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구름국화

林 山 2024. 11. 25. 11:22

2024년 7월 19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 흰머리뫼(白頭山, 2,744m)에서 자라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북파(北坡) 산문(山門) 중국(中國) 국가대표 운동원촌 숙소에서 새벽 4시에 일어났다. 소형 승합차에 올라 어둠을 뚫고 험하고 가파른 북파 천문봉(天文峰, 2,620m)에 올랐다. 신령한 하늘연못(天池) 북파 천문봉에는 대륙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태풍급 강풍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바람이 얼마나 세찬지 몸조차 제대로 가누기 힘들었다. 동녘 하늘이 붉게 물들며 먼동이 터오자 천문봉 북쪽 기슭에 드넓은 천상(天上)의 화원(花園)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끝없이 펼쳐진 천문봉 천상의 화원에는 두메양귀비, 좁은잎돌꽃, 천지괭이눈, 바위구절초, 구름송이풀, 두메자운, 구름범의귀, 호범꼬리, 나도개미자리, 하늘매발톱, 두메분취, 나도황기, 씨범꼬리, 바위솜나물, 바위돌꽃, 노랑만병초, 담자리꽃나무 등 온갖 뫼꽃 들꽃들이 피어나 저마다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었다. 백두산의 들꽃 뫼꽃들은 추위와 강풍 때문인지 하나같이 난장이처럼 땅에 붙어서 자라는 듯했다. 이들 사이에서 은은한 자주색으로 피어난 구름국화를 만났다. 얼마나 반가운지 소리를 지를 뻔했다. 백두산에 온 것도 바로 이 구름국화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구름국화는 바람을 얼마나 많이 맞았던지 성한 꽃잎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구름국화는 한강토 백두산 고산 지대에서만 자라기에 휴전선 이남에서는 만날 수 없는 야생화다. 그런 구름국화가 흰머리뫼 하늘연못가에 살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백두산에서 구름국화를 만난 것만으로도 소원 하나를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구름국화는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식물로서 고산지대(高山地帶)에 자라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구름'은 구름처럼 '높은 산(高山)'을 뜻하는 접두어(接頭語)다. 구름국화, 얼마나 멋진 이름인가!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구름국화와 상봉하기 위해 백두산에 오기까지 남의 나라 중국을 거쳐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에 들어가는 것도 중국 측의 여러 가지 제한 조건 때문에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니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가까운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빙 돌아서 가야만 하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상황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大使)를 교환(交換)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한겨레임에도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앙숙처럼 대립하고 있는 지지리도 못난 나라, 못난 민족이다. 푸른 별 지구에서 남북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님께 간절히 기원한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의 명령이 아닌가 한다.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에는 구름국화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국화목(菊花目, Asterales) >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 개망초속(Erigeron) > thunbergii의 관속식물로 분류되어 있다.  

국생관, 왕립식물원 큐(Royal Botanic Gardens, Kew), 다음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登載) 구름국화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에리게론 툰베르기이 섭스피시즈. 글라브라투스 (A.그레이) H.하라[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 Gray) H. Hara]이다. 국생관의 원기재명(原記載名)은 Erigeron thunbergii var. glabratus A. Gray(큰산금전화)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생정, 국표 인용 국제식물명색인(IPNI,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과 Kew 등재 구름국화의 학명은 에리게론 알피콜라 (마키노) 마키노[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이다. 국표는 2024년 11월 12일 Erigeron thunbergii A.Gray subsp. glabratus (A.Gray) H.Hara를 이명(異名, synonymy)으로 등재했다.   

