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 흰머리뫼(白頭山, 長白山, 2,744m)에 오기까지 남의 나라 땅 중국(中國)을 거쳐 참으로 멀고도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가까운 거리다. 가까운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가야만 하는 상황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이념 대립에서 벗어나지 못한 지지리도 못난 나라, 지지리도 못난 민족이다. 푸른 별 지구에서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이 시대의 선(善)이요 화두(話頭)다.
2024년 7월 19일 한겨레의 영산(靈山) 백두산에서 자라는 야생화를 만나기 위해 북파(北坡) 산문(山門) 중국 국가대표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났다. 소형 승합차에 올라 어둠을 뚫고 북파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파 천문봉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태풍급 강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바람이 얼마나 세차게 불어오는지 몸조차 제대로 가누기 힘들 정도였다.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먼동이 터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은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마법처럼 그 모습을 드러냈다.
가없이 펼쳐진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두메분취, 나도황기 등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저마다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이들 사이에서 이삭꽃차례 끝에 작고 귀여운 흰색 꽃들이 피어난 씨범꼬리를 발견했다. 씨범꼬리를 바로 눈앞에서 만나는 순간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감개(感慨)가 무량(無量)했다. 씨범꼬리는 한강토 북부 고산지대에 분포하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남한의 산과 들에서는 한 번도 만나지 못한 씨범꼬리가 흰머리뫼 하늘연못가에 호젓이 피어 있었던 것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씨범꼬리를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석죽아강(石竹亞綱, Caryophyllidae) 마디풀목(Polygonales) 마디풀과(Polygonaceae) 범꼬리속(Bistorta)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왕립식물원 큐(Royal Botanic Gardens, Kew) 등재(登載) 씨범꼬리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비스토르타 비비파라 (린네) 들라르브르[Bistorta vivipara (L.) Delarbre]다. 국생관의 원기재명(原記載名)은 폴리고눔 비비파룸 린네(Polygonum viviparum L.)다. 국생관에는 Bistorta vivipara f. roessleri Kitag.(털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var. angustifolia Nakai, Bistorta bulbifera Greene ex Bab., Polygonum bulbiferum Royle ex Bab. 등의 이명(異名, synonymy)이 등재되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비스토르타(Bistorta)'는 '두 번(two two times, twice)'이란 뜻의 라틴어 '비스(bis)'와 '꼬인, 비틀린(twisted), 접힌(folded over)'이라는 뜻을 가진 '토르투스(tortus)'의 합성어에서 여성형 어미 변화가 일어난 고유명사다. '토르타(torta)'는 '빵 한 롤(a roll of bread)'이라는 뜻의 '토르타 파니스(torta pānis)'나 빵의 형태를 설명하는 '토르투스(tortus)', '케익의 형태(type of pastry)'를 뜻하는 '투르타(turta)'에서 유래한 라틴어 명사다. 뿌리가 꼬인 모습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비비파라(vivipara)'는 이탈리아어 '비비파로(viviparo)'의 여성/단수형이다. '비비파로(viviparo)'는 '태생의(viviparous)'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 '비비파루스(vīviparus)'를 차용한 것이다. 태생(胎生)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동물에서는 어미 몸 안의 배(胚, embryo)의 발달을 통한 출생을 의미한다. 이는 알을 낳는 난생(卵生)과는 대비된다. 식물에서는 간섭 없이 시작부터 발달하는 싹처럼 배를 통해 생식(生殖)하는 것을 뜻한다. 이는 씨로부터 외부적으로 싹이 트는 것과는 다르다. 씨범고리가 열매를 맺지 않고 꽃차례 아랫부분에 달리는 살눈(珠芽, bulblet)을 통해 무성생식(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하는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린네( 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카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린네를 괄호 안에 넣은 것은 그가 원명자(原名者)임을 나타낸다.
