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사 2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2

조선 영조 때 강원도 관찰사 도계(陶溪) 김상성(金尙星, 1703∼1755)은 1748년(영조 24) 삼척부사 체천(棣泉) 오수채(吳遂采, 1692~1759)와 화원들을 대동하고 관동 지역을 돌아본 뒤 '관동십경도첩(關東十景圖帖)'을 제작했다. 죽서루도는 '관동십경도첩' 제8폭에 들어 있다. 이 화첩은 체재와 화풍 등 모든 면에서 1723년(경종 3)에 나온 '용만승유첩(龍湾勝遊帖)'을 연상시킨다. '관동십경도첩'에 실린 그림들은 대부분 풍수적인 구성을 토대로 표현되어 고식(古式)의 안견화풍(安堅畵風)을 보여 주며, 준법(峻法)과 수지법(樹枝法)도 17세기에 가까운 화풍을 구사하고 있다. '관동십경첩(關東十景帖)'의 죽서루도 이 죽서루도에 대해서는 삼척부사를 지낸 허목이 아주 멋지게 설명하고 있다. 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