일본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에는 Erigeron thunbergii A.Gray subsp. glabratus (A.Gray) H.Hara가 정명(正名, legitimate),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가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에는 Erigeron alpicola Makino가 정명,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가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속명(屬名, generic name) '에리게론(Erigeron)'은 '일찍, 빨리(early)'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부사 '에리(êri)'와 '노인(old man)'이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명사 '게론(gérōn)'의 합성어 '에리게론(ērigérōn)'에서 유래한 다국어 고유명사로서 '개쑥갓(groundsel)'을 뜻한다. 데이지 같은 꽃이 피는 개망초속 식물을 포함한 국화과의 분류학적 속명이다. 열매에 붙은 흰색 갓털(冠毛)이 노인의 백발을 닮은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툰베르기이(thunbergii)'는 '툰베리(Thunberg)의'라는 뜻이다.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를 기념하여 명명한 것이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큐슈(九州) 나가사키(長崎)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종명 '알피콜라(alpicola)'는 '(알프스에 사는) 고산 식물의[alpine (that lives in the Alps)]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알피콜루스(alpicolus)'의 주격/호격 여성 단수형이다. 고산성 식물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섭스피시즈(subsp.)'는 아종(亞種)이다. 아종은 분류학상 종(種, species)의 하위단계로서 장래에 별개의 종으로 분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아종 상호간은 공통된 형질을 많이 지녔고 교배가 가능하며 교배종은 번식력이 있다. 품종(品種, Cultivar), 변종(變種, Variety)은 아종의 하위단계로 아종과는 다른 개념이다.  

아종명(亞種名, subspecies name) '글라브라투스(glabratus)'는 '털이나 강모가 없다(denude of hair or bristles)'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글라브로(glabrō)'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 형용사다. '글라브라투스(glabratus)'는 '다소 매끈한(somewhat smooth), 털이 거의 없는(glabrate)'이라는 뜻이다. 아마도 털이 없는 잎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원명명자(原命名者) 'A.그레이(A.Gray)'는 유신론적 진화론자(有神論的進化論者)로서 하버드대학교 식물학 교수를 역임한 아사 그레이(Asa Gray, 1810~1888)다. 유신론적 진화론자였음에도 그레이는 모든 종의 생명체가 공통 조상의 후손이라는 학설을 정립한 진화생물학(進化生物學)의 시조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강력한 지지자였다.  

'H.하라(H. Hara)'는 일본의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이다. 하라는 도쿄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57년에는 도쿄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1968년~1971년 그는 새로 설립된 도쿄대학교 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하라는 이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하라는 1952년 'Spermatophytarum Japon. 2 : 199'에서 구름국화의 학명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 Gray) H. Hara를 최초로 출판했다.  

'마키노(Makino)'는 일본의 식물 분류학자 마키노 도미타로(牧野富太郎. 1862~1957)다. 일본 식물에 학명을 붙인 최초의 일본인이다. 그가 이름을 붙인 식물은 1000여 종, 1500여 변종에 이른다. 마키노는 1914년 'Botanical Magazine. [Shokubutsu-gaku zasshi]. Tokyo'에서 구름국화의 학명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를 최초로 출판했다.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국표 등재 학명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의 국명(國名, common name)은 구름국화(추천명), 구름금잔화, 산망초, 큰산금전화, 흰구름국화 등이 있다. 국생정 등재 추천 국명은 구름국화, 비추천명은 구름금잔화이다. 국생관 등재 학명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 Gray) H. Hara의 국명은 구름국화, 이명은 산금전화이다.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국명은 구름국화(추천명), 동국(東菊), 구름금잔화, 산망초, 무모장씨비련(无毛臟氏飛聯) 등이 있다. 한자명(漢字名)은 한자(漢字)를 병기(竝記)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가 기관 홈페이지라면 그 정도 성의는 보여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국표, 국생정 등재 학명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 다음백과 국생정 등재 학명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Gray) H. Hara의 영문명(英文名, English name)은 코리언 알파인 플리베인(Korean alpine fleabane)이다. '고려(Korean, 한강토) 고산(alpine) 개망초속 식물(fleabane)'이라는 뜻이다. '플리베인(fleabane)'은 '플리(flea, 벼룩)+베인(bane, 골칫거리)의 합성어인데, 개망초속 식물이 벼룩을 구충(驅蟲)한다는 믿음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학명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 FOM과 YList 등재 학명 Erigeron thunbergii A.Gray subsp. glabratus (A.Gray) H.Hara의 일본명(日本名, Japanese name)은 미야마아즈마기쿠(ミヤマアズマギク, 深山東菊)다. '깊은 산(深山) 동쪽 지방(東)에서 자라는 국화(菊)'라는 뜻이다. 일본 간토(関東) 지방 이북의 높고 깊은 산(深山)에 나는 국화(菊)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학명 Erigeron alpicola Makino, YList 등재 Erigeron thunbergii A.Gray subsp. glabratus (A.Gray) H.Hara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name)은 샨페이펑(山飛蓬)이다. '산(山) 민망초(飛蓬)'라는 뜻이다.  

