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역사를 찾아서 떠나는 정자 기행 - 관동제일루 삼척 죽서루 4 고려시대 예빈시승(禮賓寺丞)을 지낸 이구(李玖, ? ~ ?)는 신재(信齋) 심동로(沈東老, 1310~1380)와 최복하(崔卜河, ?~?)에 대한 시를 읊었다. 이구는 '관동의 군자는 두 사람 심동로와 최복하다.'라고 평한 바 있다. 심동로는 삼척 심씨(三陟沈氏)의 시조이며 죽서루의 가객으로 이름 높았던 사..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8.09.22
안성 국사암 석조여래입상(궁예미륵)을 찾아서 백두대간 속리산 천왕봉을 떠난 한남금북정맥은 칠장산에 이르러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진다. 칠장산을 떠난 한남정맥은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와 보개면 남풍리 경계 지점에 솟은 국사봉(國師峰, 438m)으로 이어진다. 안골고개에서 바라본 국사봉 안골고개에서 바라본 국..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30
안성 기솔리 석조여래입상(쌍미륵)을 찾아서 서산에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고 있을 때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 석조여래입상(基率里石佛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호)을 찾았다. 기솔리 석조여래입상을 쌍미륵 또는 두미륵이라고도 한다. 쌍미륵은 안성시 보개면과 삼죽면의 경계에 솟은 국사봉(國師峰, 439m) 기슭에 있다. 백두대간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06
안성 죽산향교를 찾아서 저녁 어스름이 내려앉을 무렵 안성시(安城市) 죽산면(竹山面)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斗峴里石造三尊佛立像, 안성시 향토유적 제40호)에 이어 죽산향교(竹山鄕校,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6호)를 찾았다. 죽산향교는 죽산리 향교골 비봉산(飛鳳山, 372m) 남동쪽 산발치 죽산고등학교 바로 뒤..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9
안성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을 찾아서 안성시(安城市) 죽산면(竹山面)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斗峴里石造三尊佛立像, 안성시 향토유적 제40호)을 찾았다.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은 비봉산(飛鳳山, 372m) 남쪽 산발치에 자리잡은 하삼현(下三峴, 아랫세고개) 마을에 있다. 안성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 보호각 안성 두현리 석조삼..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7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과 당간지주를 찾아서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매곡마을 안성죽산리삼층석탑(安城竹山里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8호)과 안성죽산리석불입상(安城竹山里石佛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7호), 죽산리석탑을 돌아본 뒤 안성봉업사지(安城奉業寺址, 경기도 기념물 제189호)를 찾았다. 봉업사지는 죽산리 삼..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7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과 삼층석탑을 찾아서 주말을 맞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매곡마을을 찾았다. 안성죽산리석불입상(安城竹山里石佛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7호)과 안성죽산리삼층석탑(安城竹山里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8호)를 찾아보기 위해서였다. 삼층석탑과 석불입상은 매곡마을 초입에 있었다. 남쪽에서 바..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2
안성 죽산면 매산리 비석거리를 찾아서 예로부터 죽산은 삼남요로보장지진(三南要路保障之鎭)이라고 하여 기호지방과 삼남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죽산은 한양과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잇는 삼남대로(三南大路)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군사적 요충지였다. 조선 영조 대에 전국의..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9
미륵의 고장 안성 죽주산성을 찾아서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를 지나는 길에 비봉산(飛鳳山, 369.7m) 동쪽의 성산(城山, 227.8m)에 있는 죽주산성(竹州山城, 경기도 기념물 제69호)을 찾았다. 죽산면 칠장리 칠현산(七賢山) 칠장사(七長寺)에 들렀을 때 언젠가 죽주산성에 꼭 한 번 가보리라 생각하고 있던 차였다. 죽주는 곧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