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이야기

맥문동(麥門冬) '기쁨의 연속'

林 山 2020. 9. 21. 17:15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화단에는 잔디 대신 맥문동(麥門冬)을 심었다. 그래서 해마다 7월 중순 무렵이면 자주색 맥문동 꽃 향연이 벌어지곤 한다. 2020년도에는 7월 20일 전후부터 맥문동 꽃이 한두 송이씩 피어나기 시작하더니 7월 말부터는 아파트 화단 전체가 자주색으로 물들었다. 

 

맥문동 꽃은 특이하고 예뻐서 관상가치가 높고, 알뿌리는 한약재로 많이 쓰인다. 맥문동은 한의사들이 자주 처방하는 매우 중요한 한약재다. 한의사인 나로서는 아침 저녁으로 만나는 맥문동이 늘 반갑고 고맙기 그지없다.    

 

맥문동(충주시 연수동 아이파크 아파트, 2022. 7. 27)

맥문동은 백합목 백합과 맥문동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맥문동을 겨우살이풀, 계전초(階前草), 문동(門冬), 불사초(不死草), 알꽃맥문동, 넓은잎맥문동, 동사이(冬沙伊)라고도 한다. 꽃말은 '기쁨의 연속'이다.

중국 밍(明)나라 의학자 리싀젠(李時珍)은 '뻰차오강무(本草綱目)'에서 마이먼동(麥門冬)의 이름 유래에 대해 '마이쉬(麥鬚, 맥수)를 일러 먼(虋, 音ㄇㄣ/, 차조 문)이라고 한다. 이 풀의 뿌리는 마이(麥, 보리 맥)와 비슷한데 수염뿌리(鬚)가 있다. 그 잎은 지우(韭, 부추 구)와 같고, 한겨울(冬)에도 시들지 않는다. 고로 마이먼동(麥虋冬, 맥문동)이라고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麥門冬'의 원래 이름이 '麥虋冬'이었음을 알 수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과 중문판 빠이두백과(百度百科)에 등재된 맥문동의 학명은 리리오페 플라티필라 F.T.왕 앤 T.탕(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이다. 속명 '리리오페(Liriope)'는 정원의 지피식물(地被植物)로 사용되는 리리오페속 식물 이름에서 유래했다. 종소명 '플라티필라(Liriope platyphylla)'는 '평평한 잎을 가진(having flat leaves)'의 뜻을 가진 근대 라틴어 '플라티필루스(platyphyllus)'에서 여성형 형용사로 어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F.T.왕(F.T.Wang)'은 중국 식물분류학자 왕파쫜(汪发缵, 1899~1985)이다. 왕파쫜은 단자엽 식물 분류 연구의 개척자이다. 'T.탕(T.Tang)'은 중국의 식물학자 탕진(唐进, 1897~1984)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과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에는 리리오페 무스카리 (드케슨.) L.H.베일리[Liriope muscari (Decne.) L.H.Bailey]가 정명,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은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종소명 '무스카리(muscari)'는 '사향(musk)'의 뜻을 가진 비잔틴 그리스어(Byzantine Greek) '모스코스(móskos)'->그리스어 '모스카리(móschari)'에서 유래한 근대 라틴어다. '드케슨(Decne.)'은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농경학자 조제프 드케슨(Joseph Decaisne, 1807~1882)이다. 'L.H.베일리(L.H.Bailey)'는 미국의 원예가이자 원예과학학회 공동 창립자 리버티 하이드 베일리(Liberty Hyde Bailey, 1858~1954)이다.

국생정에 등재된 맥문동의 영어명은 브로드립 리리오프(Broadleaf Liriope)이다. 국표에 등재된 영어명은 빅 블루 릴리터프(Big blue lilyturf), 일본명은 야부란(ヤブラン, 藪蘭)이다. '三河の植物観察'에 등재된 영어명은 빅 블루 릴리터프(big blue lilyturf), 릴리터프(lilyturf), 멍키 그래스(monkey grass), 리리오페 그래스(liriope grass)이다. 일본명은 야부란(ヤブラン, 藪蘭), 중국명은 쿼예샨마이동(阔叶山麦冬)이다. 빠이두백과에 등재된 중국명은 쿼예샨마이동(阔叶山麦冬), 이명으로 똰팅샨마이동(短莛山麦冬)이 등재되어 있다.

맥문동의 원산지는 한강토(조선반도)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타이완 등 아시아이다. 한강토에서는 중부 이남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일본에서는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오키나와(沖縄)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광둥(广东), 광시(广西), 푸젠(福建), 쟝시(江西), 저쟝(浙江), 쟝쑤(江苏), 샨둥(山东),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쓰촨(四川), 구이저우(贵州), 안후이(安徽), 허난(河南) 등 남쪽 지방에서 흔히 재배한다. 해발100~1400m의 산지의 밀림, 습한 곳에서 자란다.

