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백두산 야생화] 꽃층층이꽃 '가을의 여인'

林 山 2025. 2. 3. 18:24

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너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에 이어 줄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붉은색의 작은 입술 모양 꽃(脣形花)들을 층층이 달고 있는 꽃층층이꽃도 만났다. 꽃층층이꽃은 남한 전역의 산과 들에서도 흔하게 자라는 야생화다. 그럼에도 만주(满洲)에서 꽃층층이꽃을 만날 줄은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고향 까마귀도 타향에서 만나면 반갑다고 했던가! 백두산(白頭山)으로 가는 머나먼 옌볜까지 와서 꽃말도 낭만적인 '가을의 여인' 꽃층층이꽃을 만나니 타향에서 옛 벗을 만나기라도 한 듯 무척이나 반가왔다.  

백두산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 땅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픔을 금할 수 없었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민족사의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꽃층층이꽃(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꽃층층이꽃을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Magnoliopsida) > 국화아강(菊花亞綱, Asteridae) > 꿀풀목(Lamiales) > 꿀풀과(Lamiaceae) > 층층이꽃속(Clinopodium) > 층층이꽃종(chinense) > 꽃층층이꽃변종(grandiflorum)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 등재(登載) 꽃층층이꽃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클리노포디움 키넨세 (벤섬) 쿤체 바르 그란디플로룸 (막시모비치) H.하라[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grandiflorum (Maxim.) H.Hara]이다. 국표 등재 학명 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Calamintha chinensis Benth. var. grandiflora Maxim., Calamintha clinopodium Spenn. var. urticifolia Hance, Calamintha coreana H.Lév., Calamintha urticifolia (Hance) Hand.-Mazz., 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subsp. grandiflorum (Maxim.) H.Hara, Satureja coreana (H.Lév.) Nakai, Clinopodium urticifolium (Hance) C.Y.Wu & S.J.Hsuan ex H.W.Li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클리노포디움(Clinopodium)'은 영어 접두사 '클리노(clino)' + 라틴어 명사 '포디움(podium)'으로 이루어진 횡단언어(橫斷言語, Translingual)다. '클리노(clino, 영어 slope, 경사, angle, 각도, bed, 침상, reclining, 기대는)'는 고대 그리스어 '클리노(klínō, 영어 to lean, 기운, 기울어진)'에서 유래했다. '포디움(podium, 영어 balcony 원형 극장의 밸커니)'은 고대 그리스어 '포디온(pódion, 영어 base, 토대, 기부, 바닥, 기저, foot, 발, 기슭)'을 차용한 라틴어 명사다. '포디온(pódion)'은 고대 그리스어 '포우스(poús, 영어 foot, 발, 기슭)'에서 유래했다. 침대(bed) 발에 달린 바퀴(foot)처럼 보이는 꽃을 표현한 이름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키넨세(chinense)'는 라틴어 '키넨시스(chinēnsis)'의 주격/중성형/단수 형용사이다. '키넨시스(chinēnsis)'는 '시넨시스(Sinēnsis)'와 동의어(同義語)로서 '중국의(Chinese)'라는 뜻이다. '시넨시스(Sinēnsis)'는 '중국, 중국인(China, the Chinese people)'이란 뜻의 고대 그리스어 '시나에(Sīnae)'에 '~의 또는 ~에서 온[Of or from (a place)]'의 뜻인  라틴어 접미사 '-엔시스(-ēnsis)'가 붙은 것이다. 최초 발견지 또는 자생지가 중국이라는 뜻이다.  

원명명자(原命名者) '벤섬(Benth.)'은 '19세기 최고의 식물분류학자'라는 평을 들은 UK 식물학자 조지 벤섬(George Bentham, 1800~1884)이다. 벤섬은 조셉 돌튼 후커(Joseph Dalton Hooker, 1817~1911)와 함께 쓴 식물 분류학 저서 제네라 플란타룸(Genera Plantarum)으로 유명하다.  

