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혈관을 흐르는 피 같은 것이 식물에게도 있을까? 식물의 피는 뿌리에서 줄기를 타고 잎과 꽃까지 순환하는 수액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핏물과 비슷한 수액이 나오는 식물이 있다. 바로 피나물이다. 피나물의 줄기나 잎에 상처가 나면 피처럼 붉으스름한 수액이 흘러나온다. 그래서 피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피나물은 양귀비목 양귀비과 피나물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학명은 하일로메콘 버날리스 막시모비치(Hylomecon vernalis Maxim.)이다. 영어명은 포리스트 파피(Forest poppy), 일어명은 야마부키소우(ヤマブキソウ, 山吹草), 중국명은 허칭화(荷青花)이다. 피나물을 선매미꽃, 봄매미꽃, 도두삼칠(刀豆三七), 여름매미꽃, 노랑매미꽃, 하청화(荷青花)라고도 한다. 꽃말은 '봄나비',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우둔함' 등이다.
피나물은 한국을 비롯해서 중국 동북 지방, 일본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피나물속은 전 세계에 약 2종이 있고, 모두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장성군 백암산 이북 산지의 계곡이나 시냇가에서 자생한다.
피나물의 근경은 짧고 굵으며 옆으로 자라는데, 많은 뿌리가 있다. 줄기는 30cm 정도 자라며, 근생엽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자르면 황적색의 유액이 나오고, 다세포로 된 곱슬털이 있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5~7개 갈라진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에 작은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거치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5개의 소엽으로 되어 있다.
꽃은 4~5월에 선명한 황색으로 핀다.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의 긴 화경 (花莖)이 나오고 끝에 1송이씩 달린다. 화경에 몇 개의 잎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2개로 달걀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로 난상 원형이고, 윤채가 있는 황색이다. 꽃 속에는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3~5cm, 직경 3mm 정도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피나물은 꽃이 아름다워 정원의 화단에 심어 관상하면 좋다. 어떤 문헌에는 피나물의 어린순을 삶아서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피나물은 식물체 전체에 약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피나물에는 벤조펜안트리딘 계열의 알칼로이드(benzophenanthridine alkaloids)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항염증, 진정제, 항균, 항종양 등의 약효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피나물, 매미꽃의 뿌리를 하청화근(荷靑花根)이라 하며 약용한다. 거풍습(祛風濕), 서근활락(舒筋活絡), 산어(散瘀), 소종지통(消腫止痛),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어 류머티성 관절염, 노상(勞傷),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하청화근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등재되지 않은 약초다. 한의사들도 하청화근은 임상에서 거의 안 쓴다.
피나물의 꽃잎은 일반적으로 4장이다. 거의 모든 문헌에도 피나물의 꽃잎은 4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꽃잎이 6장인 피나물도 있다. 아주 드물지만 말이다.
피나물과 비슷한 식물에 매미꽃이 있다. 꽃만 보면 혼동하기 쉽다. 하지만 꽃대를 잘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피나물은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오는데, 매미꽃은 뿌리에서 꽃대가 나온다. 피나물은 한 꽃대에 꽃이 하나씩 피는데, 매미꽃은 2~3개씩 모여 핀다. 또, 피나물의 꽃은 봄에 피는데, 매미꽃은 초여름에 핀다.
2021. 5. 7. 林 山. 2022.5.17. 최종 수정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복사나무 ≠ 개복사나무 '사랑의 노예(奴隷)' (0) | 2021.05.12 |
---|---|
홀아비바람꽃 '비밀스런 사랑, 사랑의 괴로움' (0) | 2021.05.10 |
큰괭이밥 (0) | 2021.05.06 |
산자고(山慈姑) '봄 처녀(處女), 가녀린 미소(微笑)' (0) | 2021.05.04 |
큰개별꽃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