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9일 사위가 캄캄한 새벽 어둠을 뚫고 배달(倍達) 겨레의 영산(靈山)이자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으뜸산인 흰머리뫼(白頭山, 長白山, 2,744m) 북파(北坡)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백두산 고산 지대에서 살아가는 야생화들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쪽에 우뚝 솟은 천문봉에는 만주(만주어 ᠮᠠᠨᠵᡠ, 满洲) 대륙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태풍급 강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이윽고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먼동이 터오기 시작했다. 새벽 여명(黎明)이 밝아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게 펼쳐진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눈앞에 마법처럼 나타난 야생화의 천국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천문봉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등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었다. 이들 사이에서 푸르디 푸른 하늘색 꽃이 눈길을 잡아끌었다. 한강토 북부 고산 지대에서 살아가는 풀꽃이기에 그토록이나 보고 싶었던 하늘매발톱이었다. 하늘매발톱을 만나는 순간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남한(南韓)의 야생에서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하늘매발톱이 흰머리뫼 하늘연못가에 그토록 청초한 모습으로 피어 있었던 것이다!
하늘매발톱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매발톱속(Aquilegia)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 식물명 목록(IPNI,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왕립 식물원 큐(Royal Botanic Gardens, Kew) 등재 하늘매발톱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아퀼레기아 자포니카 나카이 & H.하라(Aquilegia japonica Nakai & H.Hara)다. 국생관 등재 학명은 아퀼레기아 플라벨라타 바르. 푸밀라 (후트) 쿠도[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Huth) Kudô], 원기재명(原記載名)은 아퀼레기아 부에르게리아나 바르. 푸밀라 후트(Aquilegia buergeriana var. pumila Huth)이다. 국생관에는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가 이명으로 실려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아퀼레기아(Aquilegia)'는 기원을 알 수 없는 중세 라틴어 '아퀼레기아(aquilegia)'에서 유래했다. 로마인들이 '아퀼레기아(aquilegia)'를 무엇이라고 불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영어 '칼럼바인(columbine, 매발톱꽃)'은 '아퀼라(aquila, 독수리)', 이탈리아어 '꼴롬비나(colombina, 매발톱꽃)는 '꼴룸바(columba, 비둘기)'로도 불렀다. 고대 그리스어 켈리돈(χελῑδών, khelīdṓn, 제비)'에서 유래한 라틴어 '켈리도니아(chelīdonia, 애기똥풀)'는 오랫동안 이 식물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스페인어로는 '빠하리야(pajarilla, 작은 새)'라고 불렀다. 다른 유사성으로는 라틴어 '아쿨레우스(aculeus, 못, 뾰족한 것)'와 '아퀼레구스(aquilegus), 아퀼렉스(aquilex, collecting water, 물을 모으는 것, 集水)'가 있는데, 이는 식물의 화관(corolla, 花冠)이 물통(water-container) 모양이기 때문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자포니카(japonica)'는 '일본의(of Japan)'를 라틴어로 표기한 것이다. 최초(最初) 발견지(發見地) 또는 자생지(自生地)가 일본(日本)임을 나타낸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조선반도)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命名者)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H 하라(H. Hara)'는 일본의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이다. 하라는 도쿄대학에서 공부했으며, 1957년에는 도쿄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1968년~1971년 그는 새로 설립된 도쿄대학 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하라는 이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나카이와 하라는 1935년 'Botanical Magazine. [Shokubutsu-gaku zasshi, 植物學雜誌]. Tokyo'에서 하늘매발톱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Aquilegia japonica Nakai & H.Hara의 국명은 하늘매발톱(추천명), 골매발톱꽃, 산매발톱꽃, 시베리아매발탑꽃, 하늘매발톱꽃 등이 있다. 시베리아매발탑꽃은 시베리아매발톱꽃의 오기(誤記)다. 2024년 3월에 오기를 발견했는데, 국표는 아직도 이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
하늘매발톱은 높은 지역에서 자라고, 꽃이 하늘색을 닮았으며, 다섯 개의 꽃잎마다 뒤로 길게 뻗어 안으로 구부러진 꽃뿔(距)이 매의 발톱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하늘매발톱의 꽃말은 '승리(勝利)의 맹세(盟誓), 부지런함, 행복(幸福)'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하늘매발톱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드워프 팬-셰이프 칼럼바인(Dwarf fan-shape columbine)이다. '작은(Dwarf) 바람개비 모양(fan-shape) 매발톱(columbine)'이라는 뜻이다.
