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꽃향유 '가을 향기(香氣), 조숙(早熟), 성숙(成熟)'

林 山 2022. 2. 21. 16:31

10월의 산길을 걷다가 어디선가 들깻잎 향이 나는 듯하여 고개를 돌려보면 저만치서 자주색 미소를 띠고 있는 꽃향유를 발견하게 된다. 실제로 꽃향유의 잎은 들깻잎과 똑닮았다. 꽃과 잎의 형기도 들깨와 비슷하다. 

 

꽃향유는 '향유(香薷, 노야기)'에 '꽃'이 더해진 합성어다. 향유와 비슷하면서도 꽃이 보다 크고 화려해서 꽃향유란 이름이 붙었다. 꽃향유는 '꽃이 아름다운 향유'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꽃향유(응봉산 용소골, 2021. 10. 3)

꽃향유에는 슬픈 전설이 서려 있다. 옛날 충청도의 어느 한 시골 청년이 청운(靑雲)의 꿈을 품고서 집을 떠났다. 하지만 막상 집을 떠나고 나니 고생이 말이 아니었다. 힘들고 어려운 날이 계속되면서 청년의 꿈도 시나브로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자신의 신세가 처량하기 짝이 없어 속상했던 청년은 돈이 생길 때마다 노름판과 술집을 드나들며 탕진했다. 이러구러 중년이 된 그는 오갈데도 없는 외로운 신세가 되고 말았다. 젊은 시절을 헛되이 보낸 자신을 반성했지만, 그를 인정해주고 도와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는 결국 거지가 되어 후회의 눈물을 흘리며 여기저기 떠돌이 생활을 하다가 추운 겨울밤 어딘지도 모르는 길거리에서 얼어죽고 말았다. 그는 죽어가면서 옥황상제에게 '단 한 번만이라도 좋으니 청운의 꿈을 이룬 사람들 옆에 곱게 있게 해주세요' 하고 빌었다. 간절한 소원을 들은 옥황상제는 그를 꽃향유로 환생시켰다는 이야기다. 이 전설은 향유의 전설과도 내용이 같다. 향유의 전설에서는 '귀가 없는 꽃'으로 나온다. 

 

꽃향유(응봉산 용소골, 2021. 10. 3)

꽃향유는 통화식물목(筒花植物目, Tubiflorales) 꿀풀과(Lamiaceae) 향유속(香薷屬, Elsholtzia)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 분홍꽃향유, 붉은향유(북한명), 흰꽃향유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분홍꽃향유가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꽃향유의 꽃말은 '가을 향기(香氣), 조숙(早熟), 성숙(成熟)'이다. 

 

국표, 국생정 등재 꽃향유의 학명은 엘스홀치아 스플렌덴스 나카이 엑스 F.마에카와(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이다. 속명 '엘스홀치아(Elsholtzia)'는 독일의 박물학자 요한 지기스문트 엘스홀츠(Johann Sigismund Elsholtz, 1623 ~1688)의 성 'Elsholtz'에 근대 라틴어 접미사 '-ia'가 붙은 것이다. 엘스홀츠를 기념하는 의미가 있다. 종소명 '스플렌덴스(splendens)'는 '빛나다(shine)'의 뜻을 가진 라틴어 동사 '스플렌데오(splendeō)'의 능동형 현재분사로서 '빛나는'의 뜻이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조선반도)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엑스(ex)'는 처음 이름을 붙인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하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유효한 출판을 했다는 뜻이다. 'F.마에카와(F.Maek.)'는 식물의 분포와 진화에 관한 뛰어난 학설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식물학자 마에카와 후미오(前川文夫, 1908~1984)다.   

