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중순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을 찾았다. 풀꽃들만 모여 있는 화단에는 노란색의 참좁쌀풀 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가까운 곳에는 좁쌀풀 꽃도 한창 피어나고 있었다.
좁쌀풀은 노란색 작은 꽃망울이나 꽃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모습이 마치 좁쌀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참좁쌀풀은 좁쌀풀보다 키가 조금 더 크고, 꽃자루가 짧으며, 꽃 안쪽에 불그스레한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도 참좁쌀풀이 조금 더 크다. 참좁쌀풀에서 접두사 '참'은 '진짜'라는 뜻이다. 하지만, 꽃은 좁쌀풀이 더 깔끔하고 아름다워 보인다.
1. 참좁쌀풀
참좁쌀풀은 앵초목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뤼시마키아 코레아나 나카이(Lysimachia coreana Nakai)이다. 속명 '뤼시마키아(Lysimachia)'는 '까치수염속(屬), 특히 좁쌀풀(loosestrife)'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뤼시마케이오스(lysimacheios)'에서 유래했다. '뤼시마케이오스(lysimacheios)'는 기원전 5~4세기 경의 그리스 의사 '뤼시마코스(Lysimachos, Lysimachus)'에서 유래했다. 종소명 '코레아나(coreana)'는 원산지 또는 처음 발견된 곳이 한강토(조선반도)임을 나타낸다.
'나카이(Nakai)'는 일본 식물분류학자인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한강토(조선반도)의 식물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발견된 한강토 자생 식물의 학명에는 대부분 그의 성 'Nakai(中井, 나카이)'가 명명자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특히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세계 1속 1종의 한강토 특산식물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속(Abeliophyllum)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인물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의 참좁쌀풀 영어명은 코리언 루스스트라이프(Korean loosestrife)이다. 한강토에서 자라는 좁쌀풀이라는 뜻이다. 일어명은 고우라이이오우소우(コウライイオウソウ, 高麗硫黄草)이다. 한강토에서 자라는 유황처럼 노란색 꽃이 피는 풀이라는 뜻이다. 일어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미카와의 식물 관찰)'에는 참좁쌀풀의 중국명이 황롄화(黄连花)로 되어 있다. 참좁쌀풀을 고려까치수염, 고려꽃꼬리풀, 조선까치수염, 참까치수염, 참좁쌀까치수염이라고도 한다. '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의 본초명은 역자초(癧子草), 황련화(黃連花), 북한명은 고려꽃꼬리풀이다. 꽃말은 '항상 기억하세요, 동심(童心)'이다.
참좁쌀풀의 원산지는 한강토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이다. 한강토에서는 중부 지방, 강원도 평창, 경북, 경기도, 지리산 일대에 분포한다. 현재 희귀 및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의 대상이 되고 있다.
참좁쌀풀의 키는 50cm~1m 정도이다. 줄기는 능각(稜角)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이 있다. 잎은 돌려나기 또는 마주나기하며 엽병(葉柄, 잎자루)이 있다. 잎 길이는 2.5~9cm, 너비 1.2~4cm로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과 가장자리에는 잔털이 산생(散生)한다.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선다. 꽃 지름은 1.5~2cm이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는 6m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5개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는 1.2cm 정도이다. 꽃잎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양면에 황색 샘털이 있어 마치 꽃가루가 묻어 있는 것 같다. 꽃 가운데에는 붉은색의 선명한 무늬가 들어가 있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이 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삭과는 둥글고, 지름은 4mm 정도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끝에 길이 4.5mm 정도의 곧은 암술대가 달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참좁쌀풀에 대해 '꽃이 아름답고 다화성(多花性) 식물이므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특히 화훼작물(花卉作物)들의 자연 개화가 드문 6월말~7월초에 개화하므로 원예작물(園藝作物)로 개발 가능성도 높은 식물이다.'라고 나와 있다. '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에는 '어릴 때에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은 구충제로 쓰기도 한다.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는다.'라고 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좀가지풀(Lysimachia japonica Thunb)/참좁쌀풀의 전초(全草)를 만도배(蠻刀背)라 하며 약용한다. 봄,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거어(祛瘀),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타박상, 염좌(捻挫), 혈열(血熱)을 치료한다.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마신다.'고 나와 있다.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만도배가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만도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만따오베이(蛮刀背)에 대해 '옌예쩐쭈차이(延叶珍珠菜, Lysimachia decurrens Forst.)의 전초이다. 청열해독(清热解毒), 활혈산결(活血散结)의 효능이 있어 나력(瘰疬, 연주창, 경부 임파선 결핵), 후비(喉痹, 인후두염), 정창종독(疔疮肿毒, 피부염, 봉와직염, 이하선염, 포진 등), 월경부조(月经不调, 월경불순), 질타손상(跌打损伤, 타박상) 등에 쓴다'고 나와 있다.
