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17일 한강토(조선반도, 한반도) 최고봉이자 조선민족(朝鮮民族, 한겨레)과 칭(靑)나라 만주족(滿洲族)의 영산(靈山)인 흰머리뫼(백두산, 白頭山, 2,744m)에서 살아가는 들꽃 뫼꽃을 만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에서 국적기를 타고 중국(中國) 지린성(吉林省) 옌볜 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옌지(延吉) 차오양촨국제공항(朝阳川国际机场)에 내렸다. 백두산(白頭山)에 오기 위해 남의 나라 중국(中國) 땅을 거쳐 참으로 먼 길을 돌아서 왔다. 백두산은 판문점을 거쳐 육로로 가면 단 몇 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지름길을 두고도 남의 나라로 돌아서 가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서글픈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남한(南韓, 대한민국, 한국, 남조선)과 북한(北韓,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북조선)이 상호불가침협정(相互不可侵協定)을 체결하고, 대사 교환(大使交換)을 한 뒤 민간인 자유 왕래를 실현했더라면 이렇게 남의 나라 땅을 통해 빙 돌아서 오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같은 민족끼리 오가지도 못하는 참 못난 민족이다. 남북한 간 민간인 자유 왕래를 가로막는 세력이 영원히 사라지기를 천지신명(天地神明)님께 빌고 또 빈다. 민간인 자유 왕래 실현을 가로막는 악(惡)의 세력을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시대적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오양촨(朝阳川)에서 처음 만난 야생화(野生花)는 황금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금혼초였다. 금혼초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북 지방에 자생(自生)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나기가 힘든 야생화다. 금혼초, 애기우산나물, 도라지, 좁은잎사위질빵, 가는금불초, 딱지꽃, 가는장대, 고삼(苦蔘, 너삼), 짚신나물, 꼬리풀, 가는쑥부쟁이, 용머리, 참시호, 꽃층층이꽃에 이어 샛노란색 꽃이 활짝 피어 있는 큰뱀무도 만났다. '뱀'자가 들어가는 이름이라서 다소 섬뜩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큰뱀무의 꽃만큼은 귀엽고 예쁘다. 큰뱀무는 꽃말이 '만족스러운 사랑(滿足之愛)'이라는데, 그런 사랑이라면 얼마나 행복할까!
큰뱀무는 남한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기에 어디를 가든지 쉽게 만날 수 있는 야생화다. 동향인(同鄕人)도 머나먼 이국(異國) 타향(他鄕)에서 만나면 반가운 법이다. 백두산으로 가는 머나먼 여정에서 옌볜까지 와 큰뱀무를 만나다니 무척이나 반가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국생관)은 큰뱀무를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 목련강(木蓮綱, 木蘭綱, Magnoliopsida) > 장미아강(薔薇亞綱, Rosidae) > 장미목(薔薇目, Rosales) > 장미과(薔薇科, Rosaceae) > 뱀무속(Geum)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다. 국생관의 분류는 타크타잔(Takhtajan) 체계와 크론퀴스트(Cronquist) 체계(1981년 버전)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식물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은 목련강 대신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이라는 분류명을 사용하고 있다. 쌍자엽식물강은 속씨식물 중 떡잎이 두 장 나는 식물 분류군이다. 목련강은 타크타잔 체계와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주로 두 개의 씨앗 잎(떡잎)으로 구분되는 광범위한 꽃 식물 그룹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따라서 목련강과 쌍자엽식물강은 같은 분류군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 국제식물명색인(IPNI), 왕립식물원 큐(KEW) 등재(登載) 큰뱀무의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게움 알레피쿰 자퀸(Geum aleppicum Jacq.)이다. 국표 등재 학명 이명(學名異名, synonymy)은 Geum strictum Aiton, Geum vidalii Franch. & Sav., Geum sachalinense H.Lév., Geum aleppicum Jacq. var. bipinnatum (Batalin) F.Bolle ex Hand.-Mazz., Geum potaninii Juz. 등이 있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게움(Geum)'은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정치인, 군인이자 백과사전 '박물지(博物誌, Naturalis historia, Natural History)'를 저술한 박물학자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Gaius Plinius Secundus, Pliny the Elder, 23/24~79)가 묘사한 라틴어 '가이움(gaeum)'에서 유래한 횡단언어(橫斷言語, Translingual)다. 장미과에 속하는 분류학적 속명이다.
종명(種名, specific name) '알레피쿰(aleppicum)'은 중동아시아 시리아(Syria) 북부 지방 알레포(Aleppo)에서 유래했다. 최초 발견지(發見地) 또는 자생지(自生地)가 시리아 알레포임을 표현한 이름이다.