괄호 안의 인명(人名)은 원명명자다.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al nomenclature)에서는 식물의 학명이나 속명이 바뀌는 경우 먼저 학명을 출판한 원명명자를 괄호 안에 기재한 뒤 신명명자(新命名者)를 기재해야 한다. 

'쿤체(Kuntze)'는 독일의 식물학자 카를 에르네스트 오토 쿤체(Carl Ernst Otto Kuntze, 1843~1907)다. 쿤체는 학명 Calamintha chinensis Benth.에서 속명을 칼라만타속(Calamintha)에서 층층이꽃속으로 변경한 학명 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를 출판했다.  

'바르(var.)'는 '바리안트(variant, 변종)'의 약자(略字)다. 변종명(變種名, variety or mutant name) '그란디플로룸(grandiflorum)은 라틴어 형용사 '그란디스(grandis, 영어 large, 큰)'와 명사 '플로스(flōs, 영어 flower, 꽃)'가 합쳐서 된 라틴어 형용사 '그란디플로루스(grandiflorus, 영어 Having large flowers, 큰 꽃을 가진)'의 주격/대격/호격/중성/단수형이다. 층층이 달리는 꽃이 큰 꽃차례를 이루는 모양을 표현한 이름이다.  

변종 학명 Calamintha chinensis var. grandiflora Maxim..의 원명명자 '막시모비치((Maxim.)'는 제정 러시아 식물학자 카를 막시모비치(Karl Maximovich, 1827~1891)이다. 막시모비치는 평생 그가 방문한 극동 아시아의 식물군을 연구하고 많은 새로운 종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1852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식물원에서 식물 표본 수집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1869년에는 감독이 되었다. 

'H. 하라(H. Hara)'는 일본 식물학자 하라 히로시(原寛, 1911~1986)이다. 하라는 도쿄대학(東京大学)에서 공부했으며, 1957년에는 도쿄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1968년~1971년 그는 새로 설립된 도쿄대학 박물관 관장이었다. 하라는 이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하라는 1936년 'The Journal of Japanese Botany. 12 : 39'에서 속명을 칼라민타속에서 층층이꽃속으로 변경한 학명 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grandiflorum (Maxim.) H.Hara를 출판했다. 학명의 변천 과정을 추적해 보았는데, 정확한지는 모르겠다. 혹시 오류가 있다면 강호제현(江湖諸賢)들의 질정(叱正)을 바란다. 집단지성(集團知性)의 힘을 믿는다.   

 

꽃층층이꽃(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학명 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grandiflorum (Maxim.) H.Hara의 추천(推薦)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꽃층층이꽃(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등, 1982), 비추천명은 자주층꽃(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층층이꽃(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등이 있다. 꽃층층이꽃은 꽃이 여러 층을 이루며 피는 꽃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층층이꽃과 구분하기 위해 접두어(接頭語) '꽃'을 붙인 것이다.  

국표 등재 꽃층층이꽃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라지-플라워 에이션 칼라민트(Large-flower Asian calamint,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큰 꽃(Large-flower)이 피는 아시아(Asian) 탑꽃(calamint)'이라는 뜻이다.  

