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1일 점심을 먹으러 간 식당 안마당에서 때마침 활짝 피어나고 있는 참취꽃을 만났다. 참취는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나물 가운데 하나다. 시골에 살 때 봄이 되면 산에 올라가 참취, 잔대싹, 미역취 등을 뜯어서 내려와 삼겹살을 구워 상추, 들깻잎과 함께 쌈을 싸서 맛있게 먹었던 추억이 떠오르곤 한다.
참취는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참취속(Aster)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에는나물취, 암취, 작은참취, 취, 한라참취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생정)에는 꽃말은 나물취가 비추천명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별(離別)'이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참취의 학명은 아스테르 스카베르 툰베리(Aster scaber Thunb.)이다. 속명 '아스테르(Aster)'는 '별(star)'의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아스테르(astḗr)'에서 유래했다. 꽃 모양을 별에 비유한 이름이다. 종소명 '스카베르(scaber)'는 '(표면이) 거친(rough), 꺼칠꺼칠한(scabrous)'의 뜻을 가진 라틴어다. '긁다(scratch, scrape), 갈다(abrade)'는 뜻의 라틴어 동사 '스카보(scabo)'에서 유래했다. '스카보(scabo)'는 '긁다(scratch, scrape)'는 뜻을 가진 인도 게르만 공통 조어(祖語) '스카브(skab)'에서 유래했다. 꺼칠꺼칠한 잎을 표현한 이름이다.
'툰베리(Thunb)'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다. 툰베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의 아버지', '일본의 린네'라고 불린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식물학의 시조'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에게 배운 툰베리는 177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의(船醫)가 되었고, 1775년에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1777년 7월 떠날 때까지 식물을 수집했다.
국표와 국생정 등재 참취의 영어명은 에더블 애스터(Edible aster)이다. '에더블(edible)'은 '먹을 수 있는, 식용의', '애스터(aster)'는 '과꽃' 또는 '참취속 식물'이다. 국표와 국생정, 일문판 Flora of Mikawa(三河の植物観察, FOM) 등재 일본명은 시라야마기쿠(しらやまぎく, 白山菊)이다. '산에 피는 하얀 국화'라는 뜻이다. 식용으로 쓰이는 요메나(ヨメナ, 嫁菜, 쑥부쟁이)에 비하면 억세고 식감이 떨어지며 향이 솔잎 같아 무코나(ムコナ, 婿菜), 마츠나(マツナ, 松菜)라는 별칭이 있다.
FOM, 중문판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위키백과(维基百科) 등재 참취의 중국명은 둥펑차이(东风菜)이다. 维基百科에는 샨거루(山蛤芦), 쫜샨꺼우(钻山狗), 빠이윈차오(白云草), 꺼다야오(疙瘩药), 차오산치(草三七) 등의 이명이 실려 있다. 百度百科에는 따얼마오(大耳毛), 라오무주훠즈(老母猪豁子)라는 이명도 등재되어 있다.
중국 밍(明)나라 리싀젠(李時珍)의 '뻰차오강무(本草綱目)'에는 '페이위안(裴渊)의 광저우지(广州记)에 따르면 둥펑차이(东风菜)는 꽃이 피고, 잎이 넓적하며, 줄기는 자주색이다. 기름진 고기에 넣어 국을 끓이면 향이 마란(马兰) 같고, 맛이 요거트나 치즈(酪) 같다(按裴渊广州记云:东风菜, 花, 叶似落妊娠, 茎紫. 宜肥肉作羹食, 香气似马兰, 味如酪.).'라고 했다.
참취는 한강토(조선반도),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혼슈(本州), 홋카이도(北海道), 시코쿠(四国), 큐슈(九州)에 난다. 한강토에서는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국생정). 시라야마기쿠(白山菊)는 일본 재래종(在来種)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에 난다. 한강토,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FOM). 둥펑차이(东风菜)는 한강토, 일본, 러시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남부, 동부, 중부, 북부 및 둥베이(东北) 등지의 해발 100~1,500m 지대의 초원, 계곡 경사지 및 관목에서 자란다(维基百科).
