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대림산성을 찾아서 백두대간 마패봉(역봉) 동쪽 1.2km 지점에서 북쪽을 향해 떠난 계명지맥 (鷄鳴枝脈)은 지릅재, 북바위산(779m), 망대봉(730m), 대미산(680.8m), 발치봉(550m), 남산(636.1m), 마즈막재, 계명산(775m), 뒷목골산(후곡산, 298m), 광명산(팽고리산, 148.5m)을 지나 대문산(탄금대, 200m)에 이른 다음 탄금대교 앞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10.07
충주 목행동 미륵석불을 찾아서 충주시(忠州市) 목행동(牧杏洞) 한라비발디아파트 앞 목행산단5로와 미륵로가 만나는 마을 입구 옹벽 석굴암에는 미륵석불(彌勒石佛)이 안치되어 있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이 있듯이 이 길을 가끔 지나다녔는데도 목행동에 미륵석불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무심코 차를 운전..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30
안성 국사암 석조여래입상(궁예미륵)을 찾아서 백두대간 속리산 천왕봉을 떠난 한남금북정맥은 칠장산에 이르러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진다. 칠장산을 떠난 한남정맥은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와 보개면 남풍리 경계 지점에 솟은 국사봉(國師峰, 438m)으로 이어진다. 안골고개에서 바라본 국사봉 안골고개에서 바라본 국..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30
이천 설성산성을 찾아서 설성산(雪城山, 291m)은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과 장호원읍의 경계에 있다. 설성산은 '여지도서' 등 여러 고지도들에서도 확인되는 지명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성산(城山)은 현 서쪽 5리 지점에 있다.'고 한 기록이 있고, 특히 '1872년지방지도'에서는 '읍주산(邑主山) 설성산'이라고 하였..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29
이천 선읍리 입상석불을 찾아서 이천 선읍리 입상석불(利川善邑里立像石佛, 이천시 향토유적 제10호)은 이천시(利川市) 장호원읍(長湖院邑) 선읍리(善邑里) 설성산(雪城山, 290.6m) 동쪽 기슭에 있다. 장호원읍 선읍리 음죽읍내는 옛날 음죽군(陰竹郡)의 치소가 있던 곳이다. 선읍리에서 바라본 설성산 음죽골마을 비석거..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28
작은 외할아버님의 부음 계명산 서부능선에 솟은 뒷목골산 산마루에서 작은외할아버님의 부음을 들었다. 산마루에서 작은외할아버님이 부디 더 좋은 세상에 나시기를 천지신명님께 빌었다. 빈소는 충주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다. 작은외할아버님 가시는 길에 하얀 국화를 놓아 드렸다. 조화 작은외할아버님은 .. 세상사는 이야기 2016.09.28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후반기 낭만주의 음악(하) 6.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Пётр Ильи́ч Чайко́вский, Piotr Ilyitch Tchaikovsky, 1840~1893)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낭만주의 시대의 러시아 제국의 작곡가, 지휘자이다. 차이콥스키의 작품은 선율적 영감과 관현악법에 뛰어나다. 그는 1860년대 러시아의 민족주..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7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후반기 낭만주의 음악(중) 3. 리하르트 게오르크 슈트라우스(Richard George Strauss, 1864~1949) 리하르트 게오르크 슈트라우스는 독일의 뮌헨에서 궁정 악단의 호른 주자이며 작곡가인 부친과 음악 애호가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베노 발터에게 바이올린 , 마이어에게 작곡을 배웠다. 6세..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6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후반기 낭만주의 음악(상) 1. 주세페 베르디(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901) 베르디는 1813년 10월 10일 이탈리아의 레론코레에서 태어났다. 가난하여 충분한 음악 교육도 받지 못했지만 일찍부터 천부적인 재능으로 8세 때 마을의 오르간 교사에게 오르간을 배웠는데, 1년도 채 안되어 완전히 마스터하여 교사를 ..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2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전반기 낭만주의 음악(하) 7.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 리스트는 1811년 헝가리의 라이딩에서 에스텔하지 후작의 토지관리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6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1820년 프레스부르크에서 독주회를 가져 천재라는 평을 받았다. 1823년 빈으로 가서 K.체르니에게 사사하면서 A.살리에리..