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벌개미취 '너를 잊지 않으리'

林 山 2020. 11. 3. 15:13

2020년 8월 15일 광복 75주년이자 성모승천대축일(聖母昇天大祝日, Assumption Day)을 맞아 연수성당에 들렀다. 성당 뒤편 수녀관 화단에는 노오란 겹삼잎국화와 함께 연한 자주색 벌개미취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벌개미취 꽃은 평생을 독신으로 경건하게 살아가는 수녀들처럼 청초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벌개미취(충주시 교현동 부강아파트, 2006. 6. 30)

벌개미취는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벌개미취를 고려쑥부쟁이, 별개미취라고도 한다. 꽃말은 벌개미취의 청초한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너를 잊지 않으리'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 등재된 벌개미취의 학명은 아스테르 코라이엔시스 나카이(Aster koraiensis Nakai)이다. 속명 '아스테르(Aster)'는 고대 그리스어 '아스테르(astḗr)'를 차용한 라틴어로, '별(A star)' 또는 '아스테르 아멜루스(Aster amellus), 이탈리아 개미취(Italian starwort)'를 뜻한다. '스타워트(starwort)'는 '별꽃'이란 뜻도 있다. 종소명 '코라이엔시스(koraiensis)'는 '한강토의, 조선반도의(Korean)'라는 뜻을 가진 근대 라틴어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조선반도)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국생정에 등재된 벌개미취의 영어명은 몬테인 애스터(Montane aster)이다. '몬테인(Montane)'은 '산의, 산간 지대의', '애스터(aster)'는 '과꽃' 또는 '참취속, 개미취속'이다. 국표와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에 등재된 영어명은 코리언 스타워트(korean-starwort)이다. 국표에 등재된 일본명은 고우라이시온(コウライシオン, 高麗紫苑)이다. 'Flora of Mikawa'에 등재된 일본명은 죠센시온(チョウセンシオン, 朝鮮紫苑), 이명은 죠센요메나(チョウセンヨメナ, 朝鮮嫁菜)이다. '고우라이(高麗)'와 '죠센(朝鮮)'은 한강토, '시온(紫苑)'은 '탱알, 개미취, 반혼초(返魂草)', '요메나(嫁菜)'는 '쑥부쟁이'이다.   

 

벌개미취(충주시 연원시장, 2022. 8. 2)

벌개미취의 원산지는 한강토이다. 벌개미취는 경기도 이남에 분포하며, 제주도에서도 자란다. 산지나 들 등 아무데서나 잘 자란다. 벌개미취는 벌판에서 자라는 개미취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벌개미취(충주시 연수동 연수성당, 2020. 8. 15)

벌개미취의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적갈색으로 굵고 단단하며 짧다. 잔뿌리가 많이 나고 일종의 냄새가 난다. 줄기는 50~60cm까지 곧게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다.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고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꽃은 6~10월에 핀다. 연한 자주색의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개미취에 비해 털이 거의 없고 두상화가 크며, 통상화와 설상화에 관모가 없다. 열매는 수과이다. 수과는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과모도 없다. 11월에 결실한다.

 

벌개미취(충주시 연수동 연수성당, 2020. 8. 15)

벌개미취는 꽃이 청초하고 아름다워서 정원이나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뿌리가 대단히 왕성하므로 노출된 절개사면, 척박지 등에 심으면 토사유출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벌개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봄에 연한 잎을 끓는 물에 데친 다음 나물로 먹거나 말려서 묵나물로 먹는다. 다른 나물과 함께 무쳐 먹기도 한다. 꽃은 색감을 살려 샐러드로 먹거나 비빔밥 등의 재료로 활용한다.

 

벌개미취(청옥산 중봉계곡, 2013. 9. 21)

'민속특산식물사전'에는 벌개미취의 본초명이 자완(紫菀)이며, 뿌리를 해수와 가래, 천식에 사용한다고 나와 있다. 그러나,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개미취(학명 Aster tataricus L.f.)의 뿌리만이 자완이라고 나와 있다. '다음백과'에는 벌개미취가 '항암작용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항균작용에도 도움이 된다. 기관지와 관련된 염증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으며, 기침 등의 증상과 폐결핵 등의 증상에도 좋다.'고 나와 있다.

