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어수리 '구세주(救世主)'

林 山 2022. 1. 6. 12:19

2021년 광복절을 이틀 앞두고 지리산 노고단을 찾았다. 노고단 대피소에서 중계소로 오르는 길가에는 때마침 순백색의 어수리꽃이 활짝 피어나고 있었다. 어수리는 덩치도 큼지막하고 꽃도 대형이라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어수리는 꽃도 아름답지만 맛과 향이 뛰어난 산나물이기도 하다. 어수리 나물을 한번 먹어본 사람은 그 맛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어수리(포천 국립수목원, 2022. 6. 19)

어수리는 산형화목 산형과 어수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어수리는 강원도 방언이다. 하지만 그 뜻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개독활, 좁은잎어수리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북한명은 어수리(추천명), 만주어수리, 좁은잎어수리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개독활이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어수리의 꽃말은 '구세주(救世主)'이다. 기독교의 '메시아(messiah, 해방자, 구원자)'나 불교의 '미륵하생불(彌勒下生佛)' 또는 '미륵해방불(彌勒解放佛)'과 같은 뜻이다.

어수리의 학명은 헤라클레움 묄렌도르피 한스(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이다. 속명 '헤라클레움(Heracleum)'은 허큘리즈(Hercules, 헤라클레스)의 고대 그리스어 헤라클레이오스(Hērákleios)의 라틴어 표현인 '헤라클레우스(Hēraclēus)'에서 유래했다. 종소명 '묄렌도르피(moellendorffii)'는 독일의 과학자이자 연체동물학자 오토 프란츠 폰 묄렌도르프(Otto Franz von Möllendorff, 1848~1903)의 성을 딴 유사 라틴어로 이름이다. '한스(Hance)'는 헨리 플레처 한스(Henry Fletcher Hance, 1827~1886)다. 런던에서 태어난 한스는 1844년 영국 외교관으로 홍콩에 처음 부임해서 중국 식물 연구에 전념한 인물이다.

어수리의 국표 추천 영문명은 이스트 에이션 호그위드(East Asian hogweed)이다. 이명에는 묄렌도르피-카우-파스닙(moellendorffi-cow-parsnip), 자이언트 파스닙(giant parsnip), 카우 파스닙(cow parsnip) 등이 있다.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에 등재된 일본명은 만슈하나우도(マンシュウハナウド, 満州花独活)다. 국표 추천 일본명은 하나우도(ハナウド, 花独活)다. FOM에는 Heracleum barbatum Ledeb. subsp. moellendorffii (Hance) M.Hiroe, Heracleum lanatum Michx. subsp. moellendorffii (Hace) H.Hara 등이 유사종으로 실려 있다. 이 분류에서는 아시아 동부산 종을 정리하고 하나우도를 Heracleum moellendorffii var. moellendorffii로 하고 있다. World Flora Online이나 YList에서는 하나우도가 유럽산 Heracleum sphondylium의 변종이라는 설을 채택하고 있다.

FOM, 중문판 '위키백과(维基百科)', '서우꺼우백과(搜狗百科)', '위키완드(Wikiwand)'에 등재된 어수리의 중국명은 돤마오뉴팡펑(短毛牛防风)이다. 중문판 '지우통(植物通)', '빠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중문명은 돤마오두훠(短毛独活)이다. 이명에는 동베이뉴팡펑(东北牛防风, 东北草本植物志), 따예친(大叶芹, 辽宁), 라오샨친(老山芹), 따훠(大活, 山东), 마오챵(毛羌), 처우두훠(臭独活, 陕西), 두훠(独活, 安徽), 수이두훠(水独活, 浙江), 샤오파뤄하이(小法罗海, 四川) 등이 있다.

어수리는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세계에 약 70종, 한강토(조선반도)에는 1종이 분포한다. 한강토에는 제주, 전남(무등산), 전북(덕유산, 백양산), 충남(계룡산), 강원(치악산, 오대산),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국생정). 만슈하나우도(満州花独活)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이다(FOM). 돤마오두훠(短毛独活)는 중국 화둥(华东), 화중(华中), 둥베이(东北), 네이멍구(内蒙古), 허베이(河北), 샨시(陕西), 쓰촨(四川), 윈난(云南) 등지에 분포한다(百度百科).

   

어수리(지리산 노고단, 2021. 8. 13)

 

어수리의 키는 70~150cm 정도이다. 원줄기는 속이 빈 원주형(圓柱形)이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큰 털이 있다. 줄기에는 세로로 줄이 있다.

