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9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6 - 팔공산(八公山) 백흥암(百興庵) (2)

여섯 폭 주련의 내용도 시홀방장 및 유마거사와 관련이 있다. 숭나라 대문장가인 쑤둥포(蘇東坡)가 유마경(維摩經)의 내용을 인용해 지은 시구를 추사가 쓴 것이다. 주련의 원본은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은해사 성보박물관의 여섯 폭 주련(柱聯, 출처 인터넷) 쑤둥포는 아..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5 - 팔공산(八公山) 은해사(銀海寺) (1)

미지의 세계를 처음 찾아갈 때는 언제나 가슴이 설레곤 한다. 팔공산(八公山, 1,192.3m) 은해사(銀海寺)를 찾아갈 때도 그랬다. 팔공산은 두어 번 와본 적이 있지만 은해사는 초행길이었다. 은해사에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현판 글씨가 있다고 해서 그의 묵향(墨香)을 찾아..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5)

2층 전시실 밖 복도에는 추사의 서명(署名)을 비롯해서 성명인(姓名印)과 자호인(字號印), 별호인(別號印), 수장인(收藏印), 심정인(審定印), 명구인(名句印) 등이 전시되어 있다. 추사인보에 의하면 편지에 쓰는 수결(手決, 사인), 편지 봉투에 찍는 봉함인(封緘印), 이름을 새긴 성명인, 호..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4)

추사는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불교에도 심취했기에 당시 여러 고승들과도 인연을 맺었다. 추사가 '해붕대사화상찬(海鵬大師畵像贊)'을 썼다는 것은 해붕 전령(海鵬展翎, ?~1826)과의 인연이 있었다는 이야기다. 1815년경 추사는 벗 정학연의 소개로 해붕대사를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3)

'완당선생해천일립상(阮堂先生海天一笠像, 종이에 담채, 51.0×24.0㎝)'은 허련이 추사의 제주도 유배 시절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그림 오른쪽의 화제 '阮堂先生海天一笠像'은 '완당 선생이 하늘이 닿은 바다에서 삿갓을 쓴 모습'이라는 뜻이다. '하늘이 닿은 바다'는 바로 제주를 가리킨..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2)

추사박물관 2층 전시실 초입에는 추사인보(秋史印譜)와 '金正喜印(김정희인)' 등 성명인(姓名印)과 '秋史(추사)', '阮堂(완당)', '三十六鷗草堂(삼십육구초당)' 등 자호인(字號印), '不計工拙(불계공졸)', '海棠花下戱兒孫(해당화하희아손)' 등 명구인(名句印)이 전시되어 있다. 추사는 무려 343..

추사 김정희의 묵향을 찾아가는 여행 13 - 과천 추사박물관 (1)

추사박물관은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과지초당(瓜地草堂)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과지초당은 월성위(月城尉) 김한신(金漢藎)의 손자 유당(酉堂) 김노경(金魯敬, 1766~1837)이 마련한 별서(別墅)이다. 김노경의 친아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는 2차 유배지 함경도 북청에서 풀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