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이슈 화제

홍콩 시민들은 왜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에 나섰는가!

林 山 2019. 6. 13. 17:13

친중국 성향의 홍콩 정부가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에 나서자 홍콩의 야당과 시민단체, 대학생, 시민 등 수만 명이 이에 반발하는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진압에 나선 홍콩 경찰이 최루탄을 발사하면서 부상자도 속출했다.


홍콩 당국은 외세가 개입된 조직화된 폭동이라고 규정하고 강경 진압을 예고했다. 그럼에도 시위가 오히려 격화되자 당국은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을 연기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민주화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들의 기세는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홍콩 입법회(국회)가 2차 심의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범죄인 인도 법안'이 통과되면 홍콩은 중국, 타이완, 마카오와 서로 범죄인을 넘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홍콩의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범죄인 인도 법안'이 통과되면 홍콩의 민주화 인사들이 중국으로 송환될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범죄인 인도 법안'을 심의하려던 입법회 청사 주변을 많은 시민들이 가로막자 입법회 의장은 법안 심의를 위한 회의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렇다고 사태가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 '범죄인 인도 법안'을 폐기한 것이 아니라 심의를 연기한 것뿐이기 때문이다.


홍콩 정부는 법안 통과를 다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홍콩 입법회는 친중국 성향의 여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범죄인 인도 법안'이 상정되면 입법회는 홍콩 정부의 입맛대로 통과시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 중국도 현 홍콩 정부를 확고하게 지지한다고 밝혔다.


현재 홍콩 시민들은 본토인들에 비해 어느 정도 민주화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홍콩은 2047년 완전히 중국으로 넘어간다. 홍콩 시민들은 홍콩이 공산당 일당독재 치하의 중국으로 완전히 넘어갔을 때의 미래를 걱정하고 있다.


홍콩은 민주국가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특이한 선거 제도를 갖고 있다. 즉 홍콩 입법회는 완전 민선제가 아니다. 입법회 총원은 70명이고, 임기는 4년이다. 70명 중 지역구 의원은 35명, 나머지 35명은 직능대표 의원으로 구성된다.


지역구 의원 35석은 홍콩 시민들의 보통선거로 선출되는 지역구 의원이다. 홍콩의 지역구는 5개 선거구로 나뉘어져 있다. 유권자 수는 350만 명 정도이다. 지역구 의원은 홍콩 영주권자들의 보통선거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문제는 직능대표 의원이다. 이는 마카오나 아일랜드에서만 볼 수 있는 아주 비민주적인 선거 제도다. 직능대표 의원 35석은 5명의 지역 직능대표 의원과 제한된 유권자들이 선출한 30명의 직능대표 의원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사실상 홍콩 정부나 중국의 거수기 역할을 하는 의원들이다. 중국은 영국과 홍콩 반환 협상을 할 때부터 홍콩인들이 독립이나 민주화 요구를 할 수 없도록 제도적 장치들을 빈틈없이 만들어 놓았다.


직능대표 의원 35명 중 30명은 1997년 홍콩 반환 당시 정해진 28개 직능 선거구에서 선출되며, 해당 선거구 유권자는 각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법인으로 제한되어 있다. 선출방식은 선거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다수득표제를 적용한다. 유권자 수는 법인까지 합쳐서 22만 명 정도다. 법인이 16,000개, 나머지는 자연인이다.


간접 직능 선거구 유권자가 되려면 별도로 등록을 해야 한다. 생업에 종사하는 시민들은 바쁘고 귀찮아서 잘 등록하지 않고, 주로 기업인이나 부유층들이 등록한다. 법인도 직능 선거구 유권자로 등록할 수 있다. 만약 A가 법인 16,000개를 소유하고 있으면 단 한 사람이 16,000표를 행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직능 선거구 의원의 경우 유권자 수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특정 기업의 소유주나 그 기업의 중역 등이 지나치게 유리한 문제점이 있다. 기업의 소유주나 중역은 거의 대부분 친중국 성향이다. 홍콩의 직능대표 의원은 과거 박정희 독재정권의 친위대 역할을 했던 유정회를 생각하면 된다. 2012년 홍콩 총선에서 직능대표 의원 30명 중 24명이 친중국 성향이었다.


법인이 유권자가 될 수 있다 보니 별 해괴한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카타르항공도 직능대표 유권자로 등록되어 있고, 호주 상공회의소와 바누아투 관광회사도 직능대표 유권자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만일 우리나라 대통령,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본 기업 미쓰비시, 미국 기업 코카콜라가 투표를 한다고 생각해 보자. 이 선거 제도가 얼마나 말도 안되는 비민주적 방식인지 알 수 있다.


직능대표 의원 35명 중 5명은 홍콩 시민들이 각 지역구에서 1명씩 선출한다. 그러나 후보 자격은 홍콩의 하위 행정구역인 18개 구의 구의회 의원들로 제한되며, 15명 이상의 구의원들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이들은 엄밀하게 말하면 직능대표라고 할 수 없지만, 직능 선거구처럼 선출되기에 직능대표라고 한다.


주민 직선인 지역구 선거에서는 민주파가 친중파보다 늘 우세하다. 2012년 총선 지역구 선거에서 친중파는 40.3%, 민주파는 57.3%를 얻었다. 선거에서 민주파가 17%나 앞섰음에도 의석수는 친중파가 43석을 차지했고, 민주파는 27석에 그쳤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친중파가 35명 중 17명, 지역 직능대표 의원에서도 5명 중 2명으로 전부 민주파에 밀렸다. 홍콩의 선거 제도가 얼마나 심각하게 왜곡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홍콩 야권은 입법회 의원 전원을 보통선거로 선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홍콩 야권이 바라는 대로 홍콩에 과연 민주화의 봄이 올 것인가? 아니면 중국에 귀속되어 과거의 홍콩은 영원히 사라질 것인가? 홍콩의 운명은 홍콩인들의 손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민주주의자의 한 사람으로서 홍콩 야당과 민주파를 지지한다. 


2019.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