국표, YList 등재 꽃층층이꽃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구루마바나(クルマバナ, 車花)이다. '바퀴(車)처럼 생긴 꽃(花)'이라는 뜻이다. YList 등재 별명(別名, synonymy)은 만슈우구루마바나(マンシュウクルマバナ, 満州車花)이다. 구루마바나(車花)는 여러 단의 수레바퀴(仮輪, 車)처럼 생긴 꽃차례에 작은 낱꽃(花)들이 윤생(輪生)하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YList 등재 꽃층층이꽃의 중국명(中國名, Chinese common name)은 마예펑룬차이(麻叶风轮菜, 麻葉風輪菜)이다. '잎은 삼잎(麻葉)을 닮고 꽃은 로터(Rotor, 風輪, 회전자, 회전체, 회전날개)에 윤생으로 달리는 나물 또는 풀(菜)'이라는 뜻이다. YList 등재 중국명 이명은 펑처차오(風車草), 펑룬차이(風輪菜) 등이 있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등재 학명 Clinopodium urticifolium (Hance) C. Y. Wu & S. J. Hsuan ex H. W. Li, 이명 Clinopodium chinense subsp. grandiflorum, Calamintha chinensis var. grandiflora의 중국명은 마예펑룬차이(麻叶风轮菜), 이명은 펑처차오(风车草, 黑龙江伊春), 즈쑤(紫苏, 河北龙关) 등이 있다.  

꽃층층이꽃은 한강토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국생정). 꽃층층이꽃은 한강토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타이완,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다음백과 국생관). 

구루마바나(車花)의 원산지는 조선(朝鮮, 조선반도, 한반도, 한강토),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헤이룽쟝성(黒龍江省), 허난성(河南省), 쟝쑤성(江蘇省),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遼寧省), 샨시성(陝西省), 샨둥성(山東省), 샨시성(山西省), 쓰촨성(四川省)], 러시아, 사할린이다(FOM).  

마예펑룬차이(麻葉風輪菜)는 헤이룽쟝, 랴오닝, 지린, 허베이, 허난, 샨시(山西), 샨시(陕西), 쓰촨 서북부, 샨둥, 쟝쑤에 난다. 해발 300~2,240m의 산비탈, 초원, 길가, 삼림 지대에서 자란다. 조선(朝鲜), 러시아 극동 지방에도 분포한다(FRPS). 

 

꽃층층이꽃(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꽃층층이꽃의 키는 높이 15~40cm 정도이다. 줄기 전체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원줄기는 네모지고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자라다가 위로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 모양(卵形) 또는 긴 탄형(長彈形, 국생정), 란상 장타원형(卵狀長楕圓形, FOM), 란원형(卵圆形) 또는 란상 피침형(卵状披针形, FRPS)이고 둔두(鈍頭, obtuse)에 원저(圓底, round)이며 길이 2~4cm, 폭 1~2.5cm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葉柄, petiole)은 길이 2~20m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다수의 꽃이 층층으로 조밀하게 달린다. 포(苞, bract)는 선형(線形)이며 길이 5~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받침(萼, Calyx)은 길이 6~8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붉은 빛이 돌며 털이 많다. 꽃부리는 길이 8~12mm로서 붉은 빛이 돌며 겉에 잔털이 있고 순형(脣形, labiate)이다. 하순(下脣, lower lip)은 깊게 3개로 갈라지며 짙은 반점(斑點)과 털이 있다. 둘긴수술(二強雄蕊)과 1개의 암술(雌蕊, Pistil)이 있다. 암술머리(柱頭, stigma)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분과(分果)이다. 분과는 둥글고 지름 6mm 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다. 분과는 열과(裂果)의 하나인 골돌과(蓇葖果)를 가리키는 말이다. 한 씨방에서 만들어지지만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열매로 발달하는 것을 말한다.  

꽃층층이꽃의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다음백과 국생정). 마예펑룬차이(麻葉風輪菜)는 산나물(野菜)로 먹기도 하며, 부드러운 줄기와 잎은 향신료(香辛料)와 조미료(調味料)로 사용할 수 있다(百度百科). 

층층이꽃, 산층층이꽃의 전초(全草)를 풍륜채(風輪菜)라 하며 약용한다. 소풍청열(疏風淸熱), 해독소종(解毒消腫)의 효능이 있다. 감기, 서체(暑滯, 더위로 인해 생기는 체증), 급성담낭염(急性膽囊炎), 간염(肝炎), 장염(腸炎), 이질(痢疾), 이하선염(耳下腺炎), 유선염(乳腺炎), 알레르기성 피부염(皮膚炎), 급성결막염(急性结膜炎) 등을 치료한다(다음백과 국생정). 

