가대표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났다. 소형 승합차에 올라 어둠을 뚫고 북파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파 천문봉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세상을 날려버리기라도 할 듯 거센 바람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바람이 얼마나 강한지 몸조차 제대로 가누기 힘들 정도였다.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먼동이 터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은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끝없이 펼쳐진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두메분취 등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저마다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이들 사이에서 노란색 꽃을 피워올린 나도황기를 발견했다. 나도황기를 바로 눈앞에서 만나는 순간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나도황기는 북한의 랑림산(狼林山, 2,014m) 이북에 분포하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랑림산은 북한의 자강도 룡림군, 함경남도 장진군, 평안남도 대흥군 사이에 있으며, 랑림산맥과 묘향산맥의 시작점이다. 남한의 산과 들에서는 한 번도 만나지 못했던 나도황기가 흰머리뫼 하늘연못가에 피어 있었던 것이다! 감개(感慨)가 무량(無量)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나도황기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콩목(Fabales) 콩과(Fabaceae) 묏황기속(vicioides)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 식물명 색인(IPNI,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등재(登載) 나도황기의 학명은 헤디사룸 비키오이데스 투르크자니노. 바르. 자포니쿰 (B.페드첸코) B.H.최 & H.오오하시[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다. 국표 등재 이명은 Hedysarum alpinum L. var. japonicum B.Fedtsch., Hedysarum ussuriense Schischk. & Kom. 등이 있다. 국생관 원기재명(原記載名)은 Hedysarum alpinum var. japonicum B. Fedtsch.다. 큐 왕립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 Kew)에는 Hedysarum ussuriense Schischk. & Kom.가 Hedysarum vicioides subsp. japonicum의 이명(Synonym)으로 등재되어 있다(This name is a synonym of Hedysarum vicioides subsp. japonicum).
속명(屬名, generic name) '헤디사룸(Hedysarum)'은 윅셔너리(Wiktionary)에 '액스-위드(axe-weed)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헤두사론(hēdúsaron)에서 유래한 다국어 고유명사다. 스위트베치(sweetvetch)를 포함하는 콩과(Fabaceae) 내의 분류학적 속(屬)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액스-위드(axe-weed)'는 직역하면 '도끼-풀'인데, 구글링을 해도 나오지 않는 단어다. 스위트베치(sweetvetch)는 묏황기속 식물명에 쓰이는 단어다. 헤디사룸(Hedysarum)은 아마도 긴 꽃줄기에 달린 꽃이나 열매가 도끼 모양을 닮은 것을 표현한 이름으로 보인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비키오이데스(vicioides)'는 '비슷하다(similar to)'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나비나물속(Vicia)과 비슷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다른 갈퀴나물(vetch)과의 연관성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투르크자니노(Turcz.)'는 러시아의 식물학자이자 식물 수집가인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투르크자니노(Nikolai Stepanovich Turczaninow, 1796~1863)이다. 투르크자니노는 1840년 'Bulletin de la Société Impe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Moscow'에서 학명 Hedysarum vicioides Turcz.를 최초로 출판했다.
'바르(var.)'는 '바리안트(variant, 변종)'의 약자다. '자포니쿰(japonicum)'은 '일본의(Japanese)' 또는 '일본과 관련이 있는(of or relating to Japan)'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자포니쿠스(japonicus)'의 주격/대격/호격/중성/단수형이다.
'B.페드첸코(B.Fedtsch.)'는 러시아의 식물병리학자이자 식물학자 보리스 페드첸코(Boris Fedtschenko, 1872~1947)다. 페드첸코는 주로 러시아의 여러 지역 특히 코카서스,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의 연구로 유명하다. 그는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식물원의 수석 식물학자였다. 'B.H.최(B.H.Choi)'는 인하대 교수로 한국식물분류학회장을 지낸 최병희(崔秉熙)다. 'H.오오하시(H.Ohashi)'는 일본 도쿄대학과 도호쿠대학에서 근무한 식물학자 오오하시 히로요시(大橋広好, 1936~ )다. 최병희와 오오하시는 1988년 공동으로 'Journal of Japanese Botany. [Shokubutsu Kenkyu Zasshi]. Tokyo'에서 나도황기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의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나도황기(추천명), 그물나도황기, 두메황기, 염주황기 등이 있다. 국생관 등재 이명에는 나도단너삼, 다음백과 국생관 등재 이명에는 두메나도황기가 있다.
나도황기는 예전에 황기속(黃耆/黃芪屬, Astragalus)으로 분류되었던 염주황기(念珠黃耆)의 이름이 바뀐 것이다. 염주황기는 열매가 동글동글하게 이어져 있어 마치 염주를 닮았다고 해서 1949년에 명명(命名)된 이름이다. 그런데, 1988년 염주황기의 학명이 변경되어 묏황기속(Hedysarum)으로 분류되면서 국명도 나도황기로 바꼈다. 학명이 변경된 것은 얼마든지 이해가 되지만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친숙한 국명까지 바꾼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다. 염주황기라는 이름은 나름대로 정감도 있고, 식물 이해에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나도황기라는 낯선 이름으로 바뀌니 당황스럽기 짝이 없다. 학명이 바뀐다고 해서 국명까지 바꿔야 한다는 법은 없잖은가! 예로부터 이름을 함부로 바꾸지 말라는 말도 있다. 명명 권한이 있다고 해서 함부로 이름을 바꾸는 것은 일종의 횡포가 아닌가 생각된다.
