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클래식에서 헤비메탈 1803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5] General Public - Tenderness

'Tenderness(텐더니스)'는 1984년 1월에 발매된 UK 뉴웨이브 밴드 제너럴 퍼블릭(General Public)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All the Rage(올 더 레이지)' A면 2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 트랙은 그해 5월 앨범에서 리드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이 싱글은 UK 본토보다 오히려 US와 캐나다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 곡은 US에서 빌보드 핫 100 차트 27위, 캐나다 차트 11위에 오르는 등 작은 히트를 쳤지만, UK 싱글 차트에서는 95위를 기록했을 뿐이다.    General Public - Tenderness 'Tenderness(부드러움)'의 녹음 세션에는 데이브 웨이클링(Dave Wakeling, 보컬, 기타), 랭킹 롸저(Ranking Roger, 보컬, 키보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4] The Mars Volta - Televators

'Televators(텔레베이터스)'는 2003년 6월 24일 발매된 US 프로그레시브 락 밴드 마스 볼타(The Mars Volta)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이자 그룹 멤버의 자살한 뮤지션 친구 훌리오 베네가스(Julio Venegas, 1972~1996)의 마지막 나날을 되새기는 컨셉트 앨범 'De-Loused in the Comatorium(디-라우스드 인 더 코마트리움)' 9번 트랙 수록곡이다. 앨범은 서핀 택스트(Cerpin Taxt)라는 가상의 인물이 쥐약과 모르핀을 섞어 복용해 자살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일주일 간의 혼수 상태에 빠지는 것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택스트는 프론트맨이자 작사가 세드릭 빅슬러-자발라(Cedric Bixler-Zavala)의 친구 베네가스의 죽음을 암시한다.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3] The Undertones - Teenage Kicks

'Teenage Kicks(틴에이지 킥스)'는 1978년 10월 21일 발매된 북아일랜드 펑크 롹(Punk rock)/뉴 웨이브(new wave) 밴드 언더스톤스(The Undertones)의 데뷔 싱글이다. 이 노래는 발매 2주 만에 UK 싱글 차트에서 31위에 올랐다. 이 곡은 1979년 10월 재발매된 언더스톤스의 데뷔 셀프 타이틀 앨범 A면 5번 트랙에도 수록되었다.    Undertones - Teenage Kick (1978) 'Teenage Kicks' 녹음 세션은 피어걸 샤키(Feargal Sharkey, 리드 보컬), 존 오닐(John O'Neill, 리듬 기타, 백 보컬)과 그의 동생 데미안 오닐(Damian O'Neill, 리드 기타, 키보드, 백 보컬), 마이클 브래들리(Michae..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2] Smokey Robinson & the Miracles - The Tears of a Clown

'The Tears of a Clown(더 티어스 오브 어 클라운)'은 1967년 8월 29일 발매된 US 보컬 그룹 스모키 롸빈슨 앤 더 미러클스(Smokey Robinson & the Miracles)의 10번째 스튜디오 앨범 'Make It Happen(메이크 잇 해픈)' B면 6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 트랙은 UK에서 1970년 7월, US에서 9월 24일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이 노래는 US 빌보드 핫 100 차트와 UK 싱글 차트 1위를 동시에 석권하는 스매쉬 히트를 기록하며 이 그룹에 뜻하지 않은 대성공을 안겨 주었다.    Smokey Robinson & The Miracles - The Tears Of A Clown (Lyric Video) 'The Tears of a Clown(광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1] Massive Attack - Teardrop

'Teardrop(Tear Drop, 티어드랍)'은 1998년 4월 20일 발매된 UK 트립 합(trip hop) 그룹 매시브 어택(Massive Attack)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 'Mezzanine(메저닌)' 3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 트랙은 앨범 발매 1주일 뒤인 4월 27일 두 번째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어두운 사운드로 음악적 방향 전환을 시도한 앨범 'Mezzanine(中二層, 중이층)'은 UK와 호주, 아일랜드, 뉴질랜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함으로써 그룹에게 상업적으로 가장 큰 성공을 안겨 주었다. 트립 합(trip hop)은 'Trip(트립, 속어로 강력한 마약에 의한 환각 체험을 뜻함)'과 'Hiphop(힙합)'의 합성어로 '마약에 취한 듯 몽환적인 힙합'이라는 뜻이다. 곡목 'Te..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30] Bob Dylan - Tangled Up in Blue

