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6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시대인 1921년(대한민국 임시정부 3) 4월 이학규(李鶴圭, 1852년 1월 8일 ~ ?)는 '죽서루중수기(竹西樓重修記)'를 지었다. 이학규는 괴애(乖崖)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이 쓴 기문(記文)을 인용한 뒤 삼척군수 이범기(李範綺)가 죽서루를 중수한 배경과 과정을 적었다.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8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5 1823년(순조 23) 경 위항시인(委巷詩人)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은 함경도 지방으로 여행을 떠났다. 그는 여행을 떠나는 길에 삼척의 죽서루에 올라 제영시 칠언절구 한 수를 지어 읊었다. 竹西樓(죽서루) - 조수삼 三陟西樓大海經(삼척서루대해경) 관동의 삼척 죽서루 큰 바다에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6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4 1800년(정조 24) 영동지방(嶺東地方)에 암행어사로 파견된 관보(寬甫) 조홍진(趙弘鎭, 1743∼?)은 삼척을 암행하다가 죽서루에 올라 처마에 걸려 있는 그의 조부 조석명의 시에서 차운한 제영 칠언율시 한 수를 지었다. 운자는 樓(루), 州(주), 浮(부), 愁(수), 遊(유)다. 竹西樓(죽서루) - 조홍..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5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3 1770년(영조 46) 삼척부사로 있던 풍서(豊墅) 이민보(李敏輔, 1720∼1799)는 죽서루에 올라 제영시 칠언율시 한 수를 지어 읊었다. 운자는 樓(루), 秋(추), 流(류), 愁(수), 鷗(구)다. 竹西樓(죽서루) - 이민보 峽坼以來起此樓(협탁이래기차루) 골짜기 갈라진 이래 이 누각 세웠으니 洞天笙鶴歷幾秋..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4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2 조선 영조 때 강원도 관찰사 도계(陶溪) 김상성(金尙星, 1703∼1755)은 1748년(영조 24) 삼척부사 체천(棣泉) 오수채(吳遂采, 1692~1759)와 화원들을 대동하고 관동 지역을 돌아본 뒤 '관동십경도첩(關東十景圖帖)'을 제작했다. 죽서루도는 '관동십경도첩' 제8폭에 들어 있다. 이 화첩은 체재와 화풍 등 모든 면에서 1723년(경종 3)에 나온 '용만승유첩(龍湾勝遊帖)'을 연상시킨다. '관동십경도첩'에 실린 그림들은 대부분 풍수적인 구성을 토대로 표현되어 고식(古式)의 안견화풍(安堅畵風)을 보여 주며, 준법(峻法)과 수지법(樹枝法)도 17세기에 가까운 화풍을 구사하고 있다. '관동십경첩(關東十景帖)'의 죽서루도 이 죽서루도에 대해서는 삼척부사를 지낸 허목이 아주 멋지게 설명하고 있다. 그가..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3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1 삼척부사 이상성(李相成, 1663~1723)은 1721년(경종 1) 5월 숙종(肅宗, 재위 1674∼1720) 이순(李焞, 1661∼1720)의 어제시(御製詩)를 판각하여 죽서루에 걸었다. 하단에는 어제시를 판각하게 된 사연을 적었다. 이상성의 숙종 '어제' 편액 御製(어제) - 숙종 硉兀層崖百尺樓(율올층애백척루) 위태로운 벼랑에 드높이 솟은 백척 누각 朝雲夕月影淸流(조운석월영청류) 아침 구름 저녁 달그림자 청류에 비치고 粼粼波裡魚浮沒(린린파리어부몰) 맑고 깨끗한 물결 속에 물고기 뛰노는데 無事凭欄狎白鷗(무사빙란압백구) 한가히 누각 난간에 기대 물새 희롱하네 마치 죽서루를 그린 한폭의 진경산수화를 바라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시다. 숙종이 죽서루를 다녀갔다는 기록은 없다. 그렇다면 숙종은 화원이 그린..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2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10 만리(萬里) 차운로(車雲路, 1559~1637)는 벼슬에서 물러나 삼척으로 내려와 머물 때 '竹西樓次韻贈主守(죽서루차운증주수)'란 시를 지었다. 제목으로 보아 시를 지어 삼척부사에게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운자는 連(련), 川(천), 天(천), 前(전), 仙(선)이다. 竹西樓次韻贈主守(죽서루차운증주수)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10.01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9 1607년(선조 40년) 3월 23일 불우한 이들의 벗, 시대의 이단아이자 혁명가 교산(蛟山) 허균 (許筠, 1569∼1618)이 삼척부사로 부임했다. 어느 날 그는 죽서루에 올라 '竹樓賦(죽루부)'를 지어 읊었다. '죽루부'는 그의 문집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죽서루부(竹西樓賦)..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09.29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7 1553년(명종 8) 8월 사옹원 정(司甕院正)을 지낸 칠봉(七峰) 김희삼(金希參, 1507∼1560)이 삼척부사로 부임했다. 삼척부사로 있으면서 김희삼은 죽서루에 올라 제영시를 지어 읊었다. 운자는 樓(루), 秋(추), 流(류), 愁(수), 鷗(구)다. 竹西樓(죽서루) - 김희삼 萬仞丹崖百尺樓(만인단애백척루) 깎..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09.28
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6 1506년(중종 1)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된 소재(少齋) 강징(姜澂, 1466∼1536)은 강원도 관찰사로 나갔다가 죽서루를 찾아 '次(차)'를 지었다. 강징의 '차' 다음에는 그의 6대손 설죽당(雪竹堂) 강재숙(姜再淑, 1677~1758)과 입재(立齋) 강재항(姜再恒,1689~1756)의 발문(跋文), 17..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