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나리 애기나리꽃 애기나리도 바야흐로 제철을 만났다. 애기나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꽃은 흰색으로 4∼5월 줄기 끝에 1~2송이가 아래를 향해 피어난다. 꽃잎은 6장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 생겨나는 둥근 열매는 가을에 검게 익는다. 꽃말은 '요정들의 소.. 야생화이야기 2014.06.07
둥글레 둥글레꽃 둥글레는 어디를 가나 흔하게 볼 수 있다. 둥글레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과분꽃이라고도 한다.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등의 이명이 있다. 꽃은 6~7월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피는데, 긴 대롱처럼 생겼다. 꽃부리 쪽은 담녹색, 꽃자루 쪽은 흰색이.. 야생화이야기 2014.06.07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꽃 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미나리와는 다른 종류이지만 미나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꽃은 짙은 노란색으로 4~6월 줄기와 가지 끝에 여러 송이가 붙어서 핀다. 꽃잎은 5장이다. 봄에 미나리아재비의 .. 야생화이야기 2014.06.07
밀나물 밀나물은 백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이 좁은 것을 좁은잎밀나물이라고 한다. 밀나물은 덩굴손으로 다른 풀이나 나무를 감아 올라간다. 꽃은 5~7월에 줄기의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자라나 13~30 송이의 작은 황록색 꽃들이 우산꼴로 뭉쳐서 핀다. 밀나물의 어린순은 나물.. 야생화이야기 2014.06.05
쥐오줌풀 쥐오줌풀은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에서 나는 특이하고 강한 냄새가 쥐오줌과 같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열매에 털이 있는 것을 광릉쥐오줌풀, 잎의 갈라진 조각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것을 긴잎쥐오줌풀이라고 한다. 꽃은 5~8월 연한 붉은색으로 원줄기 끝과 옆 가.. 야생화이야기 2014.06.05
풀솜대 풀솜대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장보살, 솜대, 솜죽대, 녹약(鹿藥)이라고도 한다. 옛날 보릿고개 시절 양식이 떨어지면 민초들은 풀솜대의 뿌리와 줄기를 캐어 먹고 배고픔을 이겨냈다고 하며, 또, 풀솜대꽃의 향기가 절에서 쓰는 향과 비슷하다고 해서 지장보살이라는 이름이 붙었.. 야생화이야기 2014.06.05
갈퀴나물 갈퀴나물 갈퀴나물은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Vicia amoena Fisch . ex DC.이다. 녹두두미, 갈퀴덩굴, 말굴레풀이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들의 습윤한 풀밭이나 관목림에서 자란다. 갈퀴.. 야생화이야기 2013.11.16
미역취 미역취 미역취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var. asiatica이다. 돼지나물이라고도 한다. 한국이 원산지로 일본, 중국, 사할린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들의 풀밭이나 낙엽수림 밑에서 자란다. 키는 35~85cm까지 자라고, 잎 표면은 녹색으.. 카테고리 없음 2013.11.12
채고추나물 채고추나물 채고추나물은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Hypericum attenuatum Choisy다. 한국을 비롯해서 중국, 몽골, 아무르,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키는 30~80cm까지 자란다. 잎은 둥글고 마주달리며, 잎 사이에 희미한 줄과 함께 검은 점이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7∼8월에 핀다. 꽃잎.. 야생화이야기 2013.11.04
산짚신나물 산짚신나물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akai)은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사종에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var. japonica NAKAI)과 큰골짚신나물(A. eupatolia L.)이 있다. 산짚신나물의 꽃은 7~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꽃잎은 5장이다. 원줄기와 잔가지 끝에서 꽃.. 야생화이야기 201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