참취의 키는 1~1.5m까지 자란다. 근경(根莖)은 굵고 짧다. 줄기는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繖房狀)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근생엽(根生葉)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진다. 엽병(葉柄)은 길고 심장형(心臟形)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다. 잎 표면은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과 더불어 난상 삼각형(卵狀三角形)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心臟底) 또는 예저(銳底)로서 점차 작아진다.
참취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핀다. 혀꽃과 통꽃으로 이루어진 흰색의 두상화(頭狀花)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달린다. 혀꽃(설상화)은 6~8개이며 흰색이고, 가운데 있는 통꽃(통상화)은 노란색이다. 총포(總苞)는 반구형(半球形)이고 포(苞)는 3줄로 배열되며, 외포(外苞)는 긴 타원형(楕圓形)이고, 내포(內苞)는 좁고 긴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수과는 긴 타원상 피침형(楕圓狀披針形)이고 관모(冠毛)는 흑백색이다. 열매는 11월에 익는다.
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관상용, 식용, 밀원(蜜源)으로 재배한다. 취나물에는 비타민 함량이 많아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봄에 참취의 어린순이나 연한 잎을 따서 끓는 물에 살짝 데친 다음 하루 정도 찬물에 담가 우려낸 뒤 간장이나 된장에 무쳐서 먹으면 향과 맛이 뛰어난 산나물이 된다. 참취는 생나물로도 인기가 많다. 생참취를 겉절이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참취는 염료(染料)로도 이용할 수 있다. 가는 줄기와 잎을 잘게 썰어 믹서에 간 다음 끓여서 염액(染液)을 추출한다. 염액의 색에 비해 옅게 물드는 편으로 반복 염색하여 밝고 독특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참취의 전초를 본초명 동풍채(東風菜), 뿌리를 동풍채근(東風菜根)이라고 한다. 동풍채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사포닌(saponin), 향유가 들어 있다. 동풍채근에는 쿠마린, 사포닌,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동풍채는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약리 실험에서 동풍채는 뚜렷한 이담(利膽), 진통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민간에서는 동풍채를 황달, 간염, 기침, 소화 장애, 타박상, 뱀에 물린 상처(snakebite) 등에 쓴다. 동풍채근은 소풍지통(疏風止痛), 활혈행기(活血行氣)의 효능이 있어 장염(腸炎)에 의한 복통(腹痛), 골절동통(骨節疼痛),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동풍채는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과서나 '동의보감'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한약재다. 한의사들은 임상에서 동풍채를 거의 쓰지 않는다.
百度百科에는 똥펑차이(東風菜)에 대해 '동풍채 뿌리와 전초는 맛이 맵고 달며 성질이 차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풍을 없애고 통증을 완화한다. 기를 촉진하고 피를 맑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주로 독사 물림, 류머티즘 관절염, 타박상, 인후통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어린순은 먹을 수 있다. 영양가도 높다.(东风菜根和全草味辛, 甘, 性寒, 具有清热解毒, 祛风止痛, 行气活血等功效, 主治毒蛇咬伤, 风湿性关节炎, 跌打损伤, 咽喉肿痛等症. 东风菜的幼苗, 嫩茎叶可供食用. 还具有较高的营养价值.)'라고 나와 있다.
百度百科에는 또,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눈을 맑게 하고 목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열 감기, 현기증을 동반한 두통, 충혈되면서 붓는 눈의 통증, 인후두염, 급성 신장염, 폐 질환 및 토혈, 타박상, 종기 및 뱀 물림에 자주 사용된다.(清热解毒, 明目, 利咽之功效. 常用于风热感冒, 头痛目炫, 目赤肿痛, 咽喉红肿, 急性肾炎, 肺病吐血, 跌打损伤, 痈肿疔疮, 蛇咬伤.)'고 나와 있다.