명명자(命名者) '자퀸(Jacq.)'은 네덜란드 의사이자 식물학자 니콜라우스 요제프 폰 자퀸(Nikolaus Joseph von Jacquin, 1727~1817)이다. 자퀸은 프란츠 1세(Franz I. Stephan von Lothringen, 1708~ 1765)의 쇤브룬 궁전(Schönbrunn Palace)을 위해 서인도 제도, 중앙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누에바 그라나다로 파견되어 식물, 동물, 광물 등을 수집했다. 1768년 자퀸은 빈 대학교(Universität Wien) 교수 겸 식물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아들 요제프 프란츠 폰 자퀸(Joseph Franz von Jacquin, 1766~1839)은 아버지를 이어 빈 대학교 식물학과 화학 교수가 되었고, 식물학에 관한 유명한 책을 여러 권 썼으며, 식물명 저자 약칭은 J.Jacq.이다. 또, 다른 아들 에밀 고트프리트 폰 자퀸(Emil Gottfried von Jacquin, 1767~1792)과 딸 프란치스카 폰 자퀸(Franziska von Jacquin, 1769~1850)은 빈 고전파를 대표하는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친구였다. 모짜르트는 '비올라 클라리넷 피아노 트리오 K.498(Trio For Clarinet, Viola And Piano In E Flat Major K.498)'를 프란치스카 폰 자퀸에게 헌정했다. 자퀸은 1787년 'Collectanea ad botanicam, chemiam,...'에서 큰뱀무의 학명을 최초로 출판했다.
국표 등재 학명 Geum aleppicum Jacq.의 추천(推薦) 국명(國名, Korean common name)은 큰뱀무(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비추천명은 큰배암무(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등, 1937) 등이 있다. 뱀무는 잎 모양이 무를 닮았는데 무보다는 가치가 덜하다는 의미에서 뱀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큰뱀무는 뱀무에 비해 개체가 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표 등재 큰뱀무의 추천 영문명(英文名, English common name)은 옐로우 애빈즈(Yellow avens,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 국립수목원, 2022)이다. '노란색(Yellow) 꽃이 피는 뱀무(avens)'라는 뜻이다.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영문명은 알레포 애빈즈(Aleppo avens), 옐로우 애빈즈(yellow avens) 등이 있다. 알레포 애빈즈는 학명을 반영한 이름이다.
국표, FOM 등재 큰뱀무의 추천 일본명(日本名, Japanese common name)은 오오다이콘소우(オオダイコンソウ, 大大根草)다. '큰(大) 무(大根)를 닮은 풀(草)=>큰(大) 뱀무(大根草)'라는 뜻이다. 다이콘소우(大根草)는 근생엽(根生葉)의 크고 작은 소엽(小葉)이 번갈아 달리는 모습이 유채과의 무(大根) 잎을 닮은 풀(草)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FRPS), FOM 등재 큰뱀무의 중국명은 루볜칭(路边青)이다. '길가(路边)에 자라는 녹색을 띤 푸성귀(青)'라는 뜻이다. FRPS 등재 속명(俗名)은 수이양메이(水杨梅, 本草纲目), 란부정(兰布政, 云南) 등이 있다.
큰뱀무는 한강토,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의 산야에 난다. 산과 들의 습지(濕地)에서 자란다(국생정). 큰뱀무는 한강토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소아시아, 동유럽 등에 분포한다(국생관).
오오다이콘시마(大大根草)의 원산지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중부 지방 이북, 중국 , 몽골, 러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이다. 일본 아이치현(愛知県)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아이치현의 멸종위기 Ⅱ급 식물이다. 세계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호주와 뉴질랜드로 귀화하고 있다(FOM).
루볜칭(路边青)은 헤이룽쟝(黑龙江),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네이멍구(内蒙古), 샨시(山西), 샨시(陕西), 간쑤(甘肃), 위구르(新疆), 샨둥(山东),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쓰촨(四川), 구이저우(贵州), 윈난(云南), 티베트(西藏)에 난다. 해발 200~3500m의 산비탈 초원, 도랑이나 들판 가장자리, 강변, 숲 사이,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북반구의 온대와 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FRPS).

