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죽산리 석불입상과 삼층석탑을 찾아서 주말을 맞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매곡마을을 찾았다. 안성죽산리석불입상(安城竹山里石佛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7호)과 안성죽산리삼층석탑(安城竹山里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8호)를 찾아보기 위해서였다. 삼층석탑과 석불입상은 매곡마을 초입에 있었다. 남쪽에서 바..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2
충주 숭선사지 당간지주를 찾아서 고려 광종(光宗)의 어머니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聖王太后) 유씨(劉氏)의 원당(願堂)으로 알려진 숭선사(崇善寺) 절터를 찾아 나섰다. 숭선사지(崇善寺址, 사적 제445호)는 충주시(忠州市) 신니면(薪尼面) 문숭리(文崇里) 숭선(崇善)마을에 있다. 문숭리는 부용지맥(芙蓉枝脈) 수레의산(678.7m..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10
충주 루암리 고분군을 찾아서 '등잔 밑이 어둡다(燈下不明)'는 말이 있다. 사람이나 물건이 가까이 있는데도 찾지 못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유적지도 마찬가지다. 다른 고장의 유적지들은 열심히 찾아다니면서 정작 자기 고장의 유적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충주시(忠州市) 중앙탑면(中央塔面) 루암..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08
이천 마국산을 찾아서 나는 산(山)이 좋아도 너무 좋다. 산을 바라보기만 해도 좋다. 산으로 난 길을 걷는 것도 좋아한다. 산에서 만나는 풀과 나무, 날짐승과 들짐승은 언제나 반갑다. 산마루에 오르는 것은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사바에 두고 온 내 모습을 관(觀)하기 위해서이다. 어.. 명산 순례기 2016.08.08
이천 마국산 용광사를 찾아서 하늘에는 구름이 잔뜩 끼어 금방이라도 비가 내릴 것 같은 우중충한 날 마국산(馬國山, 441.3m) 용광사(龍光寺)를 찾았다. 마국산은 이천시 모가면과 설성면, 안성시 일죽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마국산의 북쪽으로 423.4m봉-262.9m봉-251.7m봉-242m봉-264.8m봉 등 크고 작은 산봉우리들이 이어진 능..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04
이천 성호호수 연꽃단지를 찾아서 이천시 설성면 장천리에 있는 성호저수지 연꽃단지를 찾았다. 성호저수지는 1958년에 돌박지산(164.7m)에서 발원하는 제요천(諸蓼川)을 막아서 만든 인공호수다. 이천시 설성면 장천리와 신필리, 금당리에 걸쳐 있는 성호저수지는 제요천을 남동쪽으로 관류하여 청미천(淸渼川)으로 흘러든..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02
안성 매산리석불입상과 미륵당오층석탑을 찾아서 경기도 안성은 원래 백제의 옛땅이었다. 그러다가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백제 영토였던 당성군(唐城郡, 화성시 남양동), 부산현(釜山縣, 金山縣, 평택시 진위면), 사벌홀(沙伐忽, 안성시 양성면) 등의 지역이 고구려로 넘어가게 되었다.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상실하면서 이들 지역은 다..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8.02
외손녀의 그림책 선물 주말을 맞아 외손녀들이 다니러왔다가 올라간 뒤 탁자 위를 보니 웬 만화가 있다. 초등학교 2학년인 외손녀가 나 보라고 그린 그림책이란다. 뭔가 교훈적인 내용이라는데 무슨 교훈인지는 나보고 직접 찾아보란다. 무슨 교훈을 담고 있는지 살펴 보니 그만한 나이에 결코 쉬운 주제가 아.. 세상사는 이야기 2016.08.01
안성 죽산면 매산리 비석거리를 찾아서 예로부터 죽산은 삼남요로보장지진(三南要路保障之鎭)이라고 하여 기호지방과 삼남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죽산은 한양과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잇는 삼남대로(三南大路)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군사적 요충지였다. 조선 영조 대에 전국의..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9
미륵대원지 미륵세계사를 찾아서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백두대간 탄항산(炭項山, 月項蔘峰, 856m) 북쪽 기슭에 자리잡은 미륵대원사지(彌勒大院寺址, 사적 제317호)를 둘러본 다음 바로 옆에 있는 세계사(世界寺)를 찾았다. 세계사는 미륵리 안말에서 미륵하생과 용화삼회의 미륵정토(彌勒淨土)를 꿈꾸던 고려 전기의 사..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7
