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의 영산(靈山) 흰머리뫼(白頭山, 長白山, 2,744m)에 오기까지 남의 나라 땅 중국(中國)을 거쳐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가까운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상황에 치미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먼 길을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지지리도 못난 나라, 지지리도 못난 민족이다. 푸른 별 지구에서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이 시대의 선(善)이요 화두(話頭)다.
2024년 7월 19일 백두산에서 자라는 야생화를 만나기 위해 북파(北坡) 산문(山門) 중국 국가대표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났다. 소형 승합차로 어둠을 뚫고 가파른 산길을 따라 북파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파 천문봉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태풍급 강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바람이 얼마나 세차게 불어오는지 몸조차 가누기 힘들었다.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먼동이 터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은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마법처럼 그 모습을 드러냈다.
끝없이 펼쳐진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등 온갖 야생화들이 피어나 저마다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이들 사이에서 한 자리 차지하고 있는 바위돌꽃을 발견했다. 누구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일까! 바위돌꽃을 만나는 순간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바위돌꽃은 북방계(北方系) 고산식물이라서 남한에서는 보기가 어려운 식물이기 때문이다. 그런 바위돌꽃이 흰머리뫼 하늘연못가에 철따라 피고 지고 있었던 것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바위돌꽃이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장미목(薔薇目, Rosales) 돌나물과(Crassulaceae) 돌꽃속(Rhodiola)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되어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국제식물명색인(IPNI,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왕립식물원 큐(Royal Botanic Gardens, Kew) 등재(登載) 바위돌꽃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로디올라 로세아 린네(Rhodiola rosea L.)다. 국표 등재 이명은 세둠 로세움 (린네) 스코폴리[Sedum roseum (L.) Scop.]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로디올라(Rhodiola)'는 '장미(rose)'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로돈(rhódon)'에 라틴어 지소(指小) 접미사 '-이올라(-iola)'가 붙은 것이다. '로돈(rhódon)'은 뿌리에서 나는 냄새로부터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로세아(rosea)'는 '1. 분홍색의(pink), 장미빛의(rose-colored, rosy), 2. 장미, 장미 또는 장미와 관련된(rose-, of or pertaining to roses)'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로세우스(roseus)'의 탈격(奪格)/여성/단수형이다. 속명과 같은 유래를 가진 종명이다.
'린네( L.)'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카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린네는 1753년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에서 바위돌꽃의 학명을 세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Rhodiola rosea L.의 국명(國名, common name)은 바위돌꽃(추천명), 돌꽃, 참돌꽃, 큰돌꽃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추천 국명은 바위돌꽃, 비추천명은 돌꽃이다. 국생관 등재 국명은 돌꽃이다. 같은 학명을 두고 국표, 국생정의 국명은 바위돌꽃, 국생관의 국명은 돌꽃으로 명명하고 있다. 국표, 국생정과 국생관의 학문적 교류가 필요해 보인다. 일문판 와이리스트(YList) 등재 국명은 돌꽃(바위돌꽃)이다. 바위돌꽃은 '바위'나 '돌'틈에서 주로 자라는 '꽃'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바위돌꽃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로즈-룻 로디올라(Rose-root rhodiola)이다. '바위솔(Rose-root) 같은 돌꽃속(rhodiola) 식물'이라는 뜻이다.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바위솔(roseroot)의 뿌리는 장미 냄새를 풍긴다.
YList, 일문판 위키피디아(ウィキペディア) 등재 바위돌꽃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이와벤케이(イワベンケイ, 岩弁慶)다. '바위(岩)에 자라는 꿩의비름(弁慶草·辨慶草)'이라는 뜻이다. '벤케이(ベンケイ)'는 잘라도 쉽게 시들지 않는 강건한 성질을 '강자(強者)'의 뜻을 가진 '벤케이(弁慶)'에 비유한 것이다. YList 등재 이명에는 이와키린소우(イワキリンソウ, 岩騏驎草), 나가바노이와벤케이(ナガバノイワベンケイ), 이와벤케이소우(イワベンケイソウ) 등이 있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 등재 바위돌꽃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훙징톈(红景天)이다. '붉은(红) 꿩의비름(景天)'이라는 뜻이다. 뿌리(根)와 뿌리줄기(根莖)가 붉은색(紅色)인데, 물에 담그면 붉은색이 우러나온다. 그래서 이름을 훙징톈(紅景天)이라고 명명했다. 중국식물지 등재 이명에는 둥쟝훙징톈(东疆红景天)이 있다. 바이두백과 등재 이명에는 챵웨이훙징톈(蔷薇红景天), 사오뤄마뿌얼(扫罗玛布尔, 藏名) 등이 있다.
바위돌꽃은 한강토 전국 각지의 고산지대에 난다. 고산지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국생정). 바위돌꽃은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과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국생관).
이와벤케이(岩弁慶)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를 포함한 아한대(亜寒帯), 북반구의 고산에 분포한다. 유럽의 알프스 산맥, 북아메리카 동부, 일본에서는 혼슈(本州) 중부 지방의 산들에 분포한다. 고산의 이와벤케이는 최종 빙하기에 남하한 종이 유존(遺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ウィキペディア).