 

꽃향유(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10. 8)

국표, 국생정 등재 꽃향유의 영어명은 샤이니 민트(Shiny mint)이다. '빛나는, 반짝거리는, 반들거리는 박하(薄荷)'라는 뜻이다. 국표,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니시키코우쥬(ニシキコウジュ, 錦香需)이다.  FOM, 중문판 위키백과(维基百科), 바이두백과(百度百科) 등재 중국명은 하이저우샹루(海州香薷)이다. 하이저우(海州)는 한강토(조선반도) 황해도 해주(海州)가 아니라 중국 쟝쑤(江苏) 성 북부에 있는 항구 도시를 말한다. 维基百科에는 하이저우샹루(海洲香薷), 통차오화(銅草花), 통슈차오(銅銹草), 야솨차오(牙刷草)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百度百科에는 샹루(香薷)가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꽃향유(경기도 광주 남한산, 2022. 10. 8)

꽃향유는 한강토, 만주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 중부 산야에 자생한다(국생정). 니시키코우쥬(錦香需)의 원산지는 한강토와 중국이다(FOM). 하이저우샹루(海州香薷)는 한강토,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중북부, 광둥(广东)의 해발 200-300m의 산비탈 지역에서 자란다(维基百科). 하이저우샹루(海州香薷)는 한강토와 중국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랴오닝(辽宁), 허베이(河北), 샨둥(山东), 허난(河南), 쟝쑤(江苏), 쟝시(江西), 쩌쟝(浙江), 광둥 등지의 해발 200-300m의 산비탈, 길가나 풀숲에서 자란다(百度百科). 

 

꽃향유(충주 금봉산, 2021, 10. 9)

꽃향유는 몇 개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고, 다시 잔뿌리가 나 있다. 키는 60cm 정도까지 자란다.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엽병(葉柄)과 더불어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 모양이며 예두(銳頭)에 예저(銳底)이고 엽병으로 흐른다. 잎 길이는 1~7cm, 나비 0.8~4cm로서 양면에 털이 드물게 있고, 특히 맥(脈) 위에 많으며,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다. 선점에서는 향기가 난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분홍빛이 나는 자주색으로 핀다. 많은 꽃이 빽빽하게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2~5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바로 밑에 잎이 있다. 포(苞)는 콩팥 모양이고, 끝이 갑자기 바늘처럼 뾰족해지며, 자줏빛이 돈다. 포 가장자리에는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형(筒形)이고 길이 1.5mm 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6mm 정도로서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다. 상순(上脣)의 끝은 오목 들어가며, 하순(下脣)은 3개로 갈라진다. 2강수술은 길게 나오고, 길이 1cm정도이다. 열매는 소견과(小堅果)이다.

 

꽃향유(설악산 상봉 성인대, 2015. 10. 11)

꽃향유는 가을에 개화하므로 척박한 토양의 도로변에 대규모로 재배하면 좋은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꽃이 많이 달리고 한 달이상 피기 때문에 공원이나 정원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어도 좋다. 밀원식물로도 쓰인다. 

 

봄에 돋는 꽃향유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된장국 등 국거리로 쓰거나 가루를 묻혀 튀김을 해 먹기도 한다. 여름에 차로 마시면 영병(熱病)을 없애고, 속을 편안하게 하며, 위(胃)를 따뜻하게 한다. 즙으로 양치질을 하면 입냄새가 가신다. 전초를 향료로 이용할 수 있다. 2010년 덕성여대 김근희 교수팀은 꽃향유를 아로마 치료에 쓸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꽃향유 오일은 월경(月經) 전에 나타나는 우울증(憂鬱症) 등의 정신적인 증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꽃향유(충주 계명산, 2019. 10. 13)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꽃향유, 애기향유, 가는잎향유, 향유의 전초(全草)를 향유(香薷)라 하며 약용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에는 향유와 꽃향유만 수재되어 있다.

 

본초학에서 향유는 해표약(解表藥) 중 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으로 분류된다. 발한해서(發汗解署), 행수산습(行水散湿), 온위조중(温胃调中)의 효능이 있어 하월감한음냉(夏月感寒飮冷), 두통발열(頭痛發熱), 오한무한(惡寒無汗), 흉비복통(胸痞腹痛), 구토복사(嘔吐腹瀉), 수종(水腫), 각기(脚氣) 등을 치료한다. 향유는 한의사들이 임상에서 종종 처방하는 한약재다. 

