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謹弔] 설악산 케이블카를 승인한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를 규탄한다 2015년 8월 28일 국립공원 설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사업 계획이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정연만 환경부 차관)의 심의를 통과했다. 산양 문제 추가조사 및 멸종위기종 보호대책 수립 등 7가지 조건부 승인이지만 사실상 통과나 다름없다. 강원도와 양양군은 세 번째 도전만에 설악산 ..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29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반대 청원 하루만에 20만 명 돌파! 강원도와 양양군이 추진하는 국립공원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하는 청원이 28일 단 하루만에 20만 명을 넘어섰다. 28일 오전까지만 해도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반대 청원인 수는 2만 명 수준에 그쳤었다. 그러다가 오늘 환경부 주관 국립공원위원회(위원장 정연만 환경부차관)에..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28
[다음 아고라 청원 서명]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한다! 8월 28일 내일로 다가온 환경부 주관 국립공원위원회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심의 결정을 앞두고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한다'는 제목의 글을 처음으로 다음 아고라에 올렸다. 설악산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청원을 바란다. 서명도 부탁한다. 서명하러 ..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27
[청원]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한다! 강원도와 양양군이 유네스코(UNESCO)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설악산 오색지구와 끝청봉 3.5km를 잇는 케이블카 설치 사업을 또 다시 추진하고 있어 녹색연합, 녹색당 등 환경단체와 시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이미 지난 2012년과 2013년 두 차례에 ..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26
양주 불곡산 백화암을 찾아서 8월도 막바지에 접어든 주말, 불곡산(佛谷山) 기슭에 자리잡은 백화암(白華庵)을 찾아서 경기도 양주로 향했다. 때마침 절기가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로 접어든다는 처서(處暑)라서 그런지 산과 들에는 벌써 가을빛이 묻어나고 있었다.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한북정맥에..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25
백두대간 함백산 야생화 기행 2박3일간의 여름 휴가를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하이원추추파크에서 보내기로 했다. 가는 날 내추럴빌에 여장을 풀고 숙소 바로 앞에 있는 미니 풀장에서 외손녀들과 튜브를 타면서 망중한을 가졌다. 이튿날 아침 일찍 일어나 함백산을 향해 차를 몰았다. 백두대간 화방재 38번 국도(강원.. 명산 순례기 2015.08.21
패션 쇼를 하다 남방셔츠에 콤비 차림 남방셔츠 차림(전신) 남방셔츠 차림(반신) 어제는 분홍색 와이셔츠에 연두색 넥타이를 매고 콤비를 입은 패션이 촌스러움의 극치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내 스스로도 인정한다. 오늘은 촌스러움의 극치를 벗어나고자 원래 구입했던 그대로 입어 보았다. 자..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20
8월 15일은 광복절? 건국절? 아니면 또 다른 날? 사무실에서 2015년 8월15일은 광복 70돌이었다. 그런데, 이날을 건국 67돌이라고 한 이도 있었다. 부일민족반역자들을 염두에 두고 배려한 발언이겠다. 광복절에 대한 또 다른 견해도 있다. 8월15일이 해방된 날이 아니라 점령군이 일본에서 USA(미국)로 바뀐 날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역사학자..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19
사회민주당 창당발기인대회 참관기 사회민주당(사민당)은 8월15일 3시 서울 동숭동 흥사단 대강당에서 창당발기인대회를 갖고 사민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창당준비위원장에는 김명기 창당준비모임 대표가 선출되었다. 사회민주주의자의 한 사람으로서 사민당 창당준비위원회 출범을 축하한다. 그리고 사민당이..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17
광복 70돌 마로니에공원에서 시국집회 현장을 만나다 서울 마로니에공원 시국집회 현장 광복 70돌인 8월15일 오랜만에 서울에 와서 한국 사회운동단체들의 대규모 시국집회 현장을 목격했다. 시국집회를 바라보면서 우리나라는 정치 민주화, 경제 민주화, 남북 화해 문제 등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고도 지난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날 오후 ..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17
