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 4중주 3번(String Quartet No.3 Sz.85)>은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1881~1945)가 1927년에 완성해서 필라델피아 음악기금협회에 헌정한 작품이다. 초연은 1928년 필라델피아에서 이뤄졌다. 편성은 바이올린 2, 비올라, 첼로로 되어 있다. 바르토크의 〈현악 4중주 3번〉은 1927년 부다페스트에서 완성하여, 미국 여행 중 필라델피아 음악기금협회에 헌정했다. 전성기 바르토크의 원숙한 음악세계를 접할 수 있는 매혹적인 작품이다.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 String Quartet No.3 Sz.85(현악 4중주 3번)
vision string quartet, 2015
jakob encke - violin, daniel stoll - violin
sander stuart - viola, leonard disselhorst - cello
가장 집약적이며 강렬함. 바르토크는 현악 4중주라는 매체를 통해 강렬한 감정표현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모두 6개의 현악 4중주를 남긴 그는 각 작품들마다 자신의 음악세계가 변화하는 과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가 세 번째로 완성한 현악 4중주는 그의 현악 4중주들 중 가장 집약적이고 강렬하다. 또한 이 작품으로 쿨리지 상을 수상해 6천 달러의 상금을 받기도 했다.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 String Quartet No.3 Sz.85(현악 4중주 3번)
Kontras Quartet, North Carolina on May 7, 2011
대담한 음색의 실험. 바르토크가 〈현악 4중주 3번〉을 작곡한 것은 〈현악 4중주 2번〉을 발표한 뒤 10년이나 지난 후였다. 그동안 그는 여러 작품들을 통해 조성체계로부터 더욱 벗어난 자신만의 기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이 작품에 영감을 준 알반 베르크(Alban Berg, 1885~1935)의 영향으로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를 담고 있다. 바르토크는 1927년 알반 베르크의 〈서정적 모음곡〉을 듣고 이 작품에 착상했다. 그런 만큼 이전의 두 현악 4중주보다 더욱 실험적인 화성어법을 사용하고 있다.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 String Quartet No.3 Sz.85(현악 4중주 3번)
Arneis Quartet, Banff Centre on June 15, 2012 in Rolston Recital Hall
단일악장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성격을 가지는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밀도 높은 대위법을 사용함으로써 풍성한 텍스처를 만들어내며, 다양한 주법들을 사용하여 새로운 음색을 모색하고 있다. 줄받침 가까이에서 연주하여 보다 많은 배음을 만들어내는 술 폰티첼로, 활 등으로 연주하는 콜 레뇨, 글리산도 뿐 아니라, 기존의 피치카토 주법보다 훨씬 강하고 날카롭게 현을 튕김으로써 색다른 음향을 만들어내는 ‘바르토크 피치카토’ 주법을 사용하여 현악기의 가능성을 더욱 확대함으로써 다채로운 음향을 만들어낸다. 고도의 테크닉과 깊이 있는 해석을 필요로 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쉽게 도전하기 힘든 작품이지만, 전성기 바르토크의 원숙한 음악세계를 접할 수 있는 매혹적인 작품이다.
1부 프리마 파르테(Prima parte)
Takács Quartet, 1984
1부 프리마 파르테(Prima parte). 음산하고 무거운 1부는 단일 모티브를 카논기법으로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대위법적 텍스처가 이어지다가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분위기가 전환된다. 모티브가 긴 호흡의 민요풍 선율로 변형되어 제시됨으로써 긴장을 이완시킨다.
2부 세콘다 파르테(Seconda parte)
Takács Quartet, 1984
2부 세콘다 파르테(Seconda parte). 활달한 춤곡리듬을 바탕으로 한 민속적 선율을 통해 음산한 첫 부분과 대비를 이룬다. 첼로가 피치카토로 춤곡풍 선율을 연주한 뒤 이 선율이 푸가토로 전개된다. 점점 주제선율의 모방이 빨라지면서 스트레토를 연출한다. 술 폰티첼로, 콜 레뇨, 글리산도와 소위 바르토크 피치카토로 불리는 다양한 주법들을 통해 다채로운 음색의 향연을 펼쳐 보인다.
1부의 요약적 반복(Recapitulazione della prima parte)
New Zealand String Quartet, 1996
1부의 요약적 반복(Recapitulazione della prima parte). 1부를 단순하게 변형시킨 짧고 간결한 부분으로, 활기차고 다채로운 2부와 대조를 이루며 절제된 명료함을 선사한다.
코다(Coda)
Hagen Quartett, 2000
코다(Coda). 코다는 사실상 2부의 재현부로, 2부의 재료들을 복잡한 카논으로 전개한다. 격렬한 다중 스톱 화음으로 강렬하게 악곡을 마무리한다.(클래식 백과)
2017.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