2. 좁쌀풀
좁쌀풀은 앵초목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국생정 학명은 뤼시마키아 다부리카 레데부어(Lysimachia davurica Ledeb.)이다. 종소명 '다부리카(davurica)'는 '다우리아의(Daurian, Dahurian)'의 뜻을 가진 라틴어 '다부리쿠스(Davūricus)'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동시베리아 바이칼 호의 동쪽 지역인 자바이칼(Transbaikal)을 다우리아(Dauria)라고도 한다. '레데부어(Ledeb.)'는 독일계 에스토니아인 식물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폰 레데부어(Carl Friedrich von Ledebour, 1786~1851)이다. 그는 1811~1836년 에스토니아의 타르투 대학교에서 과학 교수로 재직했다.
국표에 등재된 좁쌀플의 정명은 뤼시마키아 불가리스 바. 다부리카 (레데부어) 라인하르트 크누스[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Kunth]이다. Lysimachia davurica Ledeb.는 이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종소명 '불가리스(vulgaris)'는 '다수(the multitude), 대량(the masses)'의 뜻을 가진 '불구스(vulgus)'에 형용사화 접미사 '아리스(āris)'가 붙어서 된 라틴어이다. '흔한, 어디에나 있는, 잘 알려진(common, usual, commonly known)'의 뜻이다. '바(var.)'는 '변종(variant, 베리언트)'의 약자이다. '라인하르트 크누스(R.Kunth)'는 독일의 식물 분류학자이자 곤충학자인 라인하르트 구스타프 파울 크누스(Reinhard Gustav Paul Knuth, 1874~1957)이다.
좁쌀풀 영어명은 다후리안 루스스트라이프(Dahurian loosestrife)이다. 다우리아 지방에서 자라는 좁쌀풀이라는 뜻이다. 일어판 '쇼쿠부츠와메이(植物和名)'에는 일어명이 구사레다마(クサレダマ, 草連玉)로 등재되어 있다. 콩과의 연옥(連玉, retama)과 비슷한 풀이라는 뜻이다. 또, 이명은 이오우소우(イオウソウ, 硫黄草), 중국명은 황롄화(黃連花), 한국명은 큰좁쌀풀이라고 나와 있다. 이오우소우(硫黄草)는 유황처럼 노란색 꽃이 피는 풀이라는 뜻이다.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에는 Lysimachia davurica Ledeb.를 황롄화(黄连花), Lysimachia vulgaris L.을 마오황롄화(毛黄连花)로 기재하고 있다.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Lysimachia davurica Ledeb를 황롄화(黄连花), Lysimachia coreana Nakai를 황롄화의 유사종으로 등재했다.
좁쌀풀을 가는좁쌀풀, 노란꽃꼬리풀, 분홍좁쌀풀, 큰좁쌀풀이라고도 한다. 본초명은 황속채(黃粟菜), 황련화(黃連花)이다. 북한명은 노란꽃꼬리풀, 노란까치수염이다. 꽃말은 '잠든 별, 동심'이다.
좁쌀풀은 한강토를 비롯해서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볕이 잘 쬐는 습지에 자란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규슈(九州)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네이멍구(内蒙古), 헤이롱쟝(黑龙江), 지린(吉林), 랴오닝(辽宁), 샨동(山东), 쟝쑤(江苏), 쩌쟝(浙江), 윈난(云南)의 해발 2,100m 고지대의 풀밭, 숲 언저리, 관목 숲 속에 자란다.