 

벌개미취(충주 계명산, 2015. 9. 24)

한강토에 자생하는 벌개미취의 국표 등재 유사종에는 참취(Edible aster, シラヤマギク, 白山菊, 东风菜), 개미취(Tatarinow's aster, シオン), 갯개미취(Seashore aster, Michaelmas daisy, ウラギク, 浦菊, 碱菀), 좀개미취(Maack's aster, ヒゴシオン), 쑥부쟁이(Field aster, ヨメナ, 嫁菜), 가는쑥부쟁이(Thick-stem aster, ハソバヨメナ), 가새쑥부쟁이(Incised-leaf aster, ハゴロモヨメナ), 개쑥부쟁이(Meyendorf's aster), 갯쑥부쟁이(Bristle-hair aster, アレノノギク), 눈갯쑥부쟁이(Korean montane aster, カンナノギク), 섬갯쑥부쟁이(Beach-sand aster, ハマベノギク, 浜辺野菊, 普陀狗娃花), 왕갯쑥부쟁이(Magnus aster ), 섬쑥부쟁이(Ulleungdo aster, ゴマナ), 긴쑥부쟁이(Narrow-leaf bristle-hair aster, ヤナギノギク, 柳野菊), 까실쑥부쟁이(Rough-surface aster, ノコンギク), 민쑥부쟁이(Connected aster, モウコヨメナ, 蒙古馬蘭), 산쑥부쟁이(Mountain aster, ヤマヨメナ, 山馬蘭), 단양쑥부쟁이(Danyang aster, マツバノギク), 추산쑥부쟁이(Chusan aster), 해국(Seashore spatulate aster, ダルマギク, 達磨菊), 돌해국(Gray's aster, イソノギク, 磯野菊, 华南狗娃花), 옹굿나물(Highly-branch aster, ヒメシオン, 姫紫苑) 등 22종이 있다.       

참취(Aster scaber Thunb.)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다. 키는 1~1.5m이다. 줄기나 잎에 짧은 털이 나고 까칠까칠하다. 줄기 아래쪽 잎은 크고 잎자루도 길며, 심장형이다. 톱니는 불규칙하고 거칠다. 위쪽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다. 꽃은 8~10월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흰색으로 달린다. 두상화(頭狀花) 지름은 약 2cm, 혀꽃은 4~9개로 수가 일정하지 않고 드문드문 달린다. 개미취(Aster tataricus L.f.)는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개미취는 줄기가 굵고 키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개화 시기도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늦은 편이다. 중부 및 경기도 자생 개미취는 키가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 시기는 9월 말~10월 초다. 줄기가 강건하여 잘 넘어지지 않는다.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의 원산지는 한강토 등 아시아, 중앙아시아, 소아시아, 서남아시아, 극동러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이다. 바닷가 습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키는 25cm~1m이다. 줄기 중간의 잎은 엽병(葉柄)이 없으며, 선상(線狀) 피침형(披針形)이고, 끝이 뾰족하다. 윗부분의 잎은 선형(線形)이고 포상(苞狀)이다. 꽃은 9~10월 여러 송이의 자주색 두상화가 느슨한 편평꽃차례로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1.6~2.2cm이다.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는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한다.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도 작다.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쑥부쟁이[Aster yomena (Kitam.) Honda]의 키는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卵狀) 장타원형(長楕圓形)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꽃은 7∼10월 연한 자색으로 핀다. 통꽃은 노란색이다. 두상화는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1개씩 달리고 지름은 2.5~3cm이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다. 가는쑥부쟁이[Aster pekinensis (Hance) F.H.Chen]는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줄기잎은 다닥다닥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倒披針形)이다.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꽃은 6~10월 담자색(淡紫色)으로 핀다. 통꽃 꽃부리에는 털이 있다. 