국표, 국생정, 국생관 등재 나도황기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에이션 베치-라이크 스위트베치(Asian vetch-like sweetvetch)다. '아시아(Asian) 갈퀴나물 같은(vetch-like) 묏황기속(sweetvetch) 식물'이라는 뜻이다.
일문판 YList 등재 나도황기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이와오우기(イワオウギ, 岩黄蓍)다. '바위(岩)에서 자라는 황기(黄蓍)'라는 뜻이다. 바위밭에 자생하는 점, 또 황기와 구별하기 위한 이름이다. YList 등재 별명(別名, Synonym)에는 다테야마오우기(タテヤマオウギ, 立山黄蓍)가 있다. '다테산(立山) 황기(黄蓍)'라는 뜻이다. 일본 혼슈(本州) 동해 연안 도야마현(富山県) 히다산맥(飛騨山脈) 다테산(立山)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부르는 이름이라고 한다.
YList 등재 학명 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창바이옌황치(長白岩黃耆)다. 창바이산((長白, 백두산)에 나는 묏황기(岩黃耆) 속 식물'이라는 뜻이다.
중문판 식물통(植物通),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학명 Hedysarum vicioides Turcz.의 중국명은 니찬더우옌황치(간체 拟蚕豆岩黄耆, 번체 擬蠶豆岩黃耆)다. '누에콩 비슷한(拟蚕豆) 묏황기(岩黄耆) 속 식물'이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를 인용한 iPlant 식물지(iPlant 植物智)에는 정명(正名) Hedysarum ussuriense I. Schischk. & Kom.와 이명(异名, synonymy) Hedysarum vicioides, Hedysarum alpinum var. vicioides, Hedysarum alpinum var. japonicum, Hedysarum esculentum가 창바이옌황치(長白岩黃耆), 속명(俗名) 니찬더우옌황치(拟蚕豆岩黄蓍, 拟蚕豆岩黄耆, 拟蚕豆岩黄芪)로 등재되어 있다. 식물통(植物通)에는 Hedysarum ussurrense Schischk.가 창바이옌황치(長白岩黃耆)로 등재되어 있다. 중국식물지는 1840년에 명명된 학명 Hedysarum vicioides Turcz.(拟蚕豆岩黄耆)가 1926년에 Hedysarum ussurense Schisch. et Kom.(長白岩黃耆)로 변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나도황기는 함경남도 랑림산 이북의 백두산 지역의 중복(中腹) 이상에 난다(국생정). 한강토 평안남도 낭림산 이북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산 중턱 이상의 자갈밭에 난다(국생관).
에이션 베치-라이크 스위트베치(Asian vetch-like sweetvetch)는 남부 러시아 극동에서 중국 중부, 북한, 일본 중북부에 분포한다. 주로 온대 생물군계에서 자란다(Kew). 이와오우기(岩黄蓍)는 일본 중부 이북 혼슈(本州)와 홋카이도(北海道) 아고산대(亜高山帯)에서 고산대(高山帯)의 풀밭이나 모래밭 또는 자갈밭(砂礫地)에 분포한다(ウィキペディア).
창바이옌황치(長白岩黃耆)는 지린(吉林) 창바이산(长白山)에 난다. 산지의 경사면 자갈밭과 자작나무 숲 아래, 숲 가장자리, 아고산대 및 고산 초원, 암벽 및 오래된 빙퇴석 아래에서 자란다. 또한 시베리아 동부와 러시아 극동 지역의 침엽수림 지역에 분포하며, 한강토 북부의 산지에서도 발견된다(中国植物志).
나도황기의 키는 높이 70(20~80)cm 정도까지 자란다. 전체에 복모(伏毛, sericeous)가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5~10쌍의 소엽(小葉)으로 구성된 홀수깃모양겹잎(奇數羽狀複葉)이다. 소엽은 타원형(楕圓形), 긴 타원형(長楕圓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이고 양 끝이 둔하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 총상꽃차례(總狀花序, raceme)에 다소 한쪽으로 치우져서 노란색으로 핀다. 총상꽃차례는 길이 10~15cm, 꽃 길이는 10~15mm이다. 꽃받침은 종형(鐘形)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첫째 열편(裂片)이 판통(瓣筒)보다 2배 정도 길다. 기꽃잎(旗瓣)과 용골꽃잎(龍骨瓣)은 길이가 비슷하지만 날개꽃잎(翼瓣)보다는 길다.