'들라르브르(Delarbre)'는 프랑스의 의사/신부/박물학자/식물학자/생물학자/지질학자 앙투안 들라르브르(Antoine Delarbre, 1724~1807)이다. 들라르브르는 'Flore d'Auvergne(오베르뉴의 식물상)' 등 많은 출판물의 저자였으며, 1781년에는 클레르몽 식물원(Jardín botánico de Clermont)을 설립했다. 들라르브르는 1800년 'Flore d'Auvergne; ou, Recueil des plantes de cette ci-devant province. Clermont-Ferrand.'에서 씨범꼬리 학명을 세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L.) Delarbre의 국명(國名, common name)은 씨범꼬리(추천명), 무강범의꼬리, 씨범꼬리풀, 애기씨범꼬리, 털무강범의꼬리, 털씨범꼬리 등이 있다. 국생관에는 갈범의꼬리, 산범의꼬리, 다음백과 국생정에는 큰산범의꼬리, 가는잎씨범꼬리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씨범꼬리는 씨를 맺지 않고 살눈으로 번식을 하며, 꽃차례가 호랑이의 꼬리를 닮았다고 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국표, 국생정 등재 씨범꼬리의 영문명은 알파인 비스토트(Alpine bistort)이다. '알프스의, 높은 산의, 고산 식물(Alpine) 범꼬리(bistort)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씨범꼬리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다카네무카고토라노오(タカネムカゴトラノオ, 高嶺珠芽虎尾)다. '높은 산(高嶺)에 자라고 살눈(珠芽)이 달리는 범꼬리(虎尾)'라는 뜻이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L.) Gray, 이명 Persicaria vivipara (L.) Ronse Decr., Polygonum viviparum L.의 일본명은 무카고토라노오(ムカゴトラノオ, 珠芽虎尾)다. 주아(珠芽)가 달리고, 꽃차례가 호랑이 꼬리(虎尾)를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토라노오(虎の尾)'는 잎의 표면에 떠오르는 줄무늬가 호랑이의 꼬리를 많이 닮았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FOM 등재 별명(別名, Synonym)에는 고모치토라노오(コモチトラノオ, 子持虎尾)가 있다. 무카고토라노오(珠芽虎尾)와 의미가 같은 이름이다.
중문판 세계식물구계(世界植物区系)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L.) Delarbre,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L.) Gray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주야랴오(珠芽蓼)다. '주아(珠芽)가 달리는 여뀌(蓼)'라는 뜻이다. 중문판 식물백과전서(植物百科全書)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FOM 등재 학명 Bistorta vivipara (L.) Gray의 중국명은 주야취안션(珠芽拳参)이다. '주아(珠芽)가 달리는 범꼬리(拳参)'라는 뜻이다. Bistorta vivipara (L.) Delarbre와 Bistorta vivipara (L.) Gray는 같은 종이다. 중국식물지 등재 속명(俗名)은 샨꾸즈(山谷子)다. 위키백과(维基百科)에는 링위즈랴오(零余子蓼), 까오샨취안션(高山拳参), 까오샨삐스투어차오(高山比斯托草), 까오샨취안션화(高山拳参花),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허우와치(猴娃七) 등의 이명이 등재되어 있다.
씨범꼬리는 중국 동북부 고산 초원에 난다. 한강토 북부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고산의 양지에 난다(국생정). 한강토 북부 지방 양강도, 함경도 등에 자생하며,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한강토 북부 고산 지대에 자란다(국생관).
무카고토라노오(珠芽虎尾)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원산지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중부 지방 이북, 중국, 조선(朝鮮, 한강토), 몽골, 러시아, 인도, 부탄, 네팔, 미얀마, 타이,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유럽, 북아메리카 등이다(FOM).
주야랴오(珠芽蓼)는 중국 둥베이(东北), 화베이(华北), 허난(河南), 시베이(西北), 시난(西南)에 난다. 해발 1,200~5,100m의 산비탈 숲속, 고산지대 또는 아고산대 초원에서 자란다. 조선(朝鲜), 일본, 몽골(蒙古), 코카서스(高加索), 카자흐스탄(哈萨克斯坦),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에도 있다(中国植物志).