 

가새쑥부쟁이(Aster incisus Fisch.)는 한강토와 중국 동베이(东北) 및 네이멍구(内蒙古) 동부,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60cm~1m 정도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장타원상(長楕圓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가 길게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7~10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연한 남자색(蓝紫色)의 두상화가 산방상(伞房状)으로 달린다. 개쑥부쟁이[Aster meyendorffii (Regel & Maack) Voss]는 줄기잎이 좁고 긴 타원형(楕圓形)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다. 혀꽃은 청자색이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다. 


갯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는 한강토, 일본, 중국 만저우(満州), 타이완(臺灣)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줄기잎은 다닥다닥 달리고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끝이 둔두(鈍頭)이다. 혀꽃은 자주색과 흰색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1.4~2.4cm, 나비 2.5~4mm이다.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는 제주도 한라산 표고 1,200~1500m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의 잎은 선형이며 촘촘히 달린다. 잎 양면에는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다른 참취속 식물들과는 달리 포복성이 있다. 섬갯쑥부쟁이[Aster arenarius (Kitam.) Nemoto]의 원산지는 중국, 일본 혼슈(本州) 중서부, 규슈(九州) 북부 지방이다. 제주도에 분포한다. 키는 10~60cm이다. 지난해 가지는 옆으로 기고 새로운 가지는 곧추선다. 줄기잎은 주걱 모양으로 두껍고, 끝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 줄기와 가지 끝에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 두상화가 1개씩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3~5cm이다. 왕갯쑥부쟁이(Aster magnus Y.N.Lee & C.S.Kim)는 제주도 남부에서 자란다. 줄기잎은 피침형, 위쪽으로 갈수록 차츰 작아진다. 혀꽃은 자주빛을 띤 파란색이다. 꽃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cm, 너비 5mm이다. 길이 4mm 정도의 갈색 관모(冠毛)가 있다. 


섬쑥부쟁이(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는 울릉도에서 자란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장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양면에 잔털이 드물게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다. 혀꽃은 1줄로 배열되고 꽃부리는 길이 0.9~1.1cm, 너비 1.5~2mm로서 흰색이다. 긴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 var. leptocladus (Makino) Okuyama]는 일본 시코쿠(四國) 고치현(高知縣)에 분포한다. 키는 30~80cm이다. 줄기는 전체적으로 가늘고, 드문드문 분지한다. 잎은 선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휘어지는 털이 난다. 꽃은 10~11월 가지 꼭대기에 담청자색(淡青紫色)으로 핀다. 두상화 지름은 2.5~3㎝이다. 까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Turcz.)는 한강토, 중국, 러시아, 인도 북부에 분포한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드물게 있다. 꽃은 8~10월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자주색으로 달린다. 혀꽃이 흰색도 있다. 관모는 갈자색(褐紫色)이다. 민쑥부쟁이(Aster mongolicus Franch.)의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 러시아이다. 키는 50~122cm이다. 잎은 거의 막질(膜質)이다. 중하부의 잎은 도피침형 또는 협장원형(狭長圓形), 맨 윗부분의 잎은 선상 피침형이다. 꽃은 9월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 모양 꽃차례에 벽자색(碧紫色)으로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3cm이다. 산쑥부쟁이[Aster lautureanus (Debeaux) Franch.]는 중국 동베이(東北), 화베이(華北), 샨시(陝西), 샨동(山東), 허난(河南), 쟝쑤(江蘇)에 분포한다. 키는 50cm~1m까지 자란다. 줄기 중간 잎은 피침형, 가지에 달린 잎은 긴 피침형이다. 두상화는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린다. 혀꽃은 담청색, 통꽃은 노란색이다. 단양쑥부쟁이(Aster danyangensis J.Y.Kim & G.Y.Chung)는 한강을 따라 분포한다. 줄기잎은 엽병이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다소 있다. 혀꽃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이다. 추산쑥부쟁이(Aster × chusanensis Y.S.Lim, Hyun, Y.D.Kim & H.C.Shin)는 울릉도에 분포한다. 키는 25~80cm이다. 줄기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위쪽 잎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다. 꽃은 10~50개의 두상화가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두상화의 지름은 2.5~3cm이다. 혀꽃은 16~25개, 분홍색에서 연보라색을 띤다. 통꽃은 19~41개, 노란색을 띤다. 