미륵의 고장 안성 죽주산성을 찾아서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를 지나는 길에 비봉산(飛鳳山, 369.7m) 동쪽의 성산(城山, 227.8m)에 있는 죽주산성(竹州山城, 경기도 기념물 제69호)을 찾았다. 죽산면 칠장리 칠현산(七賢山) 칠장사(七長寺)에 들렀을 때 언젠가 죽주산성에 꼭 한 번 가보리라 생각하고 있던 차였다. 죽주는 곧 ..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6
하늘길 용화정토 미륵대원지를 찾아서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觀音里)는 현세(現世) 복락(福樂)의 구세주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정토를 상징하는 지명이다. 관음리에서 하늘 가는 길을 따라 백두대간(白頭大幹) 하늘재를 넘으면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彌勒里)이다. 미륵리는 미래세(未來世) 용화삼회(龍華三會)..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20
나도 개돼지다 '민중은 개돼지'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교육부 나향욱 기획관이 파면 등 징계절차에 들어갔다는 소식이다. 나향욱만 자르면 되는가? 나향욱을 임명한 자들도 다 잘라야 한다. 문제는 나향욱 같은 사고방식을 가진 인간들이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에 득실거린다는 말이다. 방귀 깨나 뀐.. 세상사는 이야기 2016.07.15
용화세계로 가는 길 하늘재를 넘어서 용화세계로 가는 길 백두대간 하늘재(525m, 명승 제49호) 참 오랜만에 걸어 본다. 2001년도던가 내가 백두대간을 종주할 때 하늘재를 넘었으니 실로 15년만에 다시 온 것 같다. 세월이 참 쏜살같다는 생각이 든다.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에서 바라본 하늘재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12
백두대간 하늘재 가는 길 신라 망국의 한을 품고 마의태자, 덕주공주 울면서 넘던 하늘재로 떠나볼까나! 물안보, 꽃샘마을(花泉里) 꽃피는골(發花洞)을 지나 작은새재(小鳥嶺) 옛길을 따라 또 한 고개를 올라서면 백두대간 이유릿재(梨花嶺)이다. 옛날에는 사나운 짐승들이 많아서 여럿이 함께 넘는다고 해서 이유..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09
용인 한택식물원을 찾아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비봉산(飛鳳山, 372m) 기슭에 자리잡은 한택식물원에 들렀다. 한택식물원에 다녀간 지 얼마만이던가! 내가 한의과대학에 다니던 시절에 왔다 갔으니 아마도 1996년도였을 거다. 그동안 2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20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한택식물원..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07
안성 칠현산 칠장사를 찾아서 2 칠장사 명부전 중정의 서편 원통전 바로 앞에는 명부전이 있다. 명부전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제하겠다고 서원한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이다. 명부전은 자연석 외벌대 기단, 자연석 초석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측면 3칸 중 양쪽 두 칸은 협칸이다..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06
안성 칠현산 칠장사를 찾아서 1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선에 우뚝 솟은 백두산(白頭山)을 떠난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남쪽으로 치달려 포태산(胞胎山), 백사봉(白沙峰), 두류산(頭流山), 차일봉(遮日峰), 철옹산(鐵瓮山), 두류산(頭流山), 백암산(白岩山), 금강산(金剛山), 설악산(雪岳山), 오대산.. 역사유적 명산 명승지 2016.07.04
연극 '이태준傳' - <돌다리>, <달밤>, <오몽녀> 당대의 문장가 이태준의 단편소설 <돌다리>, <달밤>, <오몽녀> 연극이 되다 연극 '이태준傳' 포스터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시대 조선을 대표하는 두 문장가가 있었으니 산문에는 상허(尙虛) 이태준, 운문에는 지용(芝溶) 정지용이 바로 그들이다. 당대의 두 문장가는 해방공간.. 알림판 2016.06.30
박근혜 정권의 전력 민영화 기도를 반대한다! 박근혜 정권이 마침내 전력부문을 민영화란 이름으로 특혜사유화시킬 모양이다. 민영화는 국민의 세금을 쏟아부어 만든 공기업을 사기업에 특혜를 주어서 팔아먹는 양아치 같은 짓이다. 전력이 특혜사유화되면 전기요금이 인상되는 것은 불문가지다. 우태희 산업통상차관부 2차관은 27.. 시사 이슈 화제 2016.06.28