 

 

맥문동(충주시 연수동 아이파크 아파트, 2020. 7. 30)

맥문동의 근경은 굵고 짧으며 딱딱하고 옆으로 뻗지 않는다. 백색의 굵은 뿌리가 길게 뻗고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끝에는 백색의 덩이뿌리가 달린다. 줄기는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 꽃대는 높이 30~50cm까지 올라온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밑에서 모여나기하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지기도 한다. 11~15개의 세로맥이 있고 밑부분이 가늘어져서 엽병 비슷하게 된다.

꽃은 5~8월에 보라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꽃이 3~5개씩 마디마다 모여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 밑부분 또는 중앙 윗부분에는 관절이 있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연한 자주색이다. 수술은 6개이다. 수술대는 구불구불하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얇은 껍질이 일찍 벗겨지면서 흑색 종자가 노출된다.

 

맥문동(충주시 연수동 아이파크 아파트, 2020. 7. 30)

맥문동을 밥에 넣어 먹기도 하고, 정과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쌀밥은 백미에 깨끗이 씻은 맥문동을 넣어 밥을 짓는다. 정과는 맥문동 뿌리의 심을 뺀 뒤 꿀을 넣어 중탕하여 만든다. 맥문동주는 주정에 맥문동을 담가 만든다. 맥문동을 넣고 끓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단맛을 더하려면 감초를 넣는다. 맥문동과 수삼은 궁합이 맞으므로 같이 끓여 먹으면 좋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과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의 덩이뿌리를 본초명 맥문동이라고 한다. 맥문동은 대개 재배품으로, 재배 2, 3년째의 5월 상순에 캐고, 야생은 4월 상순부터 캔다. 덩이뿌리만 잘라내어 깨끗이 씻어 3~4일간 햇볕에 말린 다음 통풍이 잘되는 곳에 널어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맥문동(충주시 연수동 아이파크아파트, 2015. 8. 7)

맥문동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서(本草書)인 '셴농뻔차오징(神农本草经)'에 맥문동은 상품약(上品藥)으로 등재되어 있다. '셴농뻔차오징'에는 '맥문동(麦冬)은 음(阴)을 보하고 폐(肺)를 촉촉하게 하는 최상급 약으로 분류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도 않으며, 배고프지도 않다.( 将麦冬列为养阴润肺的上品,言其久服轻身,不老不饥.)'라고 나와 있다. '뻔차오징(本草经)'에는 또 맥문동의 효능에 대해 '가슴과 복부의 뭉친 기, 내상으로 인한 창만, 위의 낙맥이 끊어져 몸이 마르고 숨이 가쁜 증상을 치료한다.(主心腹结气,伤中伤饱,胃络脉绝,羸瘦短气)'고 나와 있다.

빠이두백과 '맥문동의 역사: 셴농뻔차오징에 나오는 상품약을 보면 어떤 인문 이야기가 있는가(麦冬的历史:看神农本草经中的上品有怎样的人文故事)'에는 '친싀황(秦始皇)은 이 대답을 듣고 즉시 수천 명의 동남동녀와 함께 배를 타고 동해로 들어가 불로장생의 약을 구하라고 보냈는데, 이 풀이 바로 맥문동(麦冬)이다. 그러나 맥문동이 불사의 몸을 갈망하는 친싀황의 소원을 들어줄 수는 없지만 맥문동으로 만든 약이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싀저우지(十洲記)에서 잘 확인된다.(秦始皇得到了这个答复,当即派人带童男童女数千人,乘船进入东海,以求长生不老之药,此草即为麦冬。不过麦冬自然是不能让渴望拥有不死之身的秦始皇满足心愿,但是麦冬做药材有显著效果这个事实,的确是在十洲记中得到了翔实的印证.)'고 나와 있다. '싀저우지(十洲記, 海内十洲记)'는 시한(西漢)의 문학가 똥팡슈어(东方朔)가 쓴 고대기괴소설집(古代志怪小说集)이다.