국표,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하늘매발톱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미야마오다마키(ミヤマオダマキ, 深山苧環)다. '고산(深山) 매발톱(苧環)'이라는 뜻이다. '오다마키(苧環)'는 원래 '(속이 빈 공처럼 둥글게 감은) 베실꾸리'라는 뜻이다. 매발톱 꽃이 베실꾸리를 닮아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식물학 또는 식물명에서 오다마키(苧環)는 매발톱꽃을 뜻한다. FOM 등재 별명(別名, Synonym)은 히메오다마키(ヒメオダマキ, 姫苧環)다. '작은(姫) 매발톱(苧環)'이라는 뜻이다. 별명은 이명(異名)과 동의어(同義語·同意語, synonym)다. 일본에서 하늘매발톱의 꽃말은 '단호하게 이기다(断固として勝つ), 걱정되어 떨린다(心配して震えている)'이다.
중문판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FOM 등재 하늘매발톱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바이샨러우더우차이(白山耧斗菜)다. '창바이샨(长白山, 白頭山)의 러우더우(耧斗)를 닮은 풀(菜)'이라는 뜻이다. '러우(耧)'는 앞에서 가축이 끌고 뒤에서 사람이 잡고, 도랑 파는 일과 씨를 뿌리는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농경시대의 파종용 농기구였다. '러우더우(耧斗)'는 '러우(耧)'에서 씨를 넣는 깔때기 부분을 말한다.
하늘매발톱은 낭림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고산의 암석지에 난다(국생정). 한반도 함경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미야마오다마키(深山苧環)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중부 이북 지방에 분포한다. 조선(朝鲜,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FOM).
바이샨러우더우차이(白山耧斗菜)는 중국 지린(吉林) 창바이샨(长白山, 백두산) 해발 1400~2500m 산비탈 풀밭 지대에 분포한다. 조선(朝鲜,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과 일본에도 분포한다(百度百科).
하늘매발톱의 근경(根莖)은 다소 굵다. 키는 높이 15~30cm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거의 털이 없다. 뿌리잎(根生葉)은 모여나기하고 엽병(葉柄)은 길며 2회3출(2回3出)한다. 소엽(小葉)은 3심열(3深裂)한다. 소엽 열편(裂片)은 넓은 쐐기 모양(廣楔形)이고 끝이 둔하며 다시 얕게 갈라진다. 잎 뒷면은 서릿발 같이 희고 기부(基部)에 털이 있다. 줄기잎(莖葉)은 2개로 윗부분의 것이 작고 1~2회 3출한다.
꽃은 7~8월 줄기 끝에 1~3개씩 아래를 향해(下向) 밝은 하늘색으로 핀다. 꽃받침(萼)은 5개이고 달걀 모양(卵形) 또는 타원상 도란형(楕圓狀倒卵形)으로 끝이 둔하고 벽색(碧色, 짙푸른 색)이다. 꽃잎은 5개이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흰색이다. 꽃밭침이 갈색(褐色)이 도는 자주색(紫朱色)이고, 꽃이 노란색인 매발톱과 구분된다. 수술은 9~10개, 암술은 2~4개이다. 꽃뿔((距)은 끝이 가늘어져 안쪽으로 굽으며 둥글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다. 골돌과는 5개이며 길이 2~3cm이고 털이 없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길이 5mm쯤인 암술대가 남아 있다. 열매에 털이 있는 매발톱과 구분된다.