근생엽(根生葉)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葉柄)이 있고 크고 우상(羽狀)이며, 3~5개의 소엽(小葉)으로 구성되고 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정소엽(頂小葉)은 원심형(圓心形)이며 3개로 깊이 갈라진다. 측소엽(側小葉)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며, 2~3개로 갈라지고, 길이 7~20cm이다. 열편(裂片)은 끝이 뾰족하고 결각상(缺刻狀)의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으로 7~8월에 핀다. 가지와 원줄기 끝의 겹 우산 모양 꽃차례에 달리고, 20~30개의 소산경(小傘梗)으로 갈라져서 25~30개의 꽃이 각각 달린다. 소산경은 길이 7~10cm이며, 꽃자루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데, 긴 것은 길이가 2cm에 달하고 안쪽에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다. 꽃차례 주위의 꽃은 보다 크고, 바깥쪽 꽃잎은 안쪽 꽃잎보다 훨씬 크며, 그 중 1개는 2개로 깊게 갈라져서 퍼지고, 갈라진 중앙부에 있는 작은 조각이 안으로 꼬부라진다. 총포(總苞)는 1~2개로 선형(線形)이고, 꽃부리는 대형이다. 수술은 5개이다. 씨방은 하위로서 1개이다.

어수리의 열매는 납작한 거꿀달걀 모양이며, 윗부분 가까이에 독특한 무늬가 있고, 털이 없으며 두꺼운 날개가 있다. 뒷면에는 4줄의 종선(縱線)이 있다.

 

어수리(지리산 노고단, 2021. 8. 13)

어수리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곰취와 비슷한 향이 나고, 맛이 뛰어나 생나물로 먹어도 좋고, 묵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전을 부치기도 하고, 나물밥으로도 해 먹는다. 나물밥을 할 때에는 데친 어수리를 참기름으로 무친 후 데친 물로 밥을 짓고 뜸을 들일 때 나물을 얹어 익힌 후 양념간장에 비벼먹는다. 생으로는 쌈을 싸먹고, 장아찌를 만들어 먹는다. 나물로 먹을 때에는 끓는 소금물에 살짝 넣었다가 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짜서 양념장에 버무린다. 튀기거나 무치거나 절여서 먹기도 한다.

요즘에는 농가에서 어수리를 나물 및 채소 작물로 재배하기도 한다. 어수리는 경북 영양 지역의 대표 산나물이다. 어수리 뿌리에서 추출한 기름에는 항바이러스, 항염 효과가 있다고 한다.

어수리의 뿌리를 만주독활(滿洲獨活)이라고 한다. 본초학에서 거풍습약(祛風濕藥) 중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으로 분류되는 독활(獨活)과 효능이 비슷해서 만주독활이라는 이름이 붙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돤마오두훠(短毛独活)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고(降压作用), 풍과 습을 제거하며(祛风除湿), 통증 완화(止痛) 효능이 있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어수리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갈래잎어수리(Heracleum dissectum Ledeb.) 1종이 있다. 갈래잎어수리는 국표에 국명, 학명, 외국명 만 등재되어 있다. 국생정 미등록종이다. 갈래잎어수리(Pinnatifid-leaf hogweed)의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이다. 일본명은 아라게하나우도(アラゲハナウド), 중국명은 싱안두훠(兴安独活)이다(FOM). 갈래잎어수리의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굵은 털이 있으며, 기부는 칼집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잎은 3~5개의 깃털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소엽은 넓은 난형, 난형, 난상 장원형이며, 일반적으로 정상엽은 넓고 거의 원형에 가깝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표면은 미세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회백색 털이 밀생한다(百度百科).

국표 등재 어수리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큰멧돼지풀(Heracleum mantegazzianum Sommier & Levier) 1종이 있다. 큰멧돼지풀(Hogweed giant, Giant hogweed, Cartwheel flower, giant cow parsnip)의 원산지는 흑해에 가까운 캅카스 산맥의 서쪽 지역이며, 19세기쯤에 브리튼 제도로 들어왔다. 유럽, US, 캐나다 등지에도 분포한다. 키는 2 ~ 5.5m까지 자란다. 줄기는 억세고 밝은 녹색이며, 검붉은 점이 곳곳에 나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줄기의 지름은 3~8cm이고 10cm까지 자라기도 한다. 줄기에 나 있는 검붉은 점에는 커다랗고 뻣뻣한 하얀 털들이 자란다. 갈라지는 형태의 잎은 1~1.7m까지 자란다. 6~7월 작고 새하얀 꽃들이 잔뜩 모여 지름 80cm 정도의 덩어리를 이룬다. 꽃은 대부분 하얀색이지만 드물게 분홍빛 꽃을 피우는 개체도 있다. 광독성(光毒性) 식물이라서 많은 나라에서 잡초로 분류한다. 즙액은 식물광선피부염을 일으켜 물집, 흉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눈에 들어가면 실명할 수 있다. 유독 반응은 잎, 뿌리, 줄기, 꽃, 씨에 함유된 푸라노쿠마린 (Furanocoumarin)때문이다.

2022. 1. 6. 林 山. 2023.9.12. 최종 수정

#어수리 #만주독활 #갈래잎어수리 #큰멧돼지풀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오이풀  (0) 2022.01.10
까실쑥부쟁이 '순정, 옛사랑'  (0) 2022.01.07
동자꽃  (0) 2022.01.05
버들마편초(퍼플탑 버베인)  (0) 2022.01.04
왕바랭이  (0)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