마예펑룬차이(麻叶风轮菜)는 전초를 약으로 쓴다. 맛은 쓰고(味苦), 성질은 서늘하다(性凉). 소풍청열(疏风清热), 해독지리(解毒止痢), 활혈지혈(活血止血)의 효능이 있다. 감모(感冒), 중서(中暑), 이질, 간염, 급성담낭염, 자시(痄腮, 痄腮红肿, 耳下腺炎), 목적홍종(目赤红肿), 정창종독(疔疮肿毒), 피부소양(皮肤瘙痒), 부녀각종출혈(妇女各种出血), 뇨혈(尿血), 외상출혈(外伤出血)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秭归药用植物志). 

풍륜채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에는 수재(收載)되지 않은 본초명이다. 따라서, 한의사들은 실제 임상에서 풍륜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필자도 임상에서 풍륜채를 단 한 번도 처방해본 적이 없다.  

 

꽃층층이꽃(중국 지린성 옌볜 차오양촨, 2024. 7. 17.)

 

국표 등재 꽃층층이꽃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개탑꽃[Clinopodium fauriei (H.Lév. & Vaniot) H.Hara], 두메층층이[Clinopodium micranthum (Regel) H.Hara], 두메탑풀[Clinopodium sachalinense (F.Schmidt) Koidz.], 산층층이[Clinopodium multicaule (Maxim.) Kuntze var. shibetchense (H.Lév.) Melnikov], 애기탑꽃[Clinopodium gracile (Benth.) Kuntze], 층층이꽃[Clinopodium chinense (Benth.) Kuntze var. parviflorum (Kudô) H.Hara], 탑꽃[Clinopodium multicaule (Maxim.) Kuntze] 등 7종이 있다. 

개탑꽃(영 Wild calamint, 일 アラゲトウバナ, 粗毛塔花)은 국표, 국생관에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조선(朝鮮)이다. 일본 규슈(九州) 북부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무성하게 갈라지며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란형 또는 협란형(狹卵形)으로 윗면과 아랫면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 pellucid dot)이 있다. 잎자루에 빽빽하게 털이 있다. 꽃차례(花序, inflorescence) 축(軸, axis)에는 조밀하게 뒤로 젖혀진 흰색 털이 있다. 개화기는 8~10월이다. 꽃받침은 길이 4~5㎜, 꽃받침통(萼筒)에는 조밀하게 부드러운 흰색의 털이 있고, 매우 긴 털과 짧은 털이 혼재하며 선점이 있다. 화관(花冠, wreath, crown, garland)은 꽃받침을 약간 넘는다(FOM).  

두메층층이(영 Small-flower mountain calamint, 일 국표 ミヤマクルマバナ, 深山車花, FOM イヌトウバナ, 犬塔花 広義)는 한강토 중부 이남에 분포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20~50cm로 자란다. 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누웠다가 곧게 자라며, 모가지고 모여나기하며 녹색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질이 얇으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5cm, 폭 1~2.5cm로서 밑부분이 넓은 예저(廣銳底)이다. 잎 양면에는 털이 산재하고 뒷면에 뚜렷한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꽃은 8월에 피며 연한 홍색(軟紅色)으로 길이 20~24mm이고 상부 잎겨드랑이에 층층이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5cm 정도로서 털이 많다.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녹색이고 퍼진 털과 더불어 샘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백색이지만 흔히 홍색이 돌고 길이 6~7mm이다. 분과는 다소 납작한 구형(球形)이며 길이 0.8mm 정도로서 밋밋하고 소형이다. 