중국 동한(東漢) 짱종징(张仲景)의 '진쿠이야오루에(金匮要略)'에는 맥문동탕(麦门冬汤)이 기록되어 있다. '진쿠이야오루에'에는 맥문동탕의 효능에 대해 '폐위(肺痿)에 속한 인후불리증을 치료한다. 폐와 위의 음액이 부족하여 허화가 위로 치솟고, 기기가 거슬러 올라간 까닭이다.(治咽喉不利证,属于肺痿,系因肺胃阴亏、虚火上炎、气机逆上所致)'라고 나와 있다. 송(宋)나라 태의원(太医院)에서 편찬한 '셩지종루(圣济总录)', 칭(清)대 짱시춘(张锡纯)이 쓴 '이쉬에쫑쫑찬시루(医学衷中参西录)'에도 맥문동탕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 탕(唐)나라 쑨시먀오(孙思邈)의 '쳰진팡(千金方)'에는 맥문동환(麦门冬丸)이라는 처방이 있다. 맥문동환은 위장실열(肠胃热实)을 제거해서 소갈(消渴, 당뇨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맥문동은 본초학에서 보익약(補益藥) 중 보음약(補音藥)으로 분류된다. 맥문동은 양음윤폐(養陰潤肺), 청심제번(淸心除煩), 양위생진(養胃生津)의 효능이 있어 폐조건해(肺燥乾咳), 토혈, 객혈, 폐위(肺痿), 폐옹(肺癰), 허로번열(虛勞煩熱), 소갈(消渴), 열병상진(熱病傷津), 인건구조(咽乾口燥), 변비 등을 치료한다. 허한설사(虛寒泄瀉)나 외감해수(外感咳嗽)에는 쓰지 않는다.

 

'동의보감' <탕액편 : 풀>에는 맥문동에 대해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에 열이 나고 입이 마르며 갈증이 나는 것과 폐위로 피고름을 뱉는 것, 열독으로 몸이 검고 눈이 누른 것을 치료하며 심을 보하고 폐를 시원하게 하며 정신을 진정시키고 맥기(脈氣)를 안정케 한다. ○ 잎은 푸르러 향부자와 비슷하며 사철 마르지 않고 뿌리는 구슬을 꿰놓은 것 같다. 그 모양이 보리알 같으므로 이름을 맥문동이라 한다. 음력 2월과 3월, 9월과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살찌고 큰 것이 좋으며 쓸 때에는 끓는 물에 불쿠어 심을 빼버린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답답증(煩)이 생긴다[본초]. ○ 수태음경으로 들어가는데 경락으로 가게 하려면 술에 담갔다가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난다. 건 땅에서 나며 섬에도 난다[속방].'고 나와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맥문동은 도라지, 고슴도치 가죽과 상오(相惡)되는 약이다. 맥문동은 지모, 뽕나무뿌리껍질, 천문동, 생지황, 찐지황, 은조롱과 함께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이므로 참대칼로 썰어야 한다. 쇠에 닿았던 것을 쓰면 3가지 소갈증(三消)이 생길 수 있다. 맥문동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붕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맥문동(충주시 연수동 아이파크아파트, 2020. 8. 10)

한강토에 자생하는 국표 등재 맥문동의 유사종에는 개맥문동(Creeping lilyturf, コヤブラン, 小藪蘭, チョウセンヤブラン, 朝鮮藪蘭, 山麦冬), 좀맥문동(Lesser lilyturf, ヒメヤブラン, 姫藪蘭, 矮小山麦冬) 등이 있다.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 Lour.)의 원산지는 한강토, 일본, 중국, 타이완, 베트남이다. 잎은 좁고 선형이며, 길이 25~60cm, 너비 4~8mm이다. 잎맥의 수는 7~11개로 맥문동보다 적다. 꽃대는 높이 25~40cm이다. 5~7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열매는 흑색이다. 좀맥문동[Liriope minor (Maxim.) Makino]의 원산지는 일본, 중국, 타이완이다. 잎 길이는 30∼40cm, 너비 4∼7mm로서 7∼11맥이 있다. 꽃대의 높이는 약 40cm이다. 꽃은 5∼7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는다.

한강토에서 재배하는 국표 등재 맥문동의 유사종에는 개맥문동 '긴류', 맥문동 '골드밴디드' 등이 있다.

개맥문동 '긴류'(Liriope spicata 'Gin-Ryu')는 잎에 하얀 줄무늬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다. 맥문동 '골드밴디드'(Liriope muscari 'Gold-Banded')는 외국 문헌에는 거의 모두 맥문동 '골드밴드'(Liriope muscari 'Gold-Band')로 등재되어 있다. 잎에 밝은 금색 줄무늬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다.

2020. 8. 21. 林 山. 2023.3.11. 최종 수정

#맥문동 #개맥문동 #좀맥문동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양지꽃  (0) 2020.09.23
비비추  (0) 2020.09.22
'기다려주오' 황매화(黃梅花)  (0) 2020.09.18
죽단화(겹황매화) '기다림'  (0) 2020.09.18
부추 '무한한 슬픔'  (0) 202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