국표 등재 참취의 유사종 자생식물에는 가는쑥부쟁이(가는잎쑥부장이, Thick-stem aster, ハソバヨメナ), 가새쑥부쟁이(남원쑥부쟁이, Incised-leaf aster, ハゴロモヨメナ), 개미취(자원, Tatarinow's aster, シオン), 개쑥부쟁이(Meyendorf’s aster), 갯개미취(갯자원, Seashore aster, ウラギク), 갯쑥부쟁이(구계쑥부쟁이, Bristle-hair aster, アレノノギク), 과꽃(China Aster, 翠菊, エゾギク, 蝦夷菊), 긴쑥부쟁이(Narrow-leaf bristle-hair aster, ヤナギノギク, 柳野菊), 까실쑥부쟁이(부지깽이나물, 쑥취, Rough-surface aster, ノコンギク), 눈갯쑥부쟁이(Korean montane aster, カンナノギク), 단양쑥부쟁이(솔잎쑥부쟁이, Danyang aster, マツバノギク), 돌해국(Gray's aster, 华南狗娃花, イソノギク, 磯野菊), 민쑥부쟁이(Connected aster, 蒙古馬蘭, モウコヨメナ, ウスバヨメナ), 벌개미취(Korean aster, コウライシオン), 산쑥부쟁이(Mountain aster, 山馬蘭, ヤマヨメナ), 섬갯쑥부쟁이(Beach-sand aster, 普陀狗娃花, ハマベノギク, 浜辺野菊), 섬쑥부쟁이(Ulleungdo aster, ゴマナ), 쑥부쟁이(권영초, Field aster, ヨメナ), 옹굿나물(Highly-branch aster, ヒメシオン), 왕갯쑥부쟁이(Magnus aster), 좀개미취(Maack's aster, ヒゴシオン), 추분취(Verticillate rhynchospermum, シュウブンソウ), 추산쑥부쟁이(Chusan aster), 해국(Seashore spatulate aster, ダルマギク) 등이 있다.
가는쑥부쟁이[Aster pekinensis (Hance) F.H.Chen]는 중부 이북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잎 길이는 25~40mm, 너비 4~6mm이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가새쑥부쟁이(Aster incisus Fisch.)는 줄기잎 길이가 8~10cm, 너비 2.5cm이다. 잎 가장자리가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7~10월에 자주색 또는 연한 청자색으로 핀다. 개미취(Aster tataricus L.f.)는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개미취는 개화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자라는 개미취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다. 줄기잎은 길이 20~31cm, 너비 6~10cm이다. 꽃은 7~10월에 하늘색으로 핀다.
개쑥부쟁이[Aster meyendorffii (Regel & Maack) Voss]는 줄기에 종선과 털이 있다. 줄기잎은 길이 6~8cm, 너비 10~20mm이다. 꽃은 7~8월에 담자색 또는 남자색,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3~4cm이다. 총포는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는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줄기잎은 길이 6.5~10cm, 너비 6~12mm이다. 꽃은 9~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갯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는 꽃자루에 잎과 더불어 굽은 털이 많다. 꽃은 8~11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과꽃(Aster chinensis L.)은 한강토, 일본, 중국이 원산지이다. 북부 지방의 산지와 오대산에도 자생지가 있다. 줄기잎은 길이 2.5~6.5cm, 너비 2~4cm이다. 꽃은 5~10월에 남자색, 적색, 핑크 청색, 자주색, 연자주색, 연보라색, 흰색 등 다양하게 핀다.
긴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 var. leptocladus (Makino) Okuyama]는 일본의 혼슈(本州), 시코쿠(四國)에 분포한다. 잎은 길이 3~6cm, 너비 1.5~3mm의 선형이다. 꽃은 10~11월에 담청색 또는 자주색으로 핀다. 꽃 크기는 2.5~3cm이다. 까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Turcz.)는 잎 표면이 까실까실하다. 줄기잎은 길이 10~14cm, 너비 3~6cm이다. 꽃은 8~10월에 하늘색으로 핀다.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는 제주도 한라산 1,200~1,500m 고지대에서 자란다. 키는 15~25cm이다. 줄기는 포복성이다. 줄기잎은 길이 12~20mm, 너비 1.5~2mm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연보라색으로 핀다.