열매는 협과(莢果)이다. 협과는 편평한 선형(線形)이고 1~5개의 마디가 있으며 마디 사이에 종자(種子)가 1개씩 들어 있고 길이는 5cm 정도이다. 종자 겉에 주름이 있고 털 또는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종자는 갈색(褐色)이며 길이 3mm 정도로서 평활(平闊)하다.
국표 등재 나도황기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넓은묏황기[Hedysarum hedysaroides (L.) Schinz & Thell.], 두메나도황기(Hedysarum setigerum Turcz. ex Fisch. & C.A.Mey.), 묏황기(Hedysarum alpinum L.), 털나도황기[Hedysarum vicioides Turcz. f. pilosum (Ohwi) Kitag.] 등 4종이 있다.
넓은묏황기(Alpine sainfoin sweetvetch, カラフトゲンゲ, 樺太蓮華)는 백두산 지역의 높은 지대,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고산대 또는 아고산대에 본포한다. 키는 높이 25~80cm 정도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다소 있다. 잎은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11~25개이며 란형(卵形),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하거나 둥근 끝에 소돌기(少突起)가 있으며 길이 13.5cm, 너비 5~10mm로서 표면에 흑색(黑色) 선점(腺點)이 밀포하고 뒷면은 맥(脈) 위와 가장자리에 긴 털이 산생(散生)하며 희미한 선점이 있고 엽병(葉柄)이 극히 짧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 맥에 연모(軟毛)가 있다. 탁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아원형(亞圓形)이다. 꽃은 7~8월 액생(腋生)하는 5~8cm 길이 화경(花莖)의 총상꽃차례에 6~20개가 홍자색(紅紫色)으로 달린다. 꽃은 길이 1.2cm 정도이다. 묏황기에 비해 꽃받침조각(總苞片)이 피침형으로 판통과 길이가 거의 같다.
두메나도황기(Montane sweetvetch, 短茎岩黄耆)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만테인 스위트베치(Montane sweetvetch)의 원산지는 중국 네이멍구, 몽골, 러시아 알타이, 부랴티야, 이르쿠츠크, 크라스노야르스크, 투바, 야쿠츠키야 등지다(kEW). 똰징옌황치(短茎岩黄耆)의 키는 10~20cm 정도이다. 줄기에서 가지가 적게 또는 많이 갈라진다. 잎은 짧은 줄기에 모여난다. 탁엽(托叶)은 넓은 피침형 또는 아타원형, 소엽은 난형 내지 장타원형이고, 길이 10~22mm, 너비 5~11mm이다. 잎 아래는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이고, 끝은 둥글며, 드물게 오목하거나 약간 뾰족하다. 또, 작은 가시가 있고 가장자리 전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맥을 따라 털이 있고 측맥(侧脉)은 촘촘하고 뚜렷하다. 꽃은 7~8월 액생하는 총상꽃차례에 (6)10~20개가 연한 노란색에서 거의 흰색으로 달린다. 꽃 길이는 15~18(19)mm이다. 꽃받침은 종형이다. 협과는 편평하고 2~4(5)개의 마디가 있으며, 각 꼬투리 마디는 도란형 또는 거의 원형이고 길이가 6~9mm이며 가장자리에 약간 능선이 있고 양쪽에 미세한 맥이 있으며 털이 없다(百度百科).
묏황기(Alpine sweetvetch, 국표 モラサキイワオウギ, 일문판 위키백과 アルパイン・スウィートベッチ, エスキモーポテト, ワイルドポテト, 山岩黄芪)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몽골, 중국 네이멍구, 만주, 유럽 등에 분포한다. 국표 등재 일본명 모라사키이와오우기(モラサキイワオウギ)는 무라사키이와오우기(ムラサキイワオウギ, 紫岩黄耆)의 오기(誤記)다. 줄기는 세로줄이 있고 키는 높이 40~120cm다.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으로 길이 9~15cm, 소엽은 11~21개이다. 소엽은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3~30mm, 너비 5~10mm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지만,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덮여 있다. 턱잎은 피침형 또는 삼각형으로 길이 5~18mm, 2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6~7월에 보라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며, 20~40개 정도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싸개잎은 선형 또는 난형으로 꽃자루보다 짧다. 꽃자루는 열매가 익으면서 길어진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굽은 털이 있다. 나도황기에 비해 꽃이 보라색이고 꽃차례에 20~40개씩 모여 피며, 소엽은 피침형으로 구분된다.
털나도황기(Hairy vetch-like sweetvetch)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구글링을 해도 털나도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자료는 나오지 않는다.
2024. 11. 17. 林 山
#나도황기 #염주황기 #Asianvetchlikesweetvetc #イワオウギ #岩黄蓍 #拟蚕豆岩黄耆 #長白岩黃耆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바위솜나물 (2) | 2024.11.19 |
---|---|
[백두산 야생화] 씨범꼬리 (3) | 2024.11.18 |
[백두산 야생화] 두메분취 (0) | 2024.11.13 |
[백두산 야생화] 하늘매발톱 '승리의 맹세' (0) | 2024.11.13 |
[백두산 야생화] 나도개미자리 (1)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