두메탑풀(영 Alpine calamint, 일 ミヤマトウバナ, 深山搭花)은 한강토 깊은 산에 분포한다. 키는 20~3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약간 뭉쳐나며 마디에 가는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엽병은 약간 길며 털이 있고 달걀 모양 또는 거꿀달걀 모양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에 붉은 맥이 있는 꽃이 피는데 원뿔 모양 꽃차례(圓錐花序)를 이루고 작은 꽃들이 밀착하며, 다소 이삭 모양을 띤다. 꽃부리는 입술 꽃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양쪽 꽃잎에는 붉은 맥이 있고 아래꽃잎에는 빨간 반점이 있다. 꽃받침도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에는 3개의 이가 있고 아랫입술에는 2개의 이가 있으며, 작은 포는 줄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로 4분과이고 매우 작으며 공 모양이다.  

산층층이(영 Mountain Asian calamint, 일 ヤマクルマバナ, 山車花, 별명 エゾクルマバナ, アオクルマバナ, アオミヤマトウバナ, オオミヤマトウバナ)는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60cm, 네모지고 녹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2~4cm, 폭 1~2.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는 가는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짧다. 꽃은 6~7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윤생꽃차례(輪生花序, vertical)를 이루는데 옅은 보라색을 띤 흰색의 꽃들이 층층으로 모여 핀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으로 겉에 긴 털이 있다. 열매는 소견과(小堅果, nutlet)로 둥글며, 꽃받침 속에 싸여 있다. 8~9월에 익는다. 층층이꽃에 비해 전체가 붉은빛을 띠지 않고 녹색이며, 꽃은 옅은 보라색을 띤 흰색이고, 꽃받침에 짧은 샘털이 나므로 다르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개층꽃, 산층층이꽃이라고도 한다. 

애기탑꽃(영 Slender wild calamint, 일 トウバナ, 塔花, 중 细风轮菜, 타이완 光風輪, 塔花)은 한강토 남부 지방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나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서며, 높이 15~30cm,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1~3cm, 폭 0.8~2cm, 끝은 둔하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5~15mm로 짧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모여서 층층이 달리며, 연한 자주색(軟紫朱色)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3.5~4mm,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 길이 5~6mm, 아래 입술꽃잎(脣瓣, lip)이 보다 길다. 수술(雄蕊, Stamens)은 4개, 그중에서 2개는 길다. 열매는 소견과, 다소 납작한 도란형(倒卵形)이며, 7~9월에 익는다. 

층층이꽃(영 Small-flower Asian calamint, 일 クルマバナ, 車花 狭義, 별명 はオククルマバナ)은 한강토 전역에서 자라며, 타이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높이 15~60cm,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 길이 2~4cm, 폭 1~2.5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2~5cm이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위쪽에 층층이 달리며, 붉은 보라색이다. 꽃싸개잎(苞)은 선형, 길이 5~8mm이다. 꽃받침은 붉은색을 띠며, 5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많다. 꽃은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上脣, upper lip)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아랫입술은 넓고 3갈래다. 입술 안쪽에 붉은 점이 있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암술은 1개, 암술대는 2갈래다. 열매는 소견과, 둥글며, 8~10월에 익는다. 

탑꽃(영 Many-stem wild calamint, 일 ヤマトウバナ, 山塔花, 중 瘦风轮菜)은 한강토 전라남도 완도, 울릉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나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서며, 높이 10~30cm,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2~5cm, 폭 1.2cm, 끝은 둔하고 밑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양면과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마디에 2~4개씩 돌려붙어 층층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맥 위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 길이 7~9mm, 흰색이다. 수술은 4개, 암술대(花柱, style)는 1개이고 끝이 2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소견과이다. 원변종(原變種)인 애기탑꽃에 비해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뒷면에 샘점이 있으며 꽃은 흰색이므로 구별한다. 산탑꽃이라고도 한다. 

2025. 2. 13. 林 山
#꽃층층이꽃 #LargeflowerAsiancalamint #クルマバナ #車花 #麻叶风轮菜 #麻葉風輪菜 #风车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