단양쑥부쟁이(Aster danyangensis J.Y.Kim & G.Y.Chung)는 경기도 여주군, 충북 단양군, 제천시에 분포한다. 줄기는 초년도에 높이 15cm에 달하고, 전년도의 줄기에서 꽃대가 계속 자라 높이 30~50cm에 이른다.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돌해국(Aster asa-grayi Makino)은 일본의 아마미오오시마(奄美大島)와 오키나와(沖縄), 중국이 원산지다. 키는 15~35cm이다. 줄기잎은 길이 1.5~2.5cm, 너비 0.15~0.4cm이다. 꽃은 7~9월에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핀다. 민쑥부쟁이(Aster mongolicus Franch.)는 경기, 전남, 함남,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 키는 60~80cm이다. 잎 길이는 3~5cm, 너비 3~5mm이다. 꽃은 9월에 벽자색으로 핀다. 쑥부쟁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밋밋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총포조각이 보다 크고, 윗부분에 흔히 자줏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경기, 전남, 경남북, 충남북에 분포한다. 키는 6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 모양이다. 잎 길이는 12~19cm이다. 꽃은 6~10월에 담자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4~5cm이다. 산쑥부쟁이[Aster lautureanus (Debeaux) Franch.]는 한강토와 중국의 동베이(东北), 화베이(华北), 샨시(陕西), 샨동(山东), 허난(河南), 쟝쑤(江苏),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 키는 50~100cm이다. 줄기잎은 길이 3~6(9)cm, 너비 0.5~2(4)cm이다. 꽃은 6~10월에 밝은 파란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2~3.5cm이다.
섬갯쑥부쟁이[Aster arenarius (Kitam.) Nemoto]는 일본 혼슈(本州)와 규슈(九州) 해안의 모래사장이나 바위밭에 자란다. 키는 40~80cm이다. 꽃은 8~11월에 담자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3~4cm이다. 섬쑥부쟁이(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는 울릉도에서 자란다. 키는 1~1.5m이다. 줄기잎은 길이 13~19cm, 너비 4~6cm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5mm 정도이다. 쑥부쟁이[Aster yomena (Kitam.) Honda]는 한강토(남부)와 일본에 분포한다. 세포학적으로는 가새쑥부쟁이와 남원쑥부쟁이 사이에서 생긴 잡종이라고 한다. 봄에 싹이 돋아날 때 자주색을 띠어 자채(紫菜)라고도 한다. 뿌리 주위까지 자색을 띠고 있다. 잎은 길이 8~10cm, 너비 3cm이다. 꽃은 7∼10월에 연한 자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2.5~3cm이다.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다.
옹굿나물(Aster fastigiatus Fisch.)은 키가 30~100cm이다. 줄기에 깔깔한 털이 밀생한다. 줄기잎은 길이 5~12cm, 너비 4~15mm이다.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7~9mm이다. 왕갯쑥부쟁이(Aster magnus Y.N.Lee & C.S.Kim)는 제주도 남부에 분포한다. 키는 30~60cm이다. 줄기잎은 길이 15cm, 너비 5.7cm 정도이다. 꽃은 12월에 청자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5~7cm이다.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는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도 작다. 키는 45~85cm이다. 줄기잎은 길이 6.5~9cm, 너비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다. 희귀식물이다.