큰뱀무의 근경(根莖)은 굵고 짧으며 수염뿌리가 뭉쳐난다. 키는 30~10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며 전체에 옆으로 벌어진 털이 있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긴 엽병(葉柄)이 있는 홀수 깃 모양 겹잎(奇數羽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3~5쌍이며 점차 작아지고 타원 모양(楕圓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이며 끝은 뾰족하고 고르지 못한 톱니와 결각(缺刻)이 있다. 소엽 사이에 작은 부속 소엽이 있다. 정소엽(頂小葉)은 사각상 달걀 모양(四角狀卵形) 또는 원형(圓形)이며 예두(銳頭) 또는 원두(圓頭)에 예저(銳底) 또는 약간 심장저(心臟底)이며 길이 5~10cm, 폭 3~10c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莖葉)은 짧은 엽병과 3~5개의 소엽이 있으며, 탁엽(托葉)은 거꿀달걀 모양(倒卵形)이고 결각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2cm의 황색(黃色) 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서 취산꽃차례(聚繖花序)로 3~10개가 달린다. 꽃받침조각(萼片, Sepals), 부악편(副萼片, 곁꽃받침조각), 꽃잎은 각각 5개이다. 과탁(果托, exciple)에는 길이 1mm 정도의 털이 있다. 수술과 암술은 여럿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achene)이다. 수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5mm이며 황갈색 털이 밀생(密生)하고 꼭대기에 갈고리 모양의 암술대가 달린다. 종자(種子, seed)는 7~8월에 익는다. 수과는 폐과(閉果)의 하나로서 속씨식물이 생산한 말린 식물의 일종이다. 수과는 한 개의 열매에 씨 하나가 들어 있고, 얇은 껍질에 둘러싸이며, 씨는 껍질과 분리되어 떨어져 있다. 메밀, 해바라기, 민들레, 삼, 미나리아재비, 딸기 등이 일반적인 수과이다.
큰뱀무는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네이버 식물백과 국생정). 루볜칭(路边青)은 식물 전체에 타닌(tannin)이 포함되어 있어 타닌을 추출할 수 있다. 씨앗에는 건성유(drying oil)가 포함되어 있어 비누와 페인트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신선한 어린 잎은 먹을 수 있다(FRPS).
큰뱀무의 뿌리(根)와 전초(全草)를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라 하며 약용한다. 거풍제습(祛風除濕), 활혈소종(活血消腫)의 효능이 있다. 요퇴비통(腰腿痺痛), 이질(痢疾, Dysentery), 붕루(崩漏, 자궁출혈), 백대(白帶), 타박상, 옹종창양(癰腫瘡瘍), 인통(咽痛, 인후두염), 나력(瘰癧, 연주창), 소아경풍(小兒驚風), 급성 유선염(急性乳腺炎)을 치료한다(네이버 식물백과 국생정).
루볜칭(路边青)은 전초를 약으로 쓴다. 거풍(祛风), 제습(除湿), 지통(止痛), 진경(镇痉)의 효능이 있다(FRPS). 루볜칭의 맛은 맵고(味辛) 약간 쓰다(微苦). 청열해독(清热解毒), 소종지통(消肿止痛)의 효능이 있다. 장염(肠炎), 이질, 소아경풍, 요퇴동통(腰腿疼痛), 질타손상(跌打损伤, 타박상), 월경부조(月经不调), 백대 등을 치료한다(中草药原色图谱800例).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本草學) 교과서에는 수재(收載)되지 않은 본초명이다. 따라서,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오기조양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국표 등재 큰뱀무의 유사종(類似種, similarity species) 자생식물(自生植物, indigenous plant)은 뱀무(Geum japonicum Thunb.) 1종이 있다. 국표 등재 큰뱀무의 유사종 재배식물(栽培植物, cultivated plants)은 붉은꽃뱀무(Geum coccineum Sibth. & Sm.), 산뱀무(Geum montanum L.), 삼화뱀무(Geum triflorum Pursh), 칠레뱀무(Geum quellyon Sweet) 등이 있다.
뱀무(영 Asian herb bennet, 일 ダイコンソウ, 大根草, 중 日本路边青)는 한강토 중부 이남, 울릉도,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갈라지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 20~60cm,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깃꼴 겹잎이다. 끝의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끝은 둔하고 잎 가장자리는 이빨 모양이다. 옆의 작은 잎은 2~4장, 가장자리는 갈라지지 않거나 둔한 톱니 모양이다. 꽃은 6~9월 노란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1개씩 달리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수과, 7~9월에 익으며, 겉에 황갈색(黃褐色) 털이 있다. 큰뱀무에 비해 키가 작고, 근생엽의 가운데 끝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 잎은 홑잎이므로 구분된다. 잎은 식용하고, 전초를 약용한다. 배암무라고도 한다.
붉은꽃뱀무(영 dwarf orange avens, red avens, avens, 일 ベニバナダイコンソウ, 紅花大根草, 別名 セイヨウダイコンソウ, 중 红花水杨梅)는 국표에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의 터키, 남유럽의 알바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그리스,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높이 10~45cm 정도이다. 무리지어 자란다. 잎은 근생(根生)하며 높이 15㎝ 정도 된다. 잎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털이 있다. 작은 잎은 5~7개, 정소엽이 매우 크다. 무의 잎과 비슷하다. 꽃줄기(花茎)는 잎 위에 직립(直立)하여 분지(分枝)하며 높이 22.5~45㎝, 집산꽃차례(集散花序)를 가진다. 꽃은 5판화(5瓣花), 적벽돌색 또는 적등색(赤橙色), 직경(2.5)3~4㎝, 중앙에 노란색 수술이 모인다. 꽃은 5~7(8)월 붉은색(紅色)으로 핀다. 종자에는 솜털(綿毛)이 있다(FOM).