씨버범꼬리의 근경(根莖)은 굵고 짧다. 키는 높이 10~30cm이다. 근생엽(根生葉)은 엽병(葉柄)이 길고 엽신(葉身)은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 3~6cm로서 표면은 녹색(綠色)이고 뒷면은 분백색(粉白色)이다. 잎의 밑부분은 예저(銳底) 또는 원저(圓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맥은 옆으로 평행하다.
꽃은 7~8월 이삭꽃차례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軟粉紅色)으로 핀다. 꽃대는 높이 10~30cm, 이삭꽃차례는 길이 2~5cm로서 밑부분에 길이 2.5mm 정도의 난원형(卵圓形) 살눈이 달린다. 화피(花被)는 길이 3mm 정도이고 수술은 8개,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는 3개로서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꽃이 피고 난 후 결실(結實)하지 않는다.
씨범꼬리는 비대한 근경을 참범꼬리와 마찬가지로 간염(肝炎, Hepatitis), 장염(腸炎, enteritis), 만성기관지염(慢性氣管支炎, chronic bronchitis), 구강염(口腔炎, mouth ulcer), 인후염(咽喉炎, pharyngitis), 치은염(齒齦炎, gingivitis) 등 각종 염증에 내복(內服) 또는 외용한다(국생정). 뿌리줄기를 약용하며, 가죽 가공 약품, 물감 원료로 이용한다(국생관).
주야랴오(珠芽蓼)는 식물체의 키가 작고 꽃은 흰색이며, 꽃차례 밑부분에 구근이 있다. 관상가치가 높아 바위정원이나 고지대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줄기와 잎은 어릴 때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생태적응력과 내한성이 강하며 섬유질 뿌리가 억세고 복잡하여 토양 개선, 기후 조절, 물과 토양 유지, 생태계 복원에 이용할 수 있다. 뿌리줄기에서는 약용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가 서식하는 곤충의 주요 먹이인 탄닌을 추출할 수 있다. 뿌리줄기와 열매에는 전분이 풍부하여 포도주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전체를 분말이나 용액으로 추출하면 작물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전통적인 티베트 약재로 뿌리줄기는 억균(抑菌), 항균(抗菌), 소염(消炎), 항바이러스(抗病毒) 작용이 있어 장염, 세균성 이질(細菌性痢疾, bacillary dysentery), 대장습열(大肠湿热)로 인한 영유아(嬰幼兒) 설사(泄瀉, diarrhea)에 사용된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씨범꼬리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가는범꼬리[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Kom.) Nakai], 넓은잎범꼬리(Bistorta officinalis Delarbre), 눈범꼬리[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둥근범꼬리(Bistorta globispica Nakai), 범꼬리[Bistorta officinalis Delarbre subsp. japonica (H.Hara) Yonek.], 북범꼬리[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이른범꼬리[Bistorta tenuicaulis (Bisset & S.Moore) Nakai], 참범꼬리[Bistorta pacifica (Petrov ex Kom.) Kom. ex Nakai], 호범꼬리[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ex Nakai], 흰범꼬리[Bistorta incana (Nakai) Nakai ex T.Mori] 등 10종이 있다.
가는범꼬리(Slender bistort, ホソバイブキトラノオ, ナガバノイブキトラノオ, 長葉の伊吹虎の尾, 狐尾拳参, 狐尾蓼)는 제주도 한라산, 경기도 등에 분포한다. 키는 15~30cm이다. 근생엽은 길이 15~22cm, 너비 1cm이다. 꽃은 6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다. 염료의 원료로 사용한다. 뿌리줄기를 지사제, 지혈제, 해독제, 소염제 등의 약재로 쓴다.
넓은잎범꼬리(European bistort, bistort, Easter-ledges, snakeweed, red bistort, イブキトラノオ, 伊吹虎の尾, 拳参)는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코카서스, 서아시아, 파키스탄 등지에 분포한다. 알바니아, 오스트리아에도 분포한다. 키는 50~80㎝이다. 근생엽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다. 잎은 길이 4~18cm, 너비 2~5cm이다. 꽃은 6~7월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눈범꼬리(Ovate-leaf bistort, クリンユキフデ, 九輪雪筆, 支柱拳参)는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키는 20~40cm이다. 잎은 길이 5~10cm, 너비 3~7cm이다. 꽃은 7~8월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1개의 이삭꽃차례에 흰색으로 핀다.