추분취[Aster verticillatum (Reinw.) Brouillet, Semple & Y.L.Chen]는 제주도 한라산 자생한다. 키는50~100cm이고, 줄기에 털이 다소 있다. 줄기잎은 길이 7~15cm, 너비 17~32mm이다.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4~5mm이다. 추산쑥부쟁이(Aster × chusanensis Y.S.Lim, Hyun, Y.D.Kim & H.C.Shin)는 울릉도에 자생한다. 해국과 섬쑥부쟁이의 자연교잡종이다. 키는 25~80cm이다. 줄기잎은 길이 5~16cm, 너비 3~7cm이다. 꽃은 9~10월에 분홍색 또는 연보라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2.5~3cm이다. 해국(Aster spathulifolius Maxim.)은 제주도 및 전국 바닷가의 절벽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키는 30~60cm이다. 줄기는 목질성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기부에서 여러 개로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잎 길이는 3~20cm, 너비 1.5~5.5cm로서 잎 양면에 융털이 있다. 꽃은 7~11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35~40mm이다.
국표 등재 참취의 유사종 외래식물에는 개망초(망국초, 왜풀, 개망풀, White-top, annual fleabane, daisy fleabane, eastern daisy fleabane, 一年蓬, 白頂飛蓬, ヒメジオン), 망초(큰망초, 잔꽃풀이, Canadian fleabane, 小蓬草, ヒメムカシヨモギ, 姫昔蓬), 미국쑥부쟁이(털쑥부쟁이, 尖苞联毛紫菀, White heath aster, キダチコンギク, 木立紺菊), 미역취아재비(Common goldentop, grass-leaved goldenrod, flat-top goldentop), 비짜루국화(Saltmarsh aster, Eastern annual saltmarsh aster, ホウキギク, 箒菊) 등이 있다.
개망초(Aster annuus L.)는 북미 원산의 두해살이풀이다. 키는 3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잎은 길이 4~15cm, 너비 1.5~3cm로서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설상화는 흰색, 통상화는 황색으로 핀다. 때로는 자줏빛이 도는 혀꽃이 둘러싸고 있다. 꽃 지름은 2cm 정도이다. 망초[Aster canadensis (L.) E.H.L.Krause]는 북미 원산의 두해살이풀이다. 키는 1~2m이다. 원줄기가 곧게 서고, 위쪽에서 잔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잎은 길이 7~10cm, 너비 1~1.5cm이다. 7~9월에 가지 끝에서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꽃 지름은 3mm 정도이다. 미국쑥부쟁이[Aster chrysogonii Sennen,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일본에는 한국전쟁 때 유엔군의 군수물자와 함께 들어왔고, 한강토에는 1980년대에 유입되었다. 키는 40~120cm이다. 줄기잎은 길이 3~10cm, 너비 3~8mm이다. 꽃은 8~10월에 설상화는 흰색 또는 엷은 장미색, 통상화는 황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10~17mm이다.
미역취아재비[Aster graminifolius Kuntze, Euthamia graminifolia (L.) Nutt]는 북미 원산이다. 키는 30cm 정도이다. 꽃은 노란색이다. 미역취와 비슷해서 '아재비'라는 접두사가 붙었다. 비짜루국화[Aster subulatus Michx., Symphyotrichum subulatum (Michx.) G. L. Nesom var. squamatum (Spreng.) S. D. Sundb.]는 남미 브라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가 원산지다. 일본에서는 다이쇼 시대(大正時代, 1912~1926)에 확인된 귀화식물이다. 키는 30~150cm이다. 줄기 중간 이상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빗자루처럼 된다. 일본명 호우키기쿠(箒菊)는 여기서 유래한 이름이다. 잎은 털이 없으며, 길이 5~10cm, 너비 3~6mm 정도이다. 꽃은 8~19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지름은 5~6mm이다.
2020. 10. 23. 林 山. 2023.7.24. 최종 수정.
#참취
'야생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화(木花) (0) | 2020.10.27 |
---|---|
구기자나무 '희생' (0) | 2020.10.26 |
호야(Hoya) (0) | 2020.10.22 |
브룬펠시아(Brunfelsia) (0) | 2020.10.21 |
재스민(jasmine)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