 
해국(Aster spathulifolius Maxim.)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혼슈(本州), 러시아이다. 키는 25~30㎝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조밀조밀 겹쳐 붙는다. 아랫잎은 도란형 또는 원형이며, 두껍고, 끝은 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소수의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융털이 밀생한다. 꽃은 7~11월 가지 끝의 머리 모양 꽃차례에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통꽃은 노란색이다. 돌해국(Aster asa-grayi Makino)의 원산지는 중국, 일본 아마미오오시마(奄美大島), 오키나와(沖縄)이다. 키는 15~35cm이다. 줄기 중간의 잎은 협피침형 또는도피침형, 주걱 모양 원형이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총포편과 비슷하며 드문드문 갈라진다. 꽃은 7~9월 두상화가 가지 끝에 단생(單生)하거나,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혀꽃은 흰색 또는 분홍색, 통꽃은 노란색이다. 옹굿나물(Aster fastigiatus Fisch.)은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 바이칼 호 동부 산악지대에 분포한다. 키는 30~100c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난다. 아랫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는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꽃은 8~10월 흰색 두상화는 조밀하게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7~9mm이다.  

 

국표 등재 벌개미취 유사종 재배식물은 개미취 '진다이'(Aster tataricus 'Jindai'), 고산아스터(Aster alpinus L.), 고산아스터 '골리앗'(Aster alpinus 'Goliath'), 고산아스터 '트리믹스'(Aster alpinus 'Trimix'), 고산아스터 '핑키'(Aster alpinus 'Pinkie'), 뉴욕아스터 '로젠비흐텔'(Aster novi-belgii 'Rosenwichtel'), 뉴욕아스터 '마리 발라드'(Aster novi-belgii 'Marie Ballard'), 뉴욕아스터 '브리짓'(Aster novi-belgii 'Bridgette'), 뉴욕아스터 '블루 라군'(Aster novi-belgii 'Blue Lagoon'), 뉴욕아스터 '블루 베이비'(Aster novi-belgii 'Blue Baby'), 뉴욕아스터 '스타라이트'(Aster novi-belgii 'Starlight'), 뉴욕아스터 '아폴로'(Aster novi-belgii 'Apollo'), 뉴욕아스터 '앨리스 하슬람'(Aster novi-belgii 'Alice Haslam'), 뉴욕아스터 '퍼플 돔'(Aster novi-belgii 'Purple Dome'), 뉴욕아스터 '피터 해리슨'(Aster novi-belgii 'Peter Harrison'), 무늬까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Variegata'), 시베리아아스터(Aster sibiricus Turcz. ex Torr. & A.Gray), 아스터 '우즈 라이트 블루'(Aster 'Wood'S Light Blue'), 아스터 '우즈 핑크'(Aster 'Wood'S Pink'), 아스테르 리노시리스(Aster linosyris (L.) Bernh.), 아스테르 사바티에리 '바리에가타'(Aster savatieri 'Variegata'), 아스테르 아멜루스(Aster amellus L.), 아스테르 아주레우스(Aster azureus Lindl.), 아스테르 에리코이데스(Aster ericoides L.), 아스테르 에리코이데스 '블루 스타'(Aster ericoides 'Blue Star'), 아스테르 코르디폴리우스(Aster cordifolius L.), 아스테르 프리카르티(Aster × frikartii Silva Tar. & C. K. Schneid.), 아스테르 프타르미코이데스(Aster ptarmicoides (Nees) Torr. & A.Gray), 통고아스터(Aster tongolensis Franch.), 트라데스칸티아스터(Aster tradescantii L.), 피레네아스터(Aster pyrenaeus Desf. ex DC.), 흰꽃고산아스터(Aster alpinus var. albus), 히말라야아스터(Aster himalaicus C.B.Clarke) 등이 있다. 

 

2020. 11. 3. 林 山. 2023.3.28. 최종 수정

#벌개미취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프란(saffron)  (0) 2020.11.04
해오라비난초  (0) 2020.11.04
겹삼잎국화(키다리노랑꽃)  (0) 2020.11.03
옥잠화(玉簪花)  (0) 2020.11.02
둥근잎유홍초  (0)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