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비비추

林 山 2020. 9. 22. 12:41

7월 30일이었다. 진료를 마치자마자 퇴근해서 집에 돌아오는 길이었다. 각종 화분으로 가득한 아파트 상가 부동산 사무소 입구 계단에 자주색 비비추 꽃이 한창 피어나고 있었다. 비비추를 보면 가을이 생각나곤 한다. 꽃 이름에 '추'자가 들어가서일까? '추' 하면 '秋'(가을 추)가 연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는 가을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취'가 변한 것이다. '취'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아 비비추는 나물로 먹을 수 있는 식물임을 짐작할 수 있다.    

 

비비추(2020. 7. 30)

비비추는 백합목 백합과 비비추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린 잎을 나물로 먹을 때 거품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고 하여 비비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학명은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이다. 이명에는 이밥취, 자옥잠화(紫玉簪花) 등이 있다. 원산지는 아시아다. 한국을 비롯해서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남부와 중부지방의 산지에서 자란다. 

 

비비추의 뿌리는 사방으로 뻗어 있다. 줄기는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 꽃대는 30~40cm까지 자란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난상 심장형 또는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진록색이 나며 가죽질이고 두껍다. 끝은 뾰족하다. 밑부분은 절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윤채가 없다.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약간 굴곡지며 8~9개의 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얇은 막질로서 자줏빛이 도는 백색이고 꽃자루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이 핀 후 쓰러진다. 꽃부리는 끝이 6개로 갈라져서 열편이 약간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다. 삭과는 비스듬히 서며 긴 타원형이고, 3개로 갈라진다..

 

비비추의 유사종에는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 흰좀비비추(Hosta minor f. alba (Nakai) F.Maek), 참비비추(Hosta clausa var. normalis F.Maek.), 일월비비추(Hosta capitata (Koidz.) Nakai), 흰비비추(Hosta longipes f. alba (Nakai) T.B.Lee), 주걱비비추(Hosta clausa Nakai),  산옥잠화(Hosta longisima Honda), 넓은옥잠화(Hosta japonica var. latifolia Nakai) 등이 있다. 좀비비추는 식물체가 소형이고 꽃대가 높게 올라간다. 흰좀비비추는 금강산에서 자라며, 흰색 꽃이 핀다. 참비비추는 경기도 광릉과 충청북도 속리산에 분포하며, 꽃대 길이가 40~50cm로 다소 크다. 일월비비추는 중부이남에서 자생하고 8~9월에 자색꽃이 핀다. 흰비비추는 흰색 꽃이 핀다. 주걱비비추는 충북 속리산, 경기도 광릉, 강원도 금강산, 평안북도, 함경남북도에서 자라며, 만주나 동시베리아에 등지에도 분포한다. 산옥잠화는 전남, 경기, 강원, 황해, 함경도에 자생한다. 잎이 난상 피침형이며 우글쭈글하고 담자색이다. 넓은옥잠화는 경기도에서 자생한다. 잎은 넓은 타원형이며, 포에도 잎맥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비비추는 밀원식물이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거나 말려서 묵나물로 이용한다. 재배 채소처럼 연하고 향긋하며 매끄러우면서도 감칠맛이 나는 나물이다. 나물의 쓴맛이나 떫은 맛도 없고, 억세지도 않다. 된장국 등 국물 요리에 넣기도 하고, 쌈채소로 활용하여 고기와 함께 먹기도 한다. 

 

비비추는 꽃이 특이하고 아름다워서 정원의 화단이나 암석정원의 바위틈, 공원 등지에 조경용으로 심으면 좋다. 반음지의 지피식물로 적합한 식물이다.

 

비비추의 꽃은 본초명 자옥잠(紫玉簪), 뿌리와 줄기는 자옥잠근(紫玉簪根), 잎은 자옥잠엽(紫玉簪葉)이라고 한다. 자옥잠에는 인삼의 성분인 사포닌이 소량 들어 있으며, 철분과 비타민이 다량 들어 있다. 

 

자옥잠은 7~8월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자옥잠은 조기화혈(調氣和血), 보허(補虛)의 효능이 있어 부녀허약(婦女虛弱), 적대하(赤帶下), 백대하(白帶下), 자궁출혈, 유정(遺精), 토혈, 기종(氣腫), 인후홍종(咽喉紅腫) 등을 치료한다. 자옥잠근은 연중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자옥잠근은 이기화혈(理氣和血), 보허,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어 인후종통(咽喉腫痛), 치통, 위통, 혈붕(血崩), 대하, 옹저(癰疽), 나력 등을 치료한다. 자옥잠엽은 붕루대하(崩漏帶下), 궤양(潰瘍) 등을 치료한다. 한의사들은 거의 쓰지 않는다. 

 

2020. 9. 22.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며느리밥풀  (0) 2020.09.23
돌양지꽃  (0) 2020.09.23
맥문동(麥門冬) '기쁨의 연속'  (0) 2020.09.21
'기다려주오' 황매화(黃梅花)  (0) 2020.09.18
죽단화(겹황매화) '기다림'  (0) 20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