산뱀무(영 국표 Alpine avens, FOM yellow-flowered mountain avens, 일 イワダイコンソウ, 岩大根草, 중 山地路边青)는 국표에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유럽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5~30(40)㎝, 보통 1개이다. 근생엽은 홀수 깃꼴 겹잎, 정소엽은 매우 크다. 줄기는 1~수개, 상당히 작고, 갈라지지 않거나 3심열(三深裂)한다. 잎자루는 매우 짧다(5~10㎜). 꽃은 1(2)개, 밝은 노란색으로 핀다. 꽃받침조각(萼片)은 난형, 꽃이 진 후에 반곡(反曲)하지 않고, 털이 있고 녹색이다. 꽃잎은 5(6~8)개이며, 넓고, 조부(爪部)는 없다. 꽃기둥(花柱)은 마디가 없고 완전한 숙존성(宿存性), 길고(긴 것은 30㎜), 깃털(羽毛)이 있다. 수과는 길이 2.5~4.2㎜, 폭 0.8~1.1㎜이며, 종자는 길이 2.6~2.9㎜, 폭 0.8~0.9㎜이다(FOM).
삼화뱀무(영 Purple avens, Lion's-beard, Old man's whiskers, Grandfather's-Beard, Prairie smoke, 중 三花路边青)는 국표에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캐나다 남부,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US 중부와 북부의 온대 지역, 아북극 지역 초원에 널리 분포한다. 줄기에는 단풍 모양 잎이 마주나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줄기 끝에 3개씩 핀다. 꽃자루부터 꽃받침조각까지 분홍색이어서 녹색 잎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꽃받침에는 분홍색 솜털이 난다. 꽃은 봄부터 여름까지 핀다. 꽃잎은 수십 개의 솜털과 붉은색 실로 이루어져 있다(百度百科).
칠레뱀무(영 scarlet avens, Chilean avens, double bloody mary, Grecian rose, 일 チリダイコンソウ, 중 凯利路边青)는 국표에 학명, 국명 등만 기재되어 있다. 국생정, 국생관 미등재종이다. 원산지는 칠레다. 해발 0~2600m의 칠레 중부 발파라이소 지방(Valparaíso Region)에서 남부 마가야네스 지방(Magallanes Region)에 걸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랭지에서는 반상록 또는 낙엽 식물이다. 근경이 있다. 키는 높이 30~60(1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녹색 또는 진자색(濃紫色), 잔털로 덮인다. 잎은 털이 있고 2형성(二形性), 근생엽은 잎자루가 있고 로제트가 되며 홀수 깃꼴 겹잎이다. 소엽은 다수, 짙은 녹색, 부드러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정소엽은 다른 소엽보다 크며 길이 약 8㎝이다. 줄기잎은 근생엽보다 작고 길고 뾰족하다. 꽃줄기(花序柄)는 홑잎 또는 겹잎의 줄기잎을 가진다. 꽃은 6~8월에 핀다. 집산꽃차례(集散花序)에 방사상칭(放射相称)의 꽃이 1개 또는 여러 개, 액생(腋生)하며 짧은 꽃자루에는 3~6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지름 5~6㎝. 꽃받침조각은 적갈색(赤褐色), 삼각형으로 털이 있다. 꽃잎은 5(~8)개, 진홍색(深紅色)이다. 원예종은 다양하며 노란색, 주황색도 있다. 수술은 다수. 씨방은 상위(上位), 심피(心皮, carpel, 암술을 구성하는 부분)는 이생(離生)이며 견모(絹毛)가 있다. 암술은 다수, 화주(花柱, 암술대, style)는 관절(関節)이 있어 결합부에서 탈락한다. 열매는 수과, 길이 3~5㎜, 타원형, 암술대가 숙존하며 수과보다 길고 날카로운 털이 있다. 한 개의 꽃에 여러 개의 열매가 달린다. 여러 원예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FOM).
2025. 2. 15. 林 山
#큰뱀무 #Yellowavens #Aleppoavens #オオダイコンソウ #大大根草 #路边青 #水杨梅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야생화] 박주가리 '긴 여행' (0) | 2025.02.14 |
---|---|
[백두산 야생화] 까치수염 (0) | 2025.02.14 |
[백두산 야생화] 꽃층층이꽃 '가을의 여인' (1) | 2025.02.03 |
[백두산 야생화] 참시호 '미인(美人)' (0) | 2025.02.03 |
[백두산 야생화] 용머리 '승천(昇天)'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