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rill Is Gone(더 쓰릴 이즈 곤)'은 1951년 US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West Coast blues) 싱어송라이터/피아니스트 로이 호킨스(Roy Hawkins)와 릭 다넬(Rick Darnell)이 작곡한 마이너 키의 느린 블루스 곡이다. 1940년대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텍사스 블루스 연주자들에게서 유래한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는 점프 블루스(Jump blues)와 재즈(Jazz)의 영향을 받아서 강렬한 피아노 중심의 사운드와 재즈풍의 기타 솔로가 특징이다. 호킨스가 녹음한 버전은 1951년 빌보드 R&B 차트에서 6위에 올랐다. 곡목 'The Thrill Is Gone'은 '떨림(설렘, 황홀감)은 사라지고' 정도의 뜻이 되겠다. 'Thrill'은 오싹하고 짜릿하지만 황홀하다는 뜻도 있다.
Roy Hawkins - The Thrill Is Gone (Original, 1951)
US 싱어송라이터/블루스 기타리스트/음반 제작자 비비 킹(B.B. King)은 'The Thrill Is Gone'을 녹음해서 1969년 12월 5일 발매된 앨범 'Completely Well(컴플리틀리 웰)' 9번 트랙에 수록했다. 음반은 음악 프로듀서/녹음 기술자 빌 심칙(Bill Szymczyk)이 제작했다. 이 트랙은 앨범 발매와 같은 달 싱글로 커트되어 나와 대히트를 쳤다. 킹 버전은 이 노래를 블루스 표준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다. 이후 이 노래는 킹의 시그니처이자 대표곡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킹 버전의 장르는 리듬 앤 블루스(RnB), 소울 블루스(soul blues), 러닝 타임은 싱글 버전 3분 55초, 앨범 버전 5분 30초 등 두 가지가 있다.
B.B. King - The Thrill Is Gone (album version, 1969)
젊은 프로듀서 심칙은 킹을 설득해서 평소 함께하던 킹의 밴드 대신 4명의 세션 맨(Session Man)을 썼다. 킹의 이전 노레들처럼 혼 섹션을 마구 퍼붓는 것보다 좀더 차분한 리듬 기타와 오르간을 가미해야겠다는 생각에서였다. 심칙은 여기에 12인조 스트링 섹션을 추가했다. 왜냐면 이 곡을 주류 라디오 매체로 진입시키는데 유리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련됨과 포르노적 성향을 1대 2 비율로 섞은 스트링 섹션이 1970년대 주류 라디오 방송국들에서 인기곡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세련된 제작과 현악기의 사용은 원곡과 킹의 이전 곡들 모두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었다.
B. B. King - The Thrill Is Gone (Live at Montreux, 1993)
팝 평론가 로버트 다이머리(Robert Dimery)는 'The Thrill Is Gone'에 대해 "이 곡은 멤피스에서 디제이 활동을 할 시절 킹이 즐겨 듣던 곡이었다. 킹은 이 보기 드문 단조 블루스의 한숨 위로 대표적 기타 릭(Guitar Rig)을 깔고, 좀 더 어둡고 세련된 곡을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품었다... 킹은 사랑하는 이가 걸어놓은 주문으로부터 깨어나 자유로워짐을 느끼는 고귀한 회한에 대해 노래한다. 그의 걸걸한 비브라토(vibrato) 음성이 폴 해리스(Paul Harris)의 건반과 제럴드 제못(Gerald Jemmott)의 애절한 베이스라인 위로 마치 유령처럼 스쳐 지나간다."고 평했다.
Aretha Franklin - The Thrill Is Gone (From Yesterday's Kiss)
킹의 'The Thrill Is Gone'은 빌보드 최다 판매 소울 싱글 차트에서 3위를 기록했고, 이보다 더 중요하고 광범위한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는 15위에 올랐다. 킹 버전은 1970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그에게 최우수 남성 R&B 보컬 퍼포먼스 부문상을 안겨주었고, 1998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獻額)되었다. 롤링 스톤 매거진은 킹 버전을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목록에서 183위로 선정했다. 1970년 '소울의 여왕' 아리사 프랭클린(Aretha Franklin) 이 곡을 커버해서 그녀의 17번째 스튜지오 앨범 'Spirit in the Dark(스피릿 인 더 다크)'에 수록했다.
B. B. King(비비 키킹) - The Thrill Is Gone(더 쓰릴 이즈 곤)
[Verse 1]
The thrill is gone (짜릿하고 황홀한) 설렘이 사라졌어/The thrill is gone away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설렘도 사라져버렸어/The thrill is gone, baby 설렘이 사라졌어, 자기야/The thrill is gone away 설렘이 사라져버렸어/You know you done me wrong, baby 알잖아, 나한테 잘못한 거, 자기야/And you'll be sorry someday 언젠가 죄책감이 들 거야
[Verse 2]
The thrill is gone 설렘이 사라졌어/It's gone away from me 내게서 사라져버렸어/The thrill is gone, baby 설렘이 사라졌어, 자기야/The thrill is gone away from me 설렘이 내게서 사라져버렸어/Although I'll still live on 그래도 난 여전히 살아가겠지/But so lonely I'll be 하지만 난 너무나 외로울 거야
[Instrumental Bridge]
[Verse 3]
The thrill is gone 설렘이 사라졌어/It's gone away for good 영원히 사라져버렸어/Oh, the thrill is gone, baby 오, 설렘이 사라졌어, 자기야/It's gone away for good 영원히 사라져버렸어/Someday, I know I'll be over it all, baby 언젠가 난 극복할(끝낼) 거야, 자기야/Just like I know a man should 남자(싸나이)가 그래야 하는 것처럼
[Verse 4]
You know I'm free, free now, baby 알잖아, 난 이제 자유(自由)야, 자유, 자기야/I'm free from your spell 난 너의 주문(呪文, 얽매임)으로부터 자유야/I'm free, free, free now 난 이제 자유야, 자유, 자유라고/I'm free from your spell 난 너의 주문으로부터 자유로와졌어/And now that it's all over 이제 모든 게 끝났어/All I can do is wish you well 내가 할 수 있는 건 네가 잘되기를 바라는 것뿐
(誤譯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25. 2. 8. 林 山
#RoyHawkins #BBKing #TheThrillIsGone #RnB #soulblues
'음악 클래식에서 헤비메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50] Kanye West - Through the Wire (0) | 2025.02.10 |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48] Michael Jackson - Thriller (3) | 2025.02.07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47] Jane’s Addiction - Three Days (1) | 2025.02.03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46] Sparks - This Town Ain’t Big Enough for the Both of Us (0) | 2025.02.02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45] Woody Guthrie - This Land Is Your Land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