하이원추추파크 인클라인 트레인 타기 레일 코스터와 미니 트레인, 스위치백 트레인을 타고 나서 마지막으로 인클라인 트레인(incline train)을 타러 갔다. 레일 위의 궤도차량을 밧줄을 통해 견인하여 운행하는 철도를 강삭철도(鋼索鐵道, cable railway)라고 하는데, 종종 인클라인 철도(incline railway) 또는 케이블카(cable car)라고 부르..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14
하이원추추파크 스위치백 트레인 타기 미니 트레인 체험을 마치고 국내 유일의 스위치백 트레인(switch-back train)을 타기로 했다. 스위치백 트레인은 경사가 가파른 산악지대에서 전진과 후진을 하면서 지그재그(zigzag)로 오르내리는 열차를 말한다. 해발 471m의 추추파크 스테이션에서 해발 245m의 나한정역까지 5.9Km의 거리를 오가..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14
하이원추추파크 미니 트레인 타기 추추파크에는 미니 트레인(mini train) 체험 시설도 있었다. 세계 각국의 유명한 기차를 축소하여 만든 미니 트레인은 추추파크 리조트 안에 조성된 공원과 생태연못 등 약 700m에 이르는 미니 철로 구간을 운행한다. 미니 트레인 이용 요금은 1회에 4천원, 체험 시간은 약 10분 정도 걸린다. 미..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13
하이원추추파크 레일 코스터 타기 하이원추추파크에서 제일 먼저 레일 코스터(Rail Coaster)를 타기로 했다. 추추파크에서 운행하고 있는 레일 코스터는 2인승(30대)과 4인승(70대) 두 가지가 있었다. 요금은 2인승 28,000원, 4인승은 35,000원(쇼핑 사이트에서는 24,500원)이었다. 요금이 좀 비싸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통리역..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12
도계 하이원추추파크를 가다 2015년 여름 휴가는 하이원추추파크(High1choochoopark, 추추파크)에서 보내기로 했다. 추추파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통리협곡(桶里峽谷)에 자리잡고 있었다. 백병산(白屛山, 1,259m) 서북쪽의 갈마봉, 우보산, 유령산, 대박등, 구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백병산 북쪽의 시루봉, 오봉..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5.08.12
2015 여름 휴가 내일부터 8월 11일까지 3일 동안 한의원 여름 휴가에 들어간다. 직원들에게 휴가비도 지급했으니 푹 쉬고 재충전해서 돌아오기 바란다. 매출이 어느 정도 더 늘어나면 직원 해외 여행을 가기로 했다. 이번 여름 휴가는 강원도에 있는 리조트에서 손녀들하고 보내기로 했다. 손녀들하고 놀..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08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문 발표를 바라보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8월 6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경제 재도약을 위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담화문에는 ‘경제’가 37회, ‘개혁'이 33회, ‘국민'이 29회, ‘청년'이 14회나 반복 사용되었지만, 정작 핵심은 '금년 중 모든 공공기관의 임..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07
세월호 침몰 참사 희생자 추모 전광판 무료 문자 '세월호 학살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숨기는 자가 범인입니다. 세월호 진상규명 없이 민주주의도 없습니다. 임종헌' 4.16 세월호 침몰 참사 희생자들을 잊지 않겠다는 뜻에서 안산 분향소 전광판과 서울시청 전광판에 문자를 보냈다. 전광판 추모 문자 메시지는 무료다. *안산분향소 추..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07
맥문동 맥문동 출근하면서 아파트 화단을 보니 맥문동(麥門冬) 꽃이 활짝 피었다. 시간은 끊임없이 흐르고, 자연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순환하고 있음을 깨닫는 아침이다. 맥문동의 덩이뿌리는 양음윤폐(養陰潤肺), 청심제번(淸心除煩), 양위생진(養胃生津)의 효능이 있다. 폐조(肺燥)로 인한 건.. 야생화이야기 2015.08.07
8월 14일 임시공휴일 지정과 재벌 사면 박근혜 정부가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정부는 '광복 70년, 분단 70년을 되돌아보고 향후 70년의 미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선진한국,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전기를 마련'하고, '어려움 속에서 자랑스러운 역사를 만들어 온 대한민국의 역동성을 복원하고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 세상사는 이야기 201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