 

'동의보감' <탕액편 : 채소>에는 향유(香薷, 노야기)에 대해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곽란으로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수종을 내리게 하고 더위먹은 것과 습증을 없앤다. 위기(胃氣)를 덥히고 번열(煩熱)을 없앤다. ○ 집집마다 심는다. 여름철에는 채소로 먹는다. 음력 9~10월에 이삭이 나온 다음에 베서 말린다[본초]. ○ 일명 향여(香茹)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채소로 먹을 수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입문].'고 나와 있다. 

 

하이저우샹루(海州香薷)는 토양의 구리(铜)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뿌리나 줄기, 잎, 꽃 등에 구리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한의학에서는 여름 감기에 해표 효과가 있으며, 때로는 샹루(香薷)로도 사용된다(维基百科). 풀 전체가 약재로 사용된다.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발표해서(发表解暑), 산습행수(散湿行水)의 효능이 있어 일사병(伤暑), 두통, 발열, 오한무한, 복통, 토사(吐泻), 수종(水肿), 각기(脚气) 등을 치료한다(百度百科).

 

꽃향유(지리산 대원사골, 2005. 10. 16) &nbsp;

국표 등재 꽃향유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향유[Elsholtzia ciliata (Thunb.) Hyl.],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다발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 var. fasciflora N.S.Lee, M.S.Chung & C.S.Lee),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Kim), 애기향유(Elsholtzia serotina Kom.), 좀향유(Elsholtzia minima Nakai), 한라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 var. hallasanensis (Y.N.Lee) M.Kim] 등 7종이 있다.   

향유(노야기, Crested latesummer mint, ナギナタコウジュ, 薙刀香需, 香薷)의 원산지는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인도,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이다.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꽃이 이삭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달린다. 가는잎향유(Narrow-leaf mint, ホソバナギナタコウジュ)의 원산지는 한강토, 중국이다. 한강토에는 충북 보은 속리산과 괴산 조령, 제천시, 경상북도 문경시에 분포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다. 잎 길이는 2~7cm, 폭 1.5~5mm이다. 꽃은 9~10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다발꽃향유(Scattered-flower balm)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줄기의 단면은 4각형이고 털이 있다. 꽃은 10월~11월 자주색으로 핀다. 꽃이 줄기 끝 또는 액생하여 수상화서로 달린다. 변산향유(Byeonsan balm)는 전북 변산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자주색을 띤다. 꽃은 자주색이다. 한쪽으로 치우치는 수상화서에 달린다.  

애기향유(Rocky mint, イワナギナタコウジュ, 岩薙刀香需, 岩生香薷)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 러시아다. 한강토에는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가늘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자색을 띠며, 미모가 있고 강한 향기가 있다. 꽃은 10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줄기와 가지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한쪽으로 치우쳐 빽빽이 난다. 좀향유(Smallest mint, ヒメナギナタコウジュ)는 제주도 한라산 해발 1,500m 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2~5cm 정도이다. 꽃은 9~10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린다. 향유와 비슷하지만 왜소형이다. 한라꽃향유(Halla mint)는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강토 특산종이다. 키는 7~15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자주색이며, 줄기 밑동에서 가지를 친다. 꽃은 자주색으로 핀다. 줄기와 가지 끝에 납작한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국표 등재 꽃향유의 유사종 재배식물에는 꽃향유 '자향'(Elsholtzia splendens 'Jahyang'), 목향유(Elsholtzia stauntonii Benth.), 남방향유(Elsholtzia griffithii Hook. f.) 등 3종이 있다. 목향유(mint bush, mint shrub, キダチナギナタコウジュ, 木香薷)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꽃향유 '자향', 남방향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2022. 2. 21. 林 山. 2023.7.22. 최종 수정

#꽃향유 #향유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쑥부쟁이 '그리움, 기다림'  (0) 2022.02.24
까치깨  (0) 2022.02.22
천궁(川芎)  (0) 2022.02.19
궁궁이(芎窮)  (0) 2022.02.18
눈괴불주머니  (0)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