하늘매발톱은 꽃이 특이하고 아름다워서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잎이 연해서 나물로 먹을 수 있을 것 같지만 독성(毒性)이 강해서 먹으면 안 된다.
바이샨러우더우차이(白山耧斗菜)의 전초(全草)는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다. 부녀병(妇女病) 치료에 쓴다(百度百科). 하지만, 하늘매발톱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 수재(收載)되지 않은 한약재다. 한의사들도 임상에서 하늘매발톱을 쓰지 않는다.
국표 등재 하늘매발톱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 土種植物, native plants, 在来種, landrace)에는 매발톱[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 Zucc. var. oxysepala (Trautv. & C.A.Mey.) Kitam.], 몽골매발톱(Aquilegia ganboldii Kamelin & Gubanov) 등 2종이 있다.
매발톱(Oriental columbine, オオヤマオダマキ, 大山苧環)은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높이 30~130cm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매끈하고 자줏빛이다. 근생엽은 여러 장이 모여 나며, 엽병이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겹잎이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다. 꽃은 5~7월에 노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 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길이 2cm, 갈색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잎은 5장, 노란색이며, 꽃받침 잎과 번갈아 늘어선다. 꽃잎 아래쪽에 거가 있는데, 끝이 안으로 구부러지고 밖으로 나온다. 수술은 많으며, 안쪽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암술은 5개다. 과실은 골돌이며, 위를 향해 달린다.
몽골매발톱(Mongolian columbine)은 국표에 정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꽃받침은 연노란색, 꽃잎은 노란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국표 등재 하늘매발톱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 에는 고산매발톱꽃, 금매발톱꽃, 까막매발톱꽃, 민둥매발톱꽃, 바위매발톱꽃, 빨강매발톱꽃, 산바위매발톱꽃, 새매발톱꽃, 소화매발톱꽃, 시베리아매발톱꽃, 알타이매발톱꽃, 올림픽매발톱꽃, 이색매발톱꽃, 장각매발톱꽃, 존스매발톱꽃, 캐나다매발톱꽃, 코이룰레아매발톱꽃, 푸른매발톱꽃, 하늘매발톱꽃, 향매발톱꽃, 흰하늘매발톱꽃 등 41종이 있다.
한강토 자생식물인 하늘매발톱과 재배식물인 하늘매발톱꽃(Aquilegia flabellata Siebold & Zucc.)은 이름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하늘매발톱꽃(Columbine Fan, fan columbine, dwarf columbine, 広義 オダマキ, 苧環, 洋牡丹)은 국표에 정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하늘매발톱꽃은 국표에 재배식물로 등재되어 있다. 반면에 FOM에는 하늘매발톱꽃의 원산지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로 등재되어 있다. FOM에 따르면 하늘매발톱꽃은 한강토 자생식물이라는 말이다. 두 문헌이 서로 모순되는 설명을 하고 있다.
하늘매발톱꽃은 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et Zucc.(ヤマオダマキ, 山苧環)와 비슷하지만 씨방(子房), 대과(袋果, 골돌과)에 털이 없다. 직근(直根)은 짧다. 꽃줄기(花茎) 높이는 20~30cm이다. 잎은 대부분 근생(根生)하며 로제트를 만든다. 엽병(葉柄)은 길다. 잎은 2회3출복엽(2回3出複葉)이다. 잎 윗면에는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粉白色)이다. 꽃줄기에는 잎이 없고, 아래를 향해 1~5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파란색(青色) 또는 라일락색이다(FOM).
2024. 11. 13. 林 山.
#매발톱 #하늘매발톱 #몽골매발톱 #하늘매발톱꽃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나도황기 (2) | 2024.11.15 |
---|---|
[백두산 야생화] 두메분취 (0) | 2024.11.13 |
[백두산 야생화] 나도개미자리 (1) | 2024.11.11 |
[백두산 야생화] 호범꼬리 (2) | 2024.11.07 |
[백두산 야생화] 구름범의귀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