둥근범꼬리(Globose-spike bistort, タマザキイブキトラノオ, 大瀬崎虎の尾)는 함경북도 관모봉에 자생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키는 50cm 정도까지 자란다. 근생엽의 엽병은 길이 6cm 정도이다. 잎은 길이 9cm, 너비 3cm 정도이다. 꽃대에는 2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분홍색이다.
범꼬리(Asian bistort, イブキトラノオ, 伊吹虎の尾)는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 및 고산에 분포한다. 한강토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줄기는 5~6개의 마디가 있고, 높이 30~100cm이다. 근생엽은 길이 7~22cm, 너비 2-5cm이다. 잎자루가 길다. 잎 뒤는 흰색이다. 꽃은 6~8월에 줄기 끝 이삭꽃차례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북범꼬리(Manchurian bistort, Asian bistort, マンセンイブキトラノオ, 満鮮伊吹虎の尾, 耳叶拳参)는 한강토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등지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마디가 5~6개 있고, 높이 30~100cm다. 근생엽은 길이 7~22cm, 너비 2~5cm이다. 아래쪽 줄기잎은 뿌리잎과 비슷하지만 작고, 위쪽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6~8월 줄기 끝의 이삭꽃차례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이른범꼬리(Early-blooming bistort, ハルトラノオ, 春虎の尾)는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강토 고유종이다. 키는 7~15cm 정도이다. 꽃은 4~5월 총상꽃차례에 흰색으로 핀다.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참범꼬리(Common bistort, ホクセンイブキトラノオ, 北鮮虎の尾)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인천시 강화도와 경기도 소요산, 평안도 및 함경도의 심산 지역에서 자란다. 러시아 우수리, 중국 등지에도 분포한다. 키는 70cm 정도이다. 근생엽은 20cm에 달하고 엽병에는 날개가 있다. 탁엽도 막질의 관상(管狀)으로 길이 7cm에 이른다. 줄기잎에는 엽병이 없다. 잎은 길이 4~18cm, 너비 3~8cm이다. 꽃은 7~8월에 연분홍색으로 핀다. 전초를 염료원으로 사용하고, 뿌리줄기를 지사제, 지혈제, 해독제, 소염제의 약재로 쓴다.
호범꼬리(Hairy bistort, オホツクトラノオ, Okhotsk 虎の尾, オホーツクイブキトラノオ, Okhotsk 伊吹虎の尾, 倒根蓼, 倒根拳参)는 한강토 강원도와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 중국 등에 분포한다. 높은 산 초원에 난다. 키는 5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뿌리는 굵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긴 삼각형이고, 가죽질이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난상 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집 모양의 턱잎은 막질이다. 꽃은 7~8월 이삭꽃차례에 연붉은색으로 핀다. 꽃차례의 길이가 폭보다 긴 장타원형이고, 작은꽃자루는 4~5mm 정도이다. 화피는 5장, 난형이다. 수술은 8개며, 암술대는 3개이다.
흰범꼬리(White bistort, ウラジロイブキトラノオ, 裏白虎の尾)는 한강토 양강도, 함경도 등에 자생하며,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키는 1m에 이른다. 잎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꽃은 6~8월 이삭꽃차례에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염료원으로 사용하고, 뿌리줄기를 약재로 쓴다.
2024. 11. 18. 林 山
#씨범꼬리 #Alpinebistort #タカネムカゴトラノオ #高嶺珠芽虎尾 #ムカゴトラノオ #珠芽虎尾 #珠芽蓼 #珠芽拳参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바위돌꽃 (0) | 2024.11.20 |
---|---|
[백두산 야생화] 바위솜나물 (2) | 2024.11.19 |
[백두산 야생화] 나도황기 (2) | 2024.11.15 |
[백두산 야생화] 두메분취 (0) | 2024.11.13 |
[백두산 야생화] 하늘매발톱 '승리의 맹세'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