중국 탕(唐)나라 시인 리바이(李白)의 '루쥔둥싀먼쑹뚜얼푸(鲁郡东石门送杜二甫)'란 제목의 한시에 '페이펑(飞蓬)'이란 시어가 나온다. 주(註)에 '페이펑(飞蓬)은 줄기의 키가 한 자(약 30cm)가 넘고, 잎은 버드나무 잎과 비슷하다. 공 모양의 꽃이 종종 바람에 날리고 회전하기 때문에 페이펑(飞蓬)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쫜펑(转蓬)이라고도 알려져 있다(飞蓬:一种植物, 茎高尺余, 叶如柳, 花如球, 常随风飞扬旋转, 故名飞蓬, 又称转蓬.)'고 했다. 중국식물지 등재 페이펑(飞蓬)의 학명은 Erigeron acris L.(민망초)이다.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구름국화는 백두산 지역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고산 초지에 자란다(국생정). 구름국화는 한강토 북부 지방 백두산에 나며, 러시아 사할린, 시베리아, 캄차카, 쿠릴 열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미야마아즈마기쿠(深山東菊)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중부 이북 지역에 분포한다. 아고산대(亜高山帶)에서 고산대(高山帶)의 사력지(砂礫地)에 난다(FOM).  

아고산대(亞高山帶, subalpine belt)는 산림대와 고산대 사이의 식생대로서 기온이 연평균 4~5℃ 이하로 낮으며, 비와 눈이 많고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을 말한다. 기후에 따라 아고산대가 나타나는 해발 고도도 달라진다. 한라산에서는 1,500m 이상, 금강산에서는 1,200m 이상, 백두산에서는 900~2,000m에 아고산대가 나타난다.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에서는 해발 4,000m 이상인 산지, 위도가 높은 스코틀랜드에서는 450m에 아고산대가 나타나기도 한다. 

고산대(高山帶, alpine belt) 또는 고산식물대(高山植物帶)는 삼림한계선 이상에서 설선(雪線)까지의 지대로, 큰키나무는 자랄 수 없으며, 키가 작은 고산식물이 자란다. 관목과 풀 등이 자라는 고산관목림과 고산초원 및 선태류와 지의류가 자라는 고산툰드라를 이룬다. 한강토에서는 고산대가 해발 2,000m 안팎의 지역에 나타난다. 

샨페이펑(山飛蓬)은 중국 지린(吉林)의 창바이산(长白山), 옌볜(延边), 퉁화(通化), 안투(安图), 푸쑹(抚松) 등지에 분포한다. 러시아 시베리아, 캄차가 반도에도 분포한다. 해발 1700~2600m 지대의 고산초지(高山草地), 툰드라(苔原), 숲가장자리(林缘)에 난다(中国植物志).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구름국화의 키는 높이 10~35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며 털이 있고, 기부(基部)에 마른 잎의 밑부분이 비늘처럼 돌려 싸고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모여나며 꽃이 필 때도 남아 있고 주걱형이며, 길이 5~10cm, 너비 10~18mm,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다소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주걱형 또는 선형(線形),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 1~5cm, 너비 2~8mm다.  