'Tangled Up in Blue(탱글드 업 인 블루)'는 1975년 1월 20일 발매된 US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Bob Dylan, 본명 Robert Allen Zimmerman)의 15번째 스튜디오 앨범 'Blood on the Tracks(블러드 온 더 트랙스)'의 오프닝 트랙이다. 이 트랙은 앨범 발매와 동시에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곡목 'Tangled Up in Blue'는 '우울함에 뒤엉켜' 또는 '우울함 속에 얽혀', '우울함에 얽힌 채'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Bob Dylan - Tangled up in Blue (Official Audio) 'Tangled Up in Blue'는 딜런이 작곡했고, 음반은 딜런의 친동생 데이비드 짐머맨(David Zimmerman)이 제작했..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29] Mahalia Jackson - Take My Hand, Precious Lord

'Take My Hand, Precious Lord(테이크 마이 핸드, 프레셔스 로드, 일명 'Precious Lord, Take My Hand')는 가스플 노래(gospel song)다. 가사는 기독교 복음주의자 뮤지션/작곡가 토머스 앤드루 도어시(Thomas A. Dorsey)가 썼고, 멜로디도 그가 각색했다. 멜로디는 조지 넬슨 앨런(George Nelson Allen)의 1844년 찬송가 'Maitland(메이틀런드)'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 노래가 가스플 고전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도어시는 시카고 최고의 가스펠 작곡가로 명성을 얻었다.    Mahalia Jackson - Take My Hand, Precious Lord(Official Audio) 도어시는 블루스 기타리스트 블라인드 코니 윌리엄..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28] Franz Ferdinand - Take Me Out

'Take Me Out(테이크 미 아웃)'은 2004년 2월 9일 발매된 스코틀랜드 인디 롹 밴드 프란츠 페르디난트(Franz Ferdinand)의 데뷔 스튜디오 셀프 타이틀 앨범 3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 트랙은 2004년 1월 12일 앨범보다 먼저 두 번째 싱글로 커트되어 나왔다. 이 노래는 2000년대 초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Post-punk revival, PPR) 시대를 상징하는 명곡으로 손꼽힌다. PPR은 MTV 지향적인 뉴 메틀, 힙합, 무미건조한 포스트 브릿팝(post-Britpop) 그룹의 상업주의를 거부하고 롹 진정성에 중점을 둔 장르다. 곡목 'Take Me Out'은 '날 데려가', '날 꺼내줘' 등의 뜻이 있지만, 여기서는 '날 죽여'라는 뜻이다. 밴드명 'Franz Ferdin..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27] Jorge Ben - Taj Mahal

'Taj Mahal(타지 마할)'은 1972년에 발매된 브라질 아티스트 호르헤 벤(Jorge Ben)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Ben(벤)' 11번 트랙 수록곡이다. 이이 트랙은 'Fio Maravilha(피우 마라빌랴)'와 함께 벤을 대표하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가사는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포르투갈어로 쓰여졌다. 러닝 타임은 5분 29초다.    Jorge Ben - Taj Mahal (1972) 곡목 '타지 마할(Taj Mahal)'은 페르샤어와 아랍어 기원의 우르두어에서 유래했다. '타지 마할(Taj Mahal)'은 '왕관(crown)'이라는 뜻의 '타지(Taj)'와 '궁전(palace)'이라는 뜻을 가진 '마할(Mahal)'의 합성어로 '왕궁(crown palace)'이라는 뜻이다. 역사학자 압둘..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팝송 826] Soft Cell - Tainted Love

'Tainted Love(테인티드 러브)'는 1965년 5월 발매된 UK에서 성공한 US 싱어송라이터 글로리아 존스(Gloria Jones)의 싱글이다. 이 노래는 4인조 보컬 그룹 포 프렙스(The Four Preps)의 전 멤버 에드 콥(Ed Cobb)이 작곡했으며, 음반도 콥이 제작했다. 장르는 소울(Soul), 팝(pop)이고, 러닝 타임은 2분 11초다. 존스 버전은 상업적으로 실패했고, US나 UK 차트에 오르지도 못했다. 이 노래가 노던 소울(Northern soul) 클럽 등 언더그라운드에서 인기를 끌자 존스는 1976년에 재녹음 버전을 싱글로 발매했다. 하지만, 재발매 싱글도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Gloria Jones - Tainted Love (1964) 1981년 7월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