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클래식에서 헤비메탈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09]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林 山 2024. 12. 1. 12:10

'Sunshine of Your Love(선셔인 오브 유어 러브)'는 1967년 11월 2일 발매된 UK 롹 밴드 크림(Cream)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Disraeli Gears(디즈레일리 기어스)' A면 2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 트랙은 1967년 12월 US, 1968년 9월 UK에서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블루스와 현대 재즈 음악에 하드 롹과 독특한 사이키델릭 롹 음악이 가미된 이 노래는 크림의 가장 유명한 시그니처곡 가운데 하나이자 라이브 공연 필수 넘버였다. 

 

좌->진저 베이커, 잭 브루스, 에릭 클랩튼(1967)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HD)

 

'Sunshine of Your Love(너의 햇살 가득한 사랑, 네 사랑의 행복)'의 녹음 세션에는 롹 앤 롤 명예의 전당 유일의 3회 헌액자이자 전설적인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Eric Clapton, 보컬, 일렉트릭 기타), 역대 최고의 베이시스트 잭 브루스(Jack Bruce, 보컬, 베이스 기타), 롹 역사상 첫 수퍼 스타 드러머 진저 베이커(Ginger Baker, 드럼, 퍼커션) 등 밴드 멤버 3명이 공식 라인업으로 참여했다. 에릭 클랩튼은 지미 페이지, 제프 벡과 함께 세계 3대 기타리스트다. 수많은 기타리스트들은 처음 기타를 잡았을 때 클랩튼의 하강하는 10음 리프를 익혔던 시절을 기억할 것이다. 장르는 사이커델릭 롹(Psychedelic rock), 블루스 롹(blues rock), 하드 롹(hard rock), 러닝 타임은 앨범 버전 4분 8초, US 싱글 편집 버전 3분 3초다. 

 

앨범 'Disraeli Gears(디즈레일리 기어스) 표지

 

Cream - Sunshine Of Your Love(Royal Albert Hall 1968)

 

'Sunshine of Your Love'는 크림의 베이시스트/보컬리스트인 잭 브루스가 1967년 1월 29일 런던 새빌 극장(Saville Theatre)에서 열린 롹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 연주자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콘서트에 참석한 후 영감을 받은 독특한 베이스 리프를 기반으로 작곡했다.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도 작곡 크레딧에 올라가 있다. 가사는 크림 특히 잭 브루스의 음악적 동지인 작사가 피트 브라운(Pete Brown)이 썼다. 드러머 진저 베이커는 독특한 톰톰 드럼(tom-tom drum, 울림줄이 없음) 리듬을 연주한다. 

 

싱글 'Sunshine of Your Love' 표지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Royal Albert Hall 2005)

 

에릭 클랩튼은 1988년 롤링 스톤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날 지미 헨드릭스는 눈부신 공연을 했다. 잭 브루스는 지미의 공연을 보기 전까지는 그를 제대로 받아들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날 밤 잭이 지미의 연주를 보고, 공연이 끝난 후 집에 가서 리프를 생각해냈다. 'Sunshine of Your Love'는 엄밀히 말해서 지미에게 바치는 헌사였다. 그리고 우리는 그 위에 노래를 썼다."고 말했다. 

 

잭 브루스 크림 팬 클럽 공연(1968)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Royal Albert Hall 2005)

 

팝 칼럼니스트 로버트 다이머리(Robert Dimery)는 "모든 최고의 작품들이 그렇듯, 이 곡의 가사는 정확한 문법의 필요성을 배제한다. 잭 브루스의 음성을 통해 'It's getting near dawn(새벽이 다 되어가네)'을 듣고 있자면, 1세대 일렉트릭 블루스에 대한 기억이 몰려온다. 이 말에 담긴 주술적 힘은 브루스가 실제로 늪지대(bayou)와는 전혀 거리가 먼 사람-그는 한 왕립 음대에서 교육받은 재즈 대가였다-이라는 사실에도 굴하지 않고 한 치의 마력도 잃지 않는다. 여기 등장하는 화자는 밤의 'tired eyes(지친 눈)'를 환기시키며 그의 욕망의 대상이 전부인 그곳으로 우리를 인도해가는 것이다. 사랑에 아파하지만 세련되고, 옛 뿌리를 고수함에도 현대적인 'Sunshine of Your Love'는 여전히 그 시대의 에너지와 작업에 참여한 이들의 재능이 모두 융합된 곡으로 남아 있다."고 평했다. 

 

에릭 클랩튼 스페인 바르셀로나 공연(1974)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music video)

 

싱글 'Sunshine of Your Love'는 1968년 1월 13일 빌보드 핫 100 차트에 진입해서 14주 동안 36위를 달렸다. 1968년 7월 6일에 차트에 다시 진입한 싱글은 1968년 8월 31일 5위에 올랐다. UK 싱글 차트에서는 25위, 캐나다 차트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2004년 롤링 스톤 매거진은 이 노래를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목록에서 65위, 2005년 3월 Q 매거진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 트랙 100곡' 목록에서 19위로 선정했다. 2009년 VH1은 이 노래를 '최고의 하드 롹 100곡' 목록에서 44위에 올렸다. 이 노래는 롹 앤 롤 명예의 전당 '롹 앤 롤을 형성한 500곡' 목록에 올랐다. 

 

Cream(크림) - Sunshine of Your Love(선셔인 오브 유어 러브)

 

[Verse 1]
It's getting near dawn 새벽이 다가오고 있어/When lights close their tired eyes 빛이 지친 눈을 감으면/I'll soon be with you, my love 곧 너와 함께 할게, 내 사랑/Give you my dull surprise 따분한 서프라이즈를 선사할게 

 

[Pre-Chorus]
I'll be with you, darling, soon 곧 너와 함께 할게, 자기야/I'll be with you when the stars start falling 별들이 사라지기 시작할 때 너와 함께 할게

 

[Chorus]
I've been waiting so long 너무 오래 기다렸어/To be where I'm going 내가 가는 곳에 (있으려고)/In the sunshine of your love 네 사랑의 햇살 속으로

 

[Verse 2]
I'm with you, my love 난 너와 함께야, 내 사랑/The lights shining through on you 너를 비치는 빛/Yes, I'm with you, my love 그래, 난 너와 함께야, 내 사랑/It's the morning and just we two 아침이 오고 우리 둘뿐이야

 

[Pre-Chorus]
I'll stay with you, darlin', now 이제 네 곁에 있을게, 자기야/I'll stay with you 'til my seas are dried up 너와 함께 있을게, 내(저) 바다가 다 말라서 없어질 때까지(포에버!)

 

[Chorus]
I've been waiting so long/To be where I'm going/In the sunshine of your love

 

[Instrumental Break 02:01-02:59]
[Guitar Solo]

 

[Verse 3]
I'm with you, my love/The lights shining through on you/Yes, I'm with you, my love/It's the morning and just we two

 

[Pre-Chorus]
I'll stay with you, darling, now/I'll stay with you 'til my seas are dried up

 

[Chorus]
I've been waiting so long 너무 오래 기다렸어/I've been waiting so long/I've been waiting so long/To be where I'm going/In the sunshine of your love
(誤譯이 있을 수 있음)

 

2024. 12. 1. 林 山

#Cream #SunshineofYourLove #EricClapton #JackBruce #GingerBaker #PeteBrown #Psychedelicrock #블루스롹 #bluesrock #하드롹 #hard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