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1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전반기 낭만주의 음악(중) 5. 프레드릭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1810~1849) 프레드릭 쇼팽은 폴란드가 낳은 최고의 작곡가이다. 또한 피아니스트이자 교사였다. 그는 19세기 중엽 헝가리의 리스트, 독일의 슈만 등과 함께 낭만주의 음악의 꽃을 피웠다. 그의 증조부 쇼프(Szop)는 폴란드에서 프랑스로 이주하여 프랑스 ..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0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9세기 전반기 낭만주의 음악(상) 1. 마리아 루이지 케루비니(Maria Luigi Cherubini 1740~1842), 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Gioacchino Antonio Rossini, 1792 ~ 1868), 가에타노 도니체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 1797~1848), 빈센초 벨리니(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 1802~1835). 이들은 모두 이탈리아 출신의 오페라 작곡가들이다. 당시 프..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20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8세기 빈고전파 음악 1.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은 오스트리아의 로라우에서 출생한 작곡가로 교향곡의 아버지로 불린다. 하이든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음악적 재능을 보여 슈베르트와 함께 소년합창단에서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빈에서 모차르트와의 우정이 시작..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10
시대별 서양 음악 감상하기 - 18세기 전고전파 음악 1.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1680~1743) 안토니오 비발디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태생의 성직자 겸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이다. 그는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활약하였다. 합주 협주곡과 독주 협주곡에 뛰어났으며, 오페라 작품도 많이 남겼다. 특히 바이올린의 기.. 문학 예술 영화 오딧세이 2016.09.09
안성 기솔리 석조여래입상(쌍미륵)을 찾아서 서산에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고 있을 때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 석조여래입상(基率里石佛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호)을 찾았다. 기솔리 석조여래입상을 쌍미륵 또는 두미륵이라고도 한다. 쌍미륵은 안성시 보개면과 삼죽면의 경계에 솟은 국사봉(國師峰, 439m) 기슭에 있다. 백두대간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06
농업인이 되기 위해 농지원부를 신청하다 오늘 아침 걸어서 츨근하는 길에 농지원부(農地原簿 , Farmland moped)라는 것을 신청하기 위해 주소지인 충주시 연수동 주민자치센터에 들렀다. 고향에 내 소유의 논과 밭이 있어서 농사를 좀 지어볼까 생각해서였다. 농지원부는 농지의 소유에 따른 정보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 세상사는 이야기 2016.09.02
충주 신청리 박팽년 사우에서 사육신을 생각하다 충주시(忠州市) 신니면(薪尼面) 신청리(新淸里) 수청골에 있는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인 박팽년 사우(朴彭年祠宇, 충청북도 기념물 제27호)를 찾았다. 박팽년 사우는 삼촌 수양대군(首陽大君, 世祖)의 쿠데타로 실각한 뒤 암살당한 단종(端宗)의 충신 박팽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9.01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을 찾아서 주말을 맞아 충주시(忠州市) 신니면(薪尼面) 원평리(院坪里) 미륵댕이 마을을 찾았다.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忠州院坪里石造如來立像,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과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忠州院坪里三層石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5호)을 찾아보기 위해서였다. 마을 이름이 미..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29
구부사 혜원 스님의 다기와 황차 선물 다기와 황차 내원하신 충주시 직동 대림산(大林山) 법화도량(法華道場) 구부사(九部寺) 묘광 혜원(妙光慧圓) 스님이 내게 간편 다기와 황차(黃茶)를 선물하셨다. 인스턴트 봉지차를 마시는 내 모습이 몹시 안돼 보였던 모양이다. 새 다기로 황차를 내리니 차색을 볼 수 있어서 좋다. 또, 무.. 세상사는 이야기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