꽃은 7~8월 원줄기 끝에 1개가 담자홍색(淡紫紅色) 또는 자주색(紫朱色)으로 달린다. 꽃 지름은 3~4cm, 화경(花莖)에 털이 있다. 총포(總苞)는 반구형(半球形)이며 길이 7~9mm, 지름 14~20mm이다. 포편(苞片)은 3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너비 1mm로서 자줏빛이 돈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는 좁으며 긴 타원형(長楕圓形)이고 길이 2mm, 지름 0.5mm로서 털이 있다. 관모(冠毛)는 길이 2.5~3.5mm이고 오백색(汚白色) 또는 오황색(汚黃色)이다. 종자(種子)는 9월에 익는다. 

 

구름국화(백두산 북파 천문봉, 2024. 7. 19)

 

국표 등재 구름국화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민망초(Erigeron acris L.), 산민망초[Erigeron acris L. var. kamtschaticus (DC.) Herder], 흰구름국화[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 f. albus Kadota] 등 3종이 있다.   

민망초(Bitter fleabane, bitter daisy, blue fleabane, エゾムカシヨモギ, 蝦夷昔蓬, マンシウムカシヨモギ, 飞蓬)는 한강토 북부 지방에 나며, 중국 북동부, 일본, 러시아 쿠릴, 사할린,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고산 초지에서 자란다. 키는 15~90cm 정도이다. 두해살이풀이다. 줄기에 능선이 있고, 털이 약간 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대개 없어지고, 주걱 모양,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줄기잎은 피침형 내지 선상 긴 타원형, 길이 3~7cm, 너비 6~12mm, 끝이 둔하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다. 머리모양꽃(頭狀花)은 7~8월에 피는데 흰색의 혀모양꽃(舌狀花)과 노란색의 통모양꽃(筒狀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름은 17mm 가량, 줄기 끝에 총상(總狀) 또는 산방상(繖房狀)으로 달린다. 화축(花軸)의 길이는 1.5~5cm 가량이다. 모인꽃싸개잎(總苞)은 공 모양의 종형(鐘形), 길이 6~9mm, 모인꽃싸개잎 조각(總苞片)은 3줄로 배열되며,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수과, 납작한 긴 타원형, 능선이 있다. 우산털(冠毛)은 흰색, 붉은빛이 돈다. 잎은 나물로 먹는다. 민망초는 설상화(舌狀花)와 통상화(筒狀花)의 갓털(冠毛) 길이가 서로 비슷한 반면 개망초는 설상화의 갓털이 통상화의 갓털보다 짧으므로 구별된다.  

산민망초(Kamchatka fleabane, ムカシヨモギ, 昔蓬, 堪察加飞蓬)는 국표에 학명, 국명, 영문명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흰구름국화(White Korean alpine fleabane)는 한강토 백두산 지역에 분포한다. 고산지대 고원지 초원이나 산기슭에 대개 무리를 이루어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10~35cm이다. 줄기 밑부분에 마른 잎의 밑부분이 비늘처럼 남아 있다. 근생엽과 꽃대가 없는 잎은 주걱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5~10cm, 너비 10~18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약간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도 남아 있다. 화경의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주걱 모양, 선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길이 1~5cm, 너비 2~8mm이다. 7~8월에 꽃이 피고 꽃은 흰색이며 지름 3~4cm로서 원줄기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화경에 털이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7~9mm, 지름 14~20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길이가 비슷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있고 너비 1mm로서 흰빛이 돈다. 수과는 좁으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 너비 0.5mm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5mm이고 오황색이다. 흰색 꽃이 피는 구름국화다.  

국표 등재 구름국화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오레곤개망초, 줄개망초, 해변데이지 등 15종이 있다. 국표 등재 구름국화의 유사종 외래식물(外來植物, alien plant)은 개망초[Erigeron annuus (L.) Desf.], 망초(Erigeron canadensis L.), 봄망초(Erigeron philadelphicus L.), 실망초(Erigeron bonariensis L.), 애기망초(Erigeron pusillus Nutt.), 주걱개망초(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 큰망초(Erigeron sumatrensis Retz.) 등 7종이 있다.  

2024. 11. 26. 林 山
#구름국화 #백두산 #북파 #천문봉 #천지 #Koreanalpinefleabane #ミヤマアズマギク #深山東菊 #山飛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