좁쌀풀의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많은 뿌리가 내린다. 키는 40~80cm 정도이다. 원줄기는 가늘고 똑바로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윗부분에 꽃차례와 더불어 잔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거나 간혹 3~4개씩 돌려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다. 잎 길이는 4~12cm, 너비는 1~4cm로서 검은 점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밑부분에 잔샘털이 있다. 잎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8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2~1.5cm이다. 원뿔 모양 꽃차례는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많은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7~12mm이며, 포(苞)는 선형으로서 짧다. 꽃잎은 5개로 둥근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 좁은 삼각형에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보다 약간 안쪽에 검은색 선대(腺帶)가 있다. 화관열편(花冠裂片)은 좁은 달걀 모양이며, 안쪽에 수술대와 더불어 연한 황색의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있다. 열매는 둥근 삭과이다. 삭과는 직경이 4mm 정도 되고, 끝에 길이 5~6mm의 암술대가 붙어 있다.
좁쌀풀의 어린순은 생나물로 먹는다.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도 먹는다. 꽃이 특이하고 아름다워서 정원 등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화단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는 숙근 초화류(宿根草花類) 식물이다. 밀원(蜜源)으로도 가치가 있다.
국생정에는 '좁쌀풀의 전초(全草)를 황련화(黃蓮花)라 하며 약용한다. 고혈압을 치료하고 두통, 불면에 좋은 효과가 있다.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고 나와 있다.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는 황롄화(黄连花)에 대해 '전초는 진정(镇静), 강압(降压)의 효능이 있다.'고 했다. '우리 주변 식물 생태도감'에는 '잎은 구충제로 이용한다.'고 나와 있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황련화를 거의 쓰지 않는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정보'에는 '최근 중국의 연구팀은 좁쌀풀에서 사포닌(saponin) 화합물을 추출하여 약효를 검증한 결과 그 중 한 화합물이 종양 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Liang et al. 2006).'고 나와 있다.
참좁쌀풀의 유사종에는 좁쌀풀, 노랑좁쌀풀(yellow loosestrife, garden loosestrife), 좀가지풀, 점좁쌀풀(dotted loosestrife, large yellow loosestrife, circle flower, spotted loosestrife), 점좁쌀풀 '알렉산더'(loosestrife 'Alexander'), 점좁쌀풀 '왈골달렉스', 털좁쌀풀 '파이어크래커'(Fringed Loosestrife) 등이 있다.
노랑좁쌀풀(Lysimachia vulgaris L.)은 영국이 원산지이며,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에 분포한다. 키는 50~150cm 정도이다. 꽃은 노란색이다. 꽃잎의 가장자리에는 털이 없다. 털이 많고 좁은 삼각형 꽃잎의 가장자리는 선명한 오렌지색이다. 영국에서는 6~8월에 꽃이 핀다. 좀가지풀(Lysimachia japonica Thunb.)은 동파키스탄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한강토에서는 제주도, 전남 지리산, 경기도 강화 등지에 자란다. 키는 7~20cm 정도이다. 잎은 광난원형(廣卵圓形)으로 짧은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점좁쌀풀(Lysimachia punctata L.)은 남동 유럽의 동부 지방이 원산지이다. 키는 약 1.2m이다. 노란색 꽃 가운데에는 붉은색의 무늬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빽빽하게 핀다. 잎과 꽃에는 털이 많다. 꽃잎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털이 있다. 점좁쌀풀 '알렉산더'(Lysimachia punctata 'Alexander')는 중남부 유럽과 터키가 원산지이다. 키는 30~60cm 정도이다. 창 모양의 녹색 잎 바탕에 크림색 또는 분홍색 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한여름에 윗잎겨드랑이에서 지름 2.5cm의 밝은 노란색 꽃이 핀다. 점좁쌀풀 '왈골달렉스'(Lysimachia punctata 'Walgoldalex')의 원산지는 유럽이다. 키는 약 60cm 정도이다. 잎은 난원형이며, 녹색 바탕에 밝은 금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꽃은 밝은 노란색이다. 털좁쌀풀 '파이어크래커'(Lysimachia ciliata 'Firecracker')의 키는 90cm 정도이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짙은 구리빛 갈색이 풍부하게 배어 있다. 꽃은 연한 레몬색이다.
2022. 11. 22. 林 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