훙징톈(红景天)은 중국 신쟝(新疆), 샨시(山西), 허베이(河北), 지린(吉林)에 난다. 해발 1800~2700m의 산비탈 숲 아래 또는 풀비탈에 자란다. 유럽 북부, 러시아, 몽골, 조선(朝鲜, 한강토), 일본에도 분포한다(중국식물지).
바위돌꽃의 키는 높이 7~30c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는 전체에 분백색(粉白色)이 돌고, 줄기 밑부분이 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원줄기는 모여나기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육질(肉質)이며 거꿀달걀모양(倒卵形) 또는 타원형(楕圓形)이고 길이 1~3cm, 너비 5~15mm로서 끝이 둔하며 윗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2가화((二家花)로서 7~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취산꽃차례(聚繖花序)는 원줄기 끝에 생기고 많은 꽃이 밀착한다. 수꽃은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수술은 8~10개로서 꽃잎보다 길다. 암꽃은 작으며 흔히 자줏빛이 돌고 4~5개의 암술이 있다.
바위돌꽃의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다. 골돌과는 4~5개이며 길이 6~7mm로서 곧추선다. 열매가 익으면 4조각으로 벌어진다. 골돌과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 봉선(縫線, suture, raphe)을 따라 벌어지고 1개의 심피(心皮, carpel) 안에 1개 또는 여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 열매로 분과(分果)라고도 한다. 골돌과 식물에는 목련, 목단, 작약 등이 있다.
훙징톈(红景天)의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고 떫다(甘涩). 폐경(肺经)으로 들어간다. 보기청폐(补气清肺), 익지양심(益智养心), 수삽지혈(收涩止血), 산어소종(散瘀消肿)의 효능이 있어 주로 기허체약(气虚体弱), 병후외한(病后畏寒), 기허핍력(气短乏力), 폐열해수(肺热咳嗽), 객혈(咯血), 백대복사(白带腹泻), 질타손상(跌打损伤)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바위돌꽃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에는 가지돌꽃(Rhodiola ramosa Nakai), 돌꽃[Rhodiola elongata (Ledeb.) Fisch. & C.A.Mey.], 좁은잎돌꽃(Rhodiola angusta Nakai) 등 3종이 있다.
가지돌꽃(Branching rhodiola)은 한강토 북부의 깊은 산 정상 근처에 난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는데, 드물게 암수딴포기로 피기도 한다. 줄기 끝에 여러 개가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보통 4장이다.
돌꽃(Elongate-leaf rhodiola)은 러시아 극동, 일본, 중국 북부, 유럽, 북미, 한강토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북부 지방에 난다. 꽃은 7~8월 줄기 끝 취산꽃차례에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좁은잎돌꽃에 비해 잎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꽃받침잎에는 자주색 점이 없다.
좁은잎돌꽃(Narrow-leaf rhodiola, 长白红景天)은 한강토 북부 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북부, 중국 북부 등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끝이 비늘잎으로 덮여 있다.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5cm쯤이다. 잎은 어긋나거나 돌려나며, 선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총포엽(總苞葉)은 4장, 선형, 길이 2.0~2.5mm, 보랏빛이 도는 밤색이다. 꽃잎은 4장, 둥근 피침형으로 길이 4.5~5.0mm, 누런색이 돈다. 수꽃의 수술은 8개,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암꽃은 4~5개의 암술대가 있다.
국생정에는 바위돌꽃의 유사종으로 고산돌꽃(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을 예로 들고 '덩이줄기는 굵고 불규칙한 마디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고산돌꽃은 국표,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의 중국명은 까오샨훙징톈(高山红景天)이다(東北林業大學).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維基百科)는 학명 Rhodiola cretinii subsp. sinoalpina (Fröd.) H. Ohba가 까오샨훙징톈(高山红景天)이다. 국생정은 아마도 둥베이임업대학(東北林業大學)의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생정에는 또 바위솔[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둥근바위솔[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좀바위솔[Orostachys minuta (Kom.) A.Berger]이 좁은잎돌꽃의 유사종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 3종은 바위솔속 식물들이다. 돌꽃속과 바위솔속은 같은 돌나물과이기는 하다. 하지만 속이 다르기에 유사종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표 등재 바위돌꽃의 유사종 재배식물(裁培植物, garden plant, cultivated plant)에는 왕관돌꽃[Rhodiola rhodantha (A.Gray) Jacobsen] 1종이 있다. 왕관돌꽃의 원산지는 로키 산맥 해발 2,700m 지대다. USA 애리조나, 콜로라도, 몬태나, 뉴멕시코, 유타, 와이오밍 주에 분포한다. 키는 45cm까지 자란다.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작고 긴 피침형이다. 식물체의 아랫부분은 녹색, 윗부분은 붉은색이다. 꽃은 양성화이며, 7~8월에 장미색 또는 붉은색으로 핀다.
2024. 11. 20. 林 山
#바위돌꽃 #돌꽃 #Roserootrhodiola #イワベンケイ #岩弁慶 #红景天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담자리꽃나무 '사랑에 눈 떼지 마' (3) | 2024.11.22 |
---|---|
[백두산 야생화] 노랑만병초 (0) | 2024.11.21 |
[백두산 야생화] 바위솜나물 (2) | 2024.11.19 |
[백두산 야생화] 씨범꼬리 (3) | 2024.11.18 |